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1985년 말과 1986년 초에 발표된 류짜이푸(刘再復)의 글, 「문학의 주체성을 논하다(论文学的主体性)」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 글은 문학의 주체성 문제를 크게 ‘창조 주체’로서의 작가, ‘대상 주체’로서의 작중 인물, 그리고 ‘수용 주체’로서의 비평가와 독자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체를 사회 현실과 세속으로부터 독립된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주체로 상정한다.

이 글이 발표되기 전 중국에는 ‘인도주의’와 ‘소외’의 문제를 둘러싸고 일련의 사상 논쟁이 있었고, 비록 짧은 해프닝에 불과했지만 당 차원에서 ‘정신오염제거운동(1983)’이 일기도 했다. 그러한 시대 배경 속에서 발표된 류짜이푸의 이 글은, 이후 중국 문단에 중요한 문예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큼 적지 않은 영향을 행사했다. 그리고 이 글은 내포하는 이론적 문제점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문단의 분위기를 크게 일신했다. 마르크스 엥겔스 문예이론에 입각하여 문학을 정치에 종속된 계급투쟁의 도구로 여기는 주의주장은 이 논쟁이 있었던 1980년대 중반 이후 더 이상 위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본고는 류짜이푸의 글이 발표된 직후에 벌어진 중국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연구원들의 논쟁에서 두 가지 중요한 비판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류짜이푸의 글이 순수한 학술적 성격의 글이라기보다 오히려 사상투쟁, 이념투쟁의 성격을 띤 글이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근래에 몇몇 소장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주장들 속에서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다. 1980년대 문화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 작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 ‘문학 주체성 논쟁’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문학의 전개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의를 지닌 논쟁으로 ‘역사화’되고 있다. 특히 ‘문학 주체성 논쟁’은 문학의 ‘탈정치화’ 현상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문학의 ‘재정치화’ 담론과 관련해서도 깊이 있게 다뤄져야 할 문예현상으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ritings of Liu Zai-fu, published in late 1985 and early 1986, on the subject of “literary subjectivity". He divides the issue of subjectivity of literature into three major categories: writer’s as a creator subjectivity, character’s as a Object subject, and critic and reader as a acceptant subject. It is assumed that such a subject is autonomous and creative subject independent of social reality and world.

Before this article was published, there was a series of controversies over the issues of ‘humanitarianism' and ‘alienation' in China, and even though it was only a brief incident, the ‘Mental Decontamination Movement' (1983). The article of Liu Zai-Fu, published in the background of such an era, has had great influence on Chinese literature since then, causing significant literary debate. And his article has changed the atmosphere of the 1980s literary, despite the few theoretical problems it implies. The claim that literature is a tool of class struggle that is subordinated to politics has been no longer effective since the mid-1980s.

This article analyzed two important criticisms in the debate of researchers at the Institute of Literature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immediately after the publication of Liu Zai-Fu's writings. This paper analyzed two important criticisms in the debate of researchers at the Institute of Literature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immediately after the publication of Liu Zai-Fu 's writings. And I can understand that the writings of Liu Zai-Fu were not of pure academic character but of ideological struggle.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laims made by some younger scholars in recent years. Since the 2000s when the general review of cultural phenomena began to take place in the 1980s, the ‘literature subjectivity debate’ has been ‘historicalized' as a controversial issue with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course of Chinese literature after reform and opening. Especially, ‘literature subjectivity debate' has been consistently mentioned as a literary phenomenon to be dealt with deeply in relation to the discourse of ‘re-politicization' of literature stemming from the reaction against the phenomenon of ‘depoliticization' of litera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년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잠자는 미녀』와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 = House of the Sleeping Beauties and Memoria de mis putas tristes viewed by Humanities in Old Age 송상기 p.31-56

세르누다의 시에 끼친 엘리엇의 영향 = The Influence of T.S. Eliot on Cernuda's Poetry 장재원 p.57-88

N. 구밀료프의 시에 나타난 동양 테마와 모티브 = The Oriental themes and motifs in the poems of N. Gumilev 홍기순, 김성일 p.89-122

프레카리아트의 실존과 주체의 구성 = The Existence of Precariat and the Constitution of Subject : Focusing on Son Won-pyeong's Novel "Counterattack of Thirty" : 손원평의 소설 『서른의 반격』 정윤희 p.143-168

