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기록, 그 사실과 기억의 변증 = A record of 梅月堂金時習, Demonstration of the fact and memory 강창규 p.5-37
『태평한화골계전』에 담은 일상에 대한 관심과 실천 = Attention and Practice in Daily Life through 『Taepyeonghanwhagolgyejeon』 김준형 p.39-72
조선 表箋의 典範을 찾아서 = In Search of Pattern of Diplomatic Document(Pyojeons) : Focusing on the roles of 『Sejong Silok (record of King Sejong)』 and 『Dongmunseon』 : 『세종실록』과 『東文選』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은영 p.73-107
회은(晦隱) 남학명(南鶴鳴)의 산문 일고 = A study about Hoeeun(晦隱) Namhagmyeong(南鶴鳴)'s Prose : Focus on prose for the dead : 망자를 위한 산문을 중심으로 권진옥 p.109-134
『尙書』를 통해 본 唐虞의 관료조직 =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of Dangwoo Described in 『Sangseo』 유영옥 p.135-182
통신사 행렬 도감, 『參韓帖』에 대하여 = A Study on 『Sankancho』(參韓帖) 이효원 p.183-208
艮齋 田愚의 「海上散筆」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Ganjae Jeonu's 「Haesangsanpil(海上散筆)」 : Focusing on Ganjae' Respect letter and Sincerity letter Study Theory : 간재의 '敬'字·'誠'字 工夫論을 중심으로 장병한 p.209-235
퇴계 이황의 『주역』 공부 = Toegye Yi Hwang's Study of "Classic of Changes" : A Study of Yi Hwang's Deep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 퇴계 이황의 주자학 이해의 심화과정에 대한 한 고찰 정석태 p.237-254
陳亮의 「西銘說」 一考 = XiMingShuo, ChenLiang's understanding on XiMing 정환희 p.255-275
「七灘亭十六景圖」와 李瀷의 「七灘亭十六景」 詩의 비교=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through Comparing Chil Tan Pavilion sixteen pictures and Lee Ik'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 1,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최경환 p.277-309
東溟 金世濂의 『槎上錄』 考察 = A Consideration of Dongmyeong Kim Se-ryeom's 『Sasangrok』 김효정 p.311-344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시습, 『매월당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3 미소장
2 서거정, 『四佳集』(한국고전종합DB) 미소장
3 이 이, 『石潭日記』, 국역 대동야승(한국고전종합DB) 미소장
4 이 자, 『음애일기』, 국역 대동야승(한국고전종합DB) 미소장
5 尹春年, 『學音稿』:『동방고전문학연구』2, 2000 미소장
6 『(국역)매월당집』, 강원도, 2000 미소장
7 남효온 저, 박대현 역, 『추강집』, 민족문화추진회, 2007 미소장
8 유몽인 저, 신익철 외 역, 『어유야담』, 돌베개, 2006 미소장
9 이승수 역, 『옥같은 너를 어이 묻으랴』, 태학사, 2001 미소장
10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2000 미소장
11 김풍기, 『조선전기 문학론연구』, 태학사, 1996 미소장
12 심경호, 『김시습 평전』, 돌베개, 2003 미소장
13 안대회, 『尹春年과 詩話文話』, 소명출판, 2000 미소장
14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미소장
15 정만조 외, 『음애 이자와 기묘사림』, 지식산업사, 2004 미소장
16 Articles : A Study on the poetic sound theory of Yun-chunnyun 네이버 미소장
17 A Study on the Process of Revised-Copying the Portraits of Maewoldang Kim Si-seup and Its Meanings 소장
18 양승민, 「원생몽유록 작자 문제의 허실」, 『고전소설 문헌학의 실제와 전망』, 아세아문화사, 2008 미소장
19 방외인문학의 (方外人文學) 전통 (1) - 유 (儒) , 도가 (道家) 경전에 나타난 방외인의 원형 - 네이버 미소장
20 이도흠, 「기억, 흔적 그리고 기호:역사 현실의 기억과 흔적의 텍스트화 및 해석–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19, 한국기호학회, 2006 미소장
21 이동환, 「高麗 竹林高會 硏究 : 傳記的 考察을 中心으로」, 고려대석사학위논문, 1968 미소장
22 임형택, 「매월당의 방외인적 성격과 사상」,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미소장
23 김시습(金時習) 이해의 시선과 그 의미 소장
24 임진왜란의 영웅을 기억하는 두 개의 방식 : 사실의 기억, 또는 기억의 서사 소장
25 The Transition to Confucian Civilization and the Teacher of the Age, Kim Jongjik and Kim Siseup―Focusing on Searching for Self-Identity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 King Sejong and Sejo― 소장
26 Miscellanea and Chugangnanghwa in Early Joseon Period-Nam Hyo-On`s Deep Sorrow and Spirit of the Times 소장
27 方外人文學의 槪念과 性格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