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간계층을 위한 합리적인 규모의 주택, 즉 적정주택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건축가의 역할에 대한 사례로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과 유소니아 전시주택을 대상으로 한다.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은 20세기 초 우편주문주택이라는 주택 공급과 시장 체계에 대한 대응이었다면, 유소니아 전시주택은 유럽 모더니즘 영향에 따른 주택의 대량생산과 전후 대량주택공급업자들의 시대에 대한 대응이었다. 이 두 시대를 동시에 살펴보는 것은 서로 다른 사회적 조건에 대해 건축가가 적정 주택에 접근한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건축가가가 적정 주택에서 자신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적용한 전략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두 시대의 대표적인 주택공급업자들의 주택인 우편주문주택과 대량공급주택의 생산방식, 평면계획방식, 주택정보전달 방식을 조사하고, 이를 라이트의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과 유소니아 전시 주택과 각각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시대의 대표적인 주택공급업자들에 대응하는 라이트의 적정주택 접근 방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결과)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은 목구조 프레임이나 장방형 평면 등과 같이 당시 우편주문주택의 형식들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였다. 다만 풍부한 디테일이나 식당과 거실의 통합, 내부 공간을 함께 보여주는 드로잉 방식은 라이트가 프레리 주택에서부터 보여주었던 그의 고유한 건축적 아이디어가 반영된 결과이다. 유소니아 주택에서는 독자적인 유닛 시스템 적용, 프레리 주택에서부터 주장했던 수평적 확장에 기반한 평면을 적용하였지만, 가족 단란의 중심으로서 부엌과 같은 요소는 대량공급주택에서 가져오기도 하였다. 즉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이 우편주문주택이라는 틀 안을 유지하면서도 라이트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담았다면, 유소니아 전시주택은 프레리 주택에서부터 이어지는 라이트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되, 당시 주택공급업자들의 건축적 요소나 유럽 모더니즘의 영향들을 수용하는 방식을 보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소니아 주택은 아메리칸 시스템 빌트 홈보다 적극적으로 통합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라이트가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제거의 방식은 재료와 구조, 공간과 형태를 모두 통합하며 라이트가 추구했던 건축적 표현을 만들어내었다. (결론) 라이트는 적정주택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건축가가 추구했던 건축적 목표와 함께 고려하며, 이 과정에서 통합성이라는 건축가의 건축적 전략을 점차 강화시켰다. 적정주택에 있어서 경제성이 제약이 아니라 건축가의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 architect’s strategies in designing affordable houses for the middle class through Frank Lloyd Wright’s American System Built-Home and Usonian Exhibition Houses.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 was a response to the Mail Order Houses, a popular housing supply and market system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reas the Usonian Exhibition House was a response to the Mass Builders’ Houses and European Modernism in the post-war era of the mid-20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se two affordable houses at the same time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trategies that the architect can implement when applying architectural ideas to design affordable houses that account for different social conditions. (Method)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in both the Mail Order Houses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Mass Builders of the mid-20th century: construction method, including structures and materials; planning strategies; and the drawings presented to the public. These properties were compared to those of each of Wright’s affordable houses in the same era according to the categories. The analysis sought to determine Wright’s approaches to affordable house design in responding to popular housing suppliers. (Results)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 displayed strong similarities with Mail Order Houses in terms of the wooden framing i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limited rectangular floor plan. However, Wright’s unique architectural ideas inherent in his prairie houses could be found in the rich construction details, integration of dining rooms with living rooms, and interior spaces displayed in the axonometric drawings of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 The Usonian House showed more differences from most mass builders’ houses by developing their own unit system. The L-shaped plan was also earlier than other mass builders’ houses, although it became a popular element later. However, the centered location of the kitchen appeared in Usonian House, representing that family togetherness may have been one of the factors influenced by the social conditions at the time. The American System-Built Homes adopted Wright’s architectural ideas and principles, maintaining the conventional frames of the Mail Order Houses; meanwhile, Usonian Exhibition House added mass builders’ elements or influences of European Modernism to the architectural principles. For the Usonian House, the concept of “integrity” was more aggressively applied, thereby manifesting Wright’s envisioned architectural style of combining materials, structures, spaces, and forms in considering the process of ensuring the economic scale for an affordable house. (Conclusions) Wright developed the concept of integrity as his architectural strategy to pursue both his principles and value for money. It is an example that the economic aspect of an affordable house could be an architect’s strategy, instead of a constraint, in the design proc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共)-창조적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연구 = A Study on Public Library Makerspace as a Co-Creative Place 김철중 p.345-352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써의 플레이스 브랜딩 =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thods of revitalizing idle space : based on European Examples : 유럽사례를 중심으로 김부미, 권영재, 김주연 p.331-344
재난·재해지역 구호활동 지원 서비스를 위한 공간 유형 연구 = Research on space type for providing supporting relief service to disaster areas 최성경, 문정민 p.321-330
소비자 경험 기반의 소매점 서비스 디자인 조사 방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research methods for designing consumer experience-based retail store services 이유진 p.311-319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 공간 디자인 개발 = The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Esthetic Space Design for the Delivery of Brand Image : focusing on the C Brand Esthetic Shop Design Project : C브랜드 에스테틱숍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주형 p.301-309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스토어의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Sports Brand Flagship Store 김진석, 신동준, 김주연 p.289-299
자폐성 아동 특수학교의 시설기준과 프로그램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Facilities Standards and Programs of Special School for Autistic Children 최지연, 공순구, 박지훈 p.277-287
복잡계의 행위자기반모형을 활용한 종합병원의 응급실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Emergency room in General Hospital using the Complex System 김효재, 공순구, 홍기섭 p.265-275
아산 원도심 상업지역 내 걷고 싶은 거리 구간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A study of basic survey to select pedestrian-friendly street in the commercial district of old downtown in Asan City 이기석 p.253-264
외국인 여행자를 고려한 게스트하우스 커뮤니티공간의 특성 = Community Space Characteristics of Guesthouse for Foreign Travelers 안상녕, 황연숙 p.241-252
소비자 체험의 강화를 위한 서비스의 시각화 경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Services for Enhancing Consumer Experience : Service Visualization Strategy and Immersion Factors in Experience-focused Brand Contact Spaces : 체험중심의 브랜드 접점공간을 통한 서비스 시각화 전략과 몰입요소 분석 이정민 p.227-239
그로토프스키의 연극론에 따른 전시소통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Exhibition through Dramatics of Grotowski 이보영, 유진형 p.215-225
지자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for childcare support center in a municipality 홍다은, 최연숙 p.201-214