중국 고전시에 나타난 난초 묘사 분석 = A study on the various symbols of Orchid in Ancient Chinese poetry 배 다니엘 p.169-192

1980년대 중국의 문학 주체성론 고찰 = A Study on theory of 'Literary Subjectivity' in China in the 1980s 박민호 p.193-212

번역과 인문학 중흥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nd the Rehabilitation of the Humanities : In light of the Translations in the era of French Renaissance : 프랑스 르네상스 시대의 번역에 비추어 송덕호 p.235-254

로이스 로리의 『기억 전달자』 4부작에 나타난 인간 소외의 양상과 윤리적 도전 = Human alienations and ethical challenges in The Giver Quartet by Lois Lowry 신정아, 최용호 p.255-284

로뻬의 '망토와 검의 극'에 나타난 세 가지 유형의 극적 전략 = The Three Types of Dramatic Strategies Shown in 'comedia de capa y espada' by Lope 윤용욱 p.285-308

미국 아프로쿠바계 이민자의 다중적 정체성 = Multiple Identities of Afro-Cuban Immigrants in the U.S. 이은아 p.309-328

『춘향전』의 프랑스 역본 『향기로운 봄』의 문화적 의의 =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French Translation of Chunhyangjeon, Printemps parfumé 송태현 p.5-30

윤대녕의 「탱자」에 나타난 정화의식(淨化儀式) 연구 = A Study on Purification Ritual in Yoon Daenyung' "Trifoliate Orange" 방민화 p.123-142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와 동성애적 경향 그리고 영화 상호텍스트성 = A Study of Film Intertextuality on Shakespeare's Sonnets and Homophile Aspect 조이경, 이건근 p.213-234

시원의 세계를 찾아 떠나는 아나바시스 = Anabasis in search of the proto-world : Los pasos perdidos by Alejo Carpentier and its utopian vision : 알레호 까르뻰띠에르의 『잃어버린 발자취』와 유토피아적 비전 황수현 p.329-352

러시아 인문과학의 융복합적 사유=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Russian Human Science. 1, Dialogue and Paralogy of Chaosmos . 1, 대화와 배리의 '카오스모스' 이희원 p.377-408

오해와 진실 = Misunderstanding and Truth : the Theme of Dmitry Karamazov : 드미트리 카라마조프의 테마 윤새라 p.353-375

플랫폼 기반 웹 소설의 장르성 연구 = A study on the genre aspects of Korean web novels 노희준 p.409-428

윈 리어우와린의 『빨간 날개』에 나타난 사회의식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f Social Consciousness in Win Lyovarin's novel Red Wings 최난옥 p.429-447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K. 마르크스, F. 엥겔스, 『마르크스·엥겔스 문학예술론』, L. 박산달, S. 모라브스키 엮음, 김대웅 옮김, 한울, 1988. 미소장
2 가라타니 고진, 『근대문학의 종언』, 조영일 옮김, 도서출판b, 2010. 미소장
3 박민호,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문학위기담론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4 위화, 『허삼관매혈기』, 최용만 옮김, 푸른숲, 2003. 미소장
5 프로이트, 『예술, 문학, 정신분석』, 정장진 옮김, 열린책들, 2007. 미소장
6 董学文、金永兵等著, 『中国当代文学理论』, 北京, 北京大学出版社, 2008. 미소장
7 刘再復, 「论文学的主体性(续)」, 『文学评论』, 1986年 第1期. 미소장
8 刘再復, 「论文学的主体性」, 『文学评论』, 1985年 第6期. 미소장
9 李陀、李静,「漫说“纯文学”―李陀访谈录」, 『上海文学』, 2001年 第3期. 미소장
10 林建法, 傅任 选编, 『中国当代作家面面观』, 上海, 华东师范大学出版社, 2002. 미소장
11 文学研究所文艺理论研究室, 「自由地讨论, 深入地探讨―关于刘再復《论文学的主体性》一文的讨论」, 『文学评论』, 1986年 第3期. 미소장
12 敏泽, 「论〈论文学的主体性〉―与刘再復同志商榷」, 『文论报』, 1986年 6月 21日. 미소장
13 杨庆祥, 『分裂的想象』, 北京, 北京大学出版社, 2013. 미소장
14 贺桂梅, 『“新启蒙”知识档案―80年代中国文化研究』, 北京, 北京大学出版社, 201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