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수진. 1998. 『우리나라 독서교육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독서지도 전문인력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 미소장 |
2 | 고용노동부. 2016.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패키지: 문헌정보』. 세종: 고용노동부. | 미소장 |
3 | 국립중앙도서관. 2007.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 제도 개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4 | 국제문해협회. [online]. [cited 2018.7.18]. |
미소장 |
5 | 문화체육관광부. 2017. 『사서대상 독서치유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양성방안 연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6 | 백혜림. 2012. 『사서직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독서자격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소속 사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7 | A Study of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 소장 |
8 | A Study on the Academic System of Science of Reading | 소장 |
9 | 오용순. 2014. 『책 읽는 나라 만들기를 위한 정책토론회-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2014-2018) 실현방안』. 국회지속가능경제연구회, 82-84. | 미소장 |
10 |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Reading Education | 소장 |
11 | Roles, Qualifications, and Training Program of Reading Specialists ![]() |
미소장 |
12 | 이정희. 2003. 『독서지도사 양성과정 운영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3 | 정은영. 2009. 『독서전문가로서 사서 역할에 필요한 계속교육 수요조사: 경기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4 | 국민 독서 운동과 독서 지도 전문가의 역할 | 소장 |
15 | 중등학교 독서 지도 전문가 양성 방안 | 소장 |
16 | A Study on the Tasks of Public Librarians based on Job Analysis | 소장 |
17 | A Study on the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ethod for Reading Guidance Librarians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