공공도서관 분관 복합화에 의한 유형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by combining public library branches : focusing on community-based branch libraries 공순구, 김종민 p.189-199

현대 모뉴멘트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emetic expression in modern monument space 윤은경, 남선영 p.177-187

글로벌 허브공항의 장소적 특성에 따른 공공미술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art and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global hub airport : focused 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T2) :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중심으로 강윤경, 이정교 p.129-140

국내 권역 재활병원의 부문별 면적 분석연구 = Comparative analysis and study of the space and area of rehabilitation hospitals in Korea 이택기, 조철호 p.165-175

아니쉬 카푸어 과정미술 작품을 통한 상호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ciprocity through artpieces of Anish Kapoor's process art 오재란, 최익서 p.157-164

문화소외지역의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영국 청소년 센터 디자인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UK youth center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in cultural alienated areas 배지윤, 이경선, 김우종 p.141-155

로컬푸드 직매장의 지속 가능한 모델 수립을 위한 입지 선정 방안 연구 = The location selection for sustainable model of local food market 김인재, 최재문 p.119-127

커뮤니티 비즈니스 디자인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Community business design model construction research : based on drop out business in Seoul 이학진, 최익서 p.103-118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적정 주택에 나타난 통합성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ity in Frank Lloyd Wright's affordable house designs 신은기 p.91-101

1차색의 추상적 상징에 대한 색채연상 특성연구 = Color association characteristics research for abstract symbol of primary color 주정희, 최경실 p.81-90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패션 브랜드VMD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shion VMD applying experience marketing : focused on the SPA flagship store : SPA 플래그쉽 스토어 중심으로 김윤형, 양지윤, 김주연 p.67-79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한국 주요 성당(聖堂)건축 내부 공간 평면구성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loor plan of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s with the use of space syntax analysis : concentrat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s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VaticanⅡ :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한국 주요 성당건축의 비교를 중심으로 권태일 p.55-66

국내 복합쇼핑몰의 가로특성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street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shopping mall in Korea 박두리 p.41-53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brand concepts by color = 브랜드 콘셉트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 나들가게 서비스공간을 중심으로 : with a focus on serviced space of Nadulgages 김성진 p.27-39

A study on luxury through the windows of bergdorf goodman = 버그도프 굿맨(Bergdorf Goodman)의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와 럭셔리이미지 연구 신재민, 이재규 p.11-26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ergdoll, Barry and Jenniffer Gray, (2017). Frank Lloyd Wright : Unpacking the Archive.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미소장
2 Banham, Reyner, (1984). The Architecture of the Well-tempered Environment.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3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ideal houses in publication for the suburban houses of the United States 소장
4 FROM FRANK LLOYD WRIGHT'S USONIAN AUTOMATIC BUILDING SYSTEM: LESSONS AND LIMITATIONS IN A LOST PARADIGM 네이버 미소장
5 Reiff, Daniel, (2000). House from Books: Treatises, Pattern Books and Catalogs in American Architecture 1738-1950. University Park: Penn State Press. 미소장
6 Sergeant, John, (1984). Frank Lloyd Wright's Usonian Houses: Designs for Moderate Cost One-Family Homes. New York: Watson-Guptill. 미소장
7 Smith, Elizabeth, (1989). Blueprints for Modern Living. Cambridge: MIT Press. 미소장
8 Smith, Kathryn, (2017). Wright on Exhibit : Frank Lloyd Wright’s Architectural Exhibitions. Princeton and Lond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9 Wright, Frank L., (1954). The Natural House. New York: Horizon Press. 미소장
10 The Art and Craft of the Machine 네이버 미소장
11 Wright, Gwendolyn, (1984). Building the Dream: A Social History or Housing in America. Cambridge: MIT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