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9세기 향촌사회질서의 변화와 새로운 공론의 대두 : 아래로부터 형성되는 새로운 정치질서 / 배항섭 1
국문요약 1
I. 머리말 2
II. 향촌지배질서의 변화 5
III. 새로운 공론의 창출 12
IV. 아래로부터 새로운 질서의 형성 17
V. 맺음말 21
참고문헌 24
Abstract 26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16세기 士林 公論의 내용과 의미 | 정재훈 | p.7-28 |
|
보기 |
17세기 공론과 당쟁, 그리고 탕평론 | 김용흠 | p.29-66 |
|
보기 |
18세기 '공론'정치 구조에 대한 시론 | 이근호 | p.67-98 |
|
보기 |
19세기 향촌사회질서의 변화와 새로운 공론의 대두 : 아래로부터 형성되는 새로운 정치질서 | 배항섭 | p.99-125 |
|
보기 |
조선 초 揀擇의 시행 배경과 운영 | 박미선 | p.129-154 |
|
보기 |
16~17세기 北人 學風의 변화와 事天學으로의 전환 | 조성산 | p.155-190 |
|
보기 |
1862년 농민항쟁기 수령의 수습활동과 삼정책 : 개령현감 李鍾祥의 사례 | 송찬섭 | p.191-221 |
|
보기 |
17~18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조선의 도성 수비체제 이해의 방향 | 노영구 | p.225-24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備邊司謄錄 | 미소장 |
2 | 헌종실록 | 미소장 |
3 | 철종실록 | 미소장 |
4 | 고종실록 | 미소장 |
5 | 승정원일기 | 미소장 |
6 | 고성부총쇄록 | 미소장 |
7 | 경상도 함안군총쇄록 | 미소장 |
8 | 임술록 | 미소장 |
9 | 經世遺表 | 미소장 |
10 | 역주목민심서 Ⅱ | 미소장 |
11 | 「東匪討錄」(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6),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 | 미소장 |
12 | 김준형, 조선후기 단성사족층연구, 아시아문화사, 2000. | 미소장 |
13 | 김현영, 조선시대의 양반과 향촌사회, 집문당, 1999. | 미소장 |
14 | 망원한국사연구실, 1862년 농민항쟁, 동녘, 1988. | 미소장 |
15 | 박시형․홍희유․김석형, 봉건지배계급에 반대한 농민들의 투쟁-이조편-, 열사람(재간행본), 1989. | 미소장 |
16 | 고석규, 「19세기 전반 향촌사회 지배구조의 성격」, 외대사학 2, 1989. | 미소장 |
17 | 고석규, 「19세기 농민항쟁의 전개와 변혁주체의 성장」,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1), 역사비평사, 1991. | 미소장 |
18 | 김광억, 「관계의 망과 문화공동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백산서당, 2004. | 미소장 |
19 | 19세기 말 咸安지방의 鄕戰 | 소장 |
20 | 김선경, 「조선후기의 조세수취와 面里운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미소장 |
21 | 김선경, 「‘1862년 농민항쟁’의 都結혁파요구에 관한 연구」, 李載龒博士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1990. | 미소장 |
22 | 吳宖默(1834~?)을 통해서 본 수령 군현통치의 과정과 전략 : '善政' 목민관의 모델과 관련하여 | 소장 |
23 | 1860年代 農民蜂起의 組織基盤과 民會 | 소장 |
24 | 金容燮, 「朝鮮後期의 賦稅制度 釐正策」, 韓國近代農業史硏究(增補版), 1988. | 미소장 |
25 | 조선후기 鄕村社會統制策의 위기 ![]() |
미소장 |
26 | 19세기 전반 官主導 鄕村統制策의 위기 | 소장 |
27 | Changes of the Ruling or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course of the Common people's desire for Benevolent rule- | 소장 |
28 | 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 | 소장 |
29 | 宋亮燮, 「19세기 良役收取法의 변화-洞布制의 성립과 관련하여-」, 韓國史硏究 89, 1995. | 미소장 |
30 | 1862년 진주농민항쟁의 조직과 활동 | 소장 |
31 | 농민항쟁과 민회 | 소장 |
32 | 송찬섭, 「1890년 함창농민항쟁의 성격」, 정만조 외, 조선의 정치와 사회, 집문당, 2002. | 미소장 |
33 | 19세기 민중의식의 성장과 민중운동 ![]() |
미소장 |
34 | 19세기 賦稅의 都結化와 封建的 收取體制의 해체 | 소장 |
35 | 우인수, 「18~19세기 산림의 기능 약화와 성격 변화」, 대구사학 55, 1998. | 미소장 |
36 | 『畝忠錄』을 통해 본 寒洲 李震相의 國政改革論 | 소장 |
37 | 이규대, 「19세기 동계와 동역」, 김호일 편저, 한국 근현대이행기 사회연구, 신서원, 2000. | 미소장 |
38 | Village associations(洞契)" functions in Yangban villages(班村) in the 19th century"s latter half, and changes they went through | 소장 |
39 | 경상도 성주의 1862년 농민항쟁과 사회변동 | 소장 |
40 | 장영민, 「고성민요연구」, 윤병석교수화갑기념 한국근대사논총, 지식산업사, 1990. | 미소장 |
41 | 장영민, 「1894년 고성민요연구」(Ⅱ), 상지대논문집 11, 1990. | 미소장 |
42 | 정진영, 「18, 19세기 사족의 촌락지배와 그 해체과정」,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1990. | 미소장 |
43 | 정진영, 「19세기 향촌사회의 지배구조와 대립관계」,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 (1), 역사비평사, 1991. | 미소장 |
44 | 정진영, 「19~20세기전반 한 몰락양반가의 중소지주로의 성장」, 대동문화연구 52, 2005. | 미소장 |
45 | 鄭昌烈, 「조선후기 농민 봉기의 정치의식」, 韓國人의 生活意識과 民衆藝術, 1983. | 미소장 |
46 | 한명기, 「19세기 전반 반봉건항쟁의 성격과 그 유형」,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2), 역사비평사, 199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