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회경(2008), 「토론에서 논증 도식 사용에 따른 비판적 의문과 반박 제기 양상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6학년 소집단 토론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소윤(2007), 「장기기증에 대한 내러티브 메시지와 통계적 설득 메시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감성반응과 인지반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설득'하는 글과 '주장'하는 글의 용어 변별 및 위계화 방향
|
소장 |
4 |
김현미(2014), 「초․중학생의 설득적 글에 반영된 논증 구조 및 논증 도식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민병곤(2004), 「논증 교육의 내용 연구: 6, 8, 10학년 학습자의 작문 및 토론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박영목․김세곤(2005), 「논증 개념의 체계화 연구」, 『교육연구논총』 22,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17-42쪽. |
미소장 |
7 |
Critical Issues on the Message Organization Instruction of Persuasive Speech
|
소장 |
8 |
박재현(2006), 「설득 담화의 내용 조직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개정 교육과정 '설득' 범주의 교육 내용 통합 연구
|
소장 |
10 |
2011 개정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설득' 범주 교육 내용의 재구성을 통한 대안 모색
|
소장 |
11 |
Categories of Argumentation Schemes as Strategy of Argumentative Communication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argument" education content in the Korean text books-
|
소장 |
12 |
작문 교과서의 논설문 수록 양상과 개선 방안
|
소장 |
13 |
설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설득 수준의 상세화와 쓰기 전략 탐색
|
소장 |
14 |
A Study on the Argument Generation Education Contents for Persuasive Writing
|
소장 |
15 |
양경희․박재현(2016), 「설득 관련 용어의 교육적 재개념화와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논증 요소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연구』 10(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97-124쪽. |
미소장 |
16 |
윤태섭(2011), 「내러티브 자극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주장과 근거 관련 용어의 재범주화 : 2007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소장 |
18 |
설득 텍스트의 본질 및 특성과 교수 학습
|
소장 |
19 |
이정찬(2014), 「설득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생성 전략 연구: 고전 수사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자료집』, 한국어교육학회, 55-74쪽. |
미소장 |
20 |
Study on the Principle for Revision of the Content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
소장 |
21 |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작문 맥락 분석 : "국어Ⅱ"의 설득적 글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
소장 |
22 |
Comparison of the Text Structure according to Writing Amount Restriction during Highschool Students` Writing from Sources
|
소장 |
23 |
Aspects on Audienc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Writers -Centered on Survey Research-
|
소장 |
24 |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Context” as the Contents of Korean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e Persuasive Language in Elementary Education-
|
소장 |
25 |
A Study on the persuasive discourse evaluation aspects and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소장 |
26 |
Communication Stereotype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미소장 |
27 |
Williams, J. M., & Colomb, G. G.(2008), 『논증의 탄생』 (윤영삼 역), 홍문관, (원서출판 2007).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