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최근, 문학과 인문학에서 힐링 담론이 유행이다. 치유의 문화는 사회 ‧ 정치적 참여와 공동체적 연대보다는 개인 심리의 건강과 안위에만 수동적으로 몰두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치유의 문학교육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다.
레비나스 철학에서 ‘상처 입을 가능성’이란, 타자의 괴로움에 의해 상처받고 고통 받아 윤리적 ‘책임’을 짊어지게 되는 것을 뜻한다. 니체와 들뢰즈 철학에서 ‘문화 의사’란, 고통 속에서 사회 문화적 질병의 징후를 포착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는 작가와 예술가를 뜻한다. 레비나스와 니체-들뢰즈 철학은 고통 받는 인간의 현실에서 출발해서 윤리적인 주체의 가능성과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주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 사유를 종합하여, 첫째, 치유의 문화, 문학적 치유에 타자의 윤리학을 도입하여 사회적 치유의 더 넓은 시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둘째, 문학적 치유의 수동성을 창조적 능동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healing discourse has recently become popular in literature and humanities. The current culture of healing m ay lead readers to be only passively involved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minds of individuals rather than encouraging soci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mmunal solidarity. Therefor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we can seek for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of healing.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신익(2007), 『몸의 역사, 몸의 문화』,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 | 강영안(2005),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3 | 곽호완 외(2008), 「행동 유도성(affordance)」, 『실험심리학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4 | 권영민 외(2014),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 미소장 |
5 | 박민규 장편 소설에 나타난 치유 서사 연구 | 소장 |
6 | Human Vulnerability and Its Relevant Virtues: Focused on Alasdair MacIntyre’s Dependent Rational Animals | 소장 |
7 | 김영희(2013), 「청소년은 청소년소설을 어떻게 읽고 있나」, 『창비어린이』 2013년 겨울호, 48-63쪽. | 미소장 |
8 | A Cultural Physician of Colonial Modernity, Yi Sang and His Poetry - On the View of Nietzsche and Deleuze : a Writer as a Cultural Physician - | 소장 |
9 | Psychosomatic Imagination in 1960`s Korean Short Stories | 소장 |
10 | 노대원(2015), 「‘마음의 신체화’ 양상에 관한 인지 서사학적 연구 - 1960~ 70년대 질병-치유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Narrative Characters and "Theory of Mind" -Character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 소장 |
12 | A Study on literature education for psychological healing, focusing on the novel Eneonaksitongshin by Yun Dae-nyeong | 소장 |
13 | 박형서(2011), 「자정의 픽션」, 『핸드메이드 픽션』, 문학동네. | 미소장 |
14 | 변학수(2009), 『문학치료』(2판), 학지사. | 미소장 |
15 | 서동욱(2001), 「상처받을 수 있는 가능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6 | 들뢰즈와 레비나스에서 감성의 중요성―‘상처’의 경험에 관해서― | 소장 |
17 | An Essay on Social Epic of the literary therapeutics | 소장 |
18 | 슬라보예 지젝(2007), 박정수 역, 『How to Read 라캉』, 웅진지식하우스. | 미소장 |
19 | 힐링이라는 이름의 권력 | 소장 |
20 | 알렉산더 네하마스(2013), 김종갑 역, 『니체: 문학으로서 삶』, 연암서가. | 미소장 |
21 | 엠마누엘 레비나스(2010), 김연숙 역, 『존재와 다르게: 본질의 저편』, 인간사랑. | 미소장 |
22 | 와시다 키요카즈(2014), 길주희 역, 『듣기의 철학: 고뇌하는 인간, 호모 파티엔스를 만나다』, 아카넷. | 미소장 |
23 | A Study of Healing Power of Literature through Dogani Syndrome | 소장 |
24 | 이순영 외(2016), 『독서교육론』, 사회평론. | 미소장 |
25 | 전한성(2016),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의 접점 찾기 - 융복합적 관점의 적용을 기반으로」, 『국어문학』 제62호, 국어문학회, 289-316쪽. | 미소장 |
26 | 문학교육을 통한 개인의 치유와 발달 | 소장 |
27 | 뇌는 세계를 어떻게 파괴/창조하는가? : 말라부의 뇌가소성과 뉴런 이데올로기 | 소장 |
28 | 조너선 갓셜(2014), 노승영 역, 『스토리텔링 애니멀』, 민음사. | 미소장 |
29 | 질 들뢰즈(2000), 김현수 역, 『비평과 진단: 문학, 삶 그리고 철학』, 인간사랑. | 미소장 |
30 | 프리드리히 니체(2002), 백승영 역,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트․이 사람을 보라․디오니소스 송가․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 미소장 |
31 | 프리드리히 니체(2007), 김정현 역,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 미소장 |
32 | 프리드리히 니체(2012), 안성찬․홍사현 역, 『즐거운 학문․메시나에서의 전원시․유고』, 책세상. | 미소장 |
33 | 한병철(2012), 김태환 역,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34 | 황임경(2011), 「의학과 서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Vulnerability and Subjectivation in Medicine | 소장 |
36 | The Perception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on Happiness and | 소장 |
37 | Donald E. Polkinghorne(2009), 강현석 외 공역,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 미소장 |
38 | H. 포터 애벗(2010), 우찬제 외 공역,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39 | Daniel Robert Ahern(1990), “Nietzsche as Cultural Physician,” McMaster University, doctoral thesis, p.iii(ABSTRACT). | 미소장 |
40 | Marco Caracciolo(2012), “Reading as Therapy: What Contemporary Fiction Does for Middle-Class Americans,”(Book Reviews) MFS Modern Fiction Studies 58.2, pp.384-38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