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효과 분석 = Evalu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in Local Development Projects in South Korea : 사업집행 변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허완 ; 조현구 1
국문 초록 1
I. 서론 2
II. 사업현황 및 평가체계 4
1. 사업현황 4
2. 평가체계 5
III.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8
1. 선행연구 8
2. 연구가설 10
IV. 조사설계 12
V. 분석 결과 15
1. 주민참여 양상 15
2. 지표간 상관관계 18
3. 다중회귀분석 19
4. 매개회귀분석 20
VI. 결론 26
참고문헌 29
Abstract 3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n Empirical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ance in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 Participation and Rural Community Design Project Performance - Focused on the Case of Utturu Village - | 소장 |
2 | 강필성·이금옥(2015), 농업기반형 농촌지역사회개발 사례 연구, 농업사연구(한국농업사학회), 제14권 2호, 1-29. | 미소장 |
3 |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 소장 |
4 | A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n Community Building Governance - The Case in Suncheon City | 소장 |
5 | Strategies and measures for capacity building in rural development project | 소장 |
6 | The Validity of the Policy Objectives as a Result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을 중심으로 | 소장 |
7 | 농촌마을개발사업의 전개와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 산청 남사 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 소장 |
8 | 박경(2003), 상향식 농촌개발전략의 도입방안, 국토, 110-120. | 미소장 |
9 | 지방정부 농촌지역개발정책의 평가와 함의: ![]() |
미소장 |
10 | 박덕병(2002), 시민사회,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개발 프로젝트로서그린투어리즘,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제27권 1호, 151-169. | 미소장 |
11 | 박수진(2013),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운영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전남 5개 사업권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2 | 서영석(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4호, 1147-1168. | 미소장 |
13 | 송미령·권인혜(2011), 「포괄보조사업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소장 |
14 | 주민자율적 마을 가꾸기 현황과 성과 분석 | 소장 |
15 | 송미령·성주인(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 정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소장 |
16 |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and Residents' Participation | 소장 |
17 | 송미령 외(2017),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소장 |
18 | 송용훈(2017),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장수마을과 산새마을의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송지준(2015), 「SPSS/AMOS 통계분석방법(개정증보판)」, 제19강(매개변수의 효과분석방법), 242-250. | 미소장 |
20 | 안종현(2007),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관광마을만들기: 장흥군 진목마을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0-182. | 미소장 |
21 | The Activation Plan of an Agricultural Region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Jeongeupsi Naejangsangdong - | 소장 |
22 |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s of Positive Thought,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 소장 |
23 | 이기우(2007),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07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7-228. | 미소장 |
24 | A Review on Rural Development Policie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 소장 |
25 | 이창균(2010), 이명박 정부의 지방분권방향과 성과 및 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대회, 141-157. | 미소장 |
26 | 농촌지역개발사업 성과의 차이와 농촌사회 발전에 대한 함의 | 소장 |
27 |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 소장 |
28 | Project Themes and Promotions of Community Building with Resident Participation | 소장 |
29 | 전인철(2013), 농촌지역개발의 공공지원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농촌종합개발사업의 성공적 집행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31 | 정원식·안상유(201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년 하계학술대회. | 미소장 |
32 | Evaluating the Decentralization Policy in Park Geun-Hye Administration | 소장 |
33 | 조록환(2003), 농촌관광사업 지역의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Exploring Methodologies for Facilit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t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 소장 |
35 | 지경배·김장기(2007), 주민참여형 농촌지원사업의 실태와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제16권 제4호, 145-166. | 미소장 |
36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articipation lor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With Relerence to the Gyeongbuk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 | 소장 |
37 |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 |
미소장 |
38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
미소장 |
39 | Sidney Verba(1967), Democratic Participation,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373(1), 53-78. | 미소장 |
40 |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
미소장 |
41 | 관계부처 합동(2018),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 | 미소장 |
42 |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국정분야별 주제콘텐츠(‘지역사회개발사업’), 정기환(200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소장 |
43 | 국정기획자문위(2017),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백서」. | 미소장 |
44 | 국정기획자문위(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 미소장 |
45 | 국회예산정책처(2010),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포괄보조사업 평가」. | 미소장 |
46 | 기획재정부,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영계획안 작성 세부지침」, 지역발전특별회계 사업. | 미소장 |
47 | 기획재정부(2018), 「2019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영계획안 작성 지침」. | 미소장 |
48 | 기획재정부(2018), 국민참여예산 홍보 리플렛. | 미소장 |
49 | 농림축산식품부(2014), 「농촌지역개발사업 완료지구 활성화 방안 연구」. | 미소장 |
50 | 농림축산식품부(2017), 2017년도 농촌빈집정비사업 추진계획. | 미소장 |
51 | 농림축산식품부(2017),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2017년)」. | 미소장 |
52 | 농림축산식품부(2017),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시행지침 모음(2004~2017)」. | 미소장 |
53 | 농림축산식품부(2018), 2018년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지침. | 미소장 |
54 | 지역발전위원회(2016), 2017년 지역발전사업 자체평가 지침(생활·제주·세종계정). | 미소장 |
55 | 지역발전위원회(2017), 「2017년도 균형발전사업 편람」, 일반농산어촌개발. | 미소장 |
56 | 한국농촌경제원(2016), 「2016 보조사업 모니터링: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KREI 현장브리프 제2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