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민주화의 원년”이자 88 서울 올림픽의 감격으로 한데 묶여 회고되는 ‘1988년’에는 직전 해인 87년 6월 항쟁의 ‘승리’가 놓여있다. 1987년 6월 항쟁은 중산층 샐러리맨의 대거 참여라는 대오의 확장에 힘입어 민주주의를 향한 범국민적 열망을 실현한 정치 혁명으로 탄탄히 의미화 되었다. 물론 이와 동시에 6월 항쟁을 지지한 중산층이 제도적 민주화라는 목표가 달성되자마자 빠르게 보수화되었다는 비판적 시각도 엄연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87년에서 88년으로 이어지는 시간들은 적어도 겉으로 보기엔 발전적이고 자연스러운 서사로 읽힌다. 이듬해 1988년 서울올림픽이 실제로 너무나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혁명 공간이 만들어지고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그리고 온 국민이 하나가 되어 민족의 저력을 세계에 보여줬다’는 식의 발전 서사가 대내외적으로 승인될 수 있었다.
이 글은 이처럼 마치 자연스럽고 발전적인 하나의 연속적인 시퀀스로 보이는 87년에서 88년까지, 6월 항쟁에서 88 서울 올림픽까지, 그 시공간을 다시 분절하여 살펴보았다. 매끄러운 발전 서사가 이야기하는 시간의 심층으로 들어가면 그 서사의 주인공으로 내세워지는 ‘국민’이나 ‘대한민국’과 같은 동질적 주체 뒤에 노동자, 빈민, 중산층과 같은 이질적 주체들, 그리고 6월 항쟁과 올림픽을 둘러싼 그들의 다양한 입지와 입장, 그 사이의 충돌과 균열이 모습을 드러낸다. 올림픽을 둘러싼 소설들의 불안과 신경증적 증상은 바로 이러한 균열의 징후이며 이 글에서는 이를 통해 표면적인 발전의 서사 심층으로 들어가 올림픽의 무의식을 재구성해 보았다. 혁명이 이루어지고 민주화가 되고 그리하여 그 저력을 세계에 보여줬다는 식의 서사가 묻지 못하는 것에 집중하여 이 시기를 전후로 하여 올림픽을 형상화 한 소설들의 호소, 알 수 없는 죄의식과 신경증적 증상들에 주목하여 87년 6월 항쟁과 88년 서울올림픽 사이의 시간이 내포한 심층을 ‘올림픽의 무의식’이라는 이름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88년 서울 올림픽을 향해가는 전두환의 시간과 88년을 기점으로 그의 영구집권을 저지하기 위한 혁명의 시간- 경합하던 두 시간의 충돌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폭발적으로 가시화된 경합의 결과인 87년 6월 항쟁에 대한 소설적 형상화의 각기 다른 입장들을 탐색하였다. 6월 항쟁에 참여한 주체는 동질적인 국민이나 민주시민이 아니었으며 다양한 이질적인 주체들이 섞여 있었다. 그러나 6.29 선언 이후 독재자가 사라지면서 올림픽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던 사람들은 민주화 이후 상당히 긍정적 태도로 바뀌었고, 개발주의를 정당화하고 그 배후의 비극을 은폐하는 화려한 올림픽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더 약화되었다. 결국 독재 은폐라는 비판의 근거가 사라진 올림픽은 역설적으로 더 많은 것을 은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민주화 운동에 함께 했으나 그 결과에서 소외되고 올림픽의 축제에서는 더더욱 소외된 노동자와 빈민의 목소리들이 소설 속에 강하게 드러난다. 4장에서는 이 문제가 민주화의 결과와 올림픽 개최의 주요한 수혜자이자 지지자라고 할 수 있는 중산층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들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에 집중하였다. 올림픽 개발 체제, 군사정권의 개발독재 체제에 대한 공모와 죄의식 사이의 길항관계 속에서 알 수 없는 죄책감과 불편한 감정, 신경증적 증상이 미묘하게 표현되어 있는 것을 살폈다. 그리고 그러한 반응이 ‘윤리'에 바탕을 둔 경고나 의심으로 명확하게 발화되는 경우에 대해서 살핌으로써 논의를 확장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향신문』 | 미소장 |
2 | 『동아일보』 | 미소장 |
3 | 『조선일보』 | 미소장 |
4 | (소설·젊은 작가 4인선) 명동부루스 ![]() |
미소장 |
5 | 김종석 외, 『새날, 새날을 여는구나: 제2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 2권, 세계, 1989. | 미소장 |
6 | 김중태, 『당신들의 축제』, 눈, 1988. | 미소장 |
7 | 김한수, 「성장」, 『새벽출정』, 녹두, 1990. | 미소장 |
8 |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4권』, 문학동네, 2011. | 미소장 |
9 |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5권』, 문학동네, 2012. | 미소장 |
10 | 박완서, 『한 말씀만 하소서』, 세계사, 2004. | 미소장 |
11 | 박태순 외, 『밤길의 사람들-신작중편선』, 풀빛, 1988. | 미소장 |
12 | 복거일, 『비명을 찾아서』, 문학과 지성사, 1996. | 미소장 |
13 |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쓰다, 2012. | 미소장 |
14 | 오도엽 외, 『굵어야 할 것이 있다: 제 7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 보리, 1997. | 미소장 |
15 | 정인화 외, 『불매가: 제1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 1권, 세계, 1988. | 미소장 |
16 | 현기영, 『마지막 테우리』, 창비, 2015. | 미소장 |
17 | 김원, 『87년 6월 항쟁』, 비타 악티바, 2009. | 미소장 |
18 | 김규창, 「88서울올림픽 이후 중소기업의 해외투자전망」, 『마케팅』 23권 2호, 한국마케팅연구원, 1989.2. | 미소장 |
19 | 김백영, 「강남 개발과 올림픽 효과-1970~80년대 잠실 올림픽타운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17, 도시사학회, 2017. | 미소장 |
20 | 빈민의 생계윤리 혹은 탁월성에 관하여 | 소장 |
21 | 김종희, 「박정희 정권의 정치이념과 체육정책에 관한 연구」, 『88서울올림픽기념 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12, 한국체육학회, 2000. | 미소장 |
22 | 문학 시장 속의 비평 | 소장 |
23 | 1988 서울올림픽과 시선의 사회정치 | 소장 |
24 | 신성호, 『박종철 탐사보도와 한국의 민주화 정책변화』,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12. | 미소장 |
25 | Historical Development of Sports Diplomacy during the Cold War: With a Focus on South Korea | 소장 |
26 | 오자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미소장 |
27 | 이명순, 「길」, 『굵어야 할 것이 있다: 제 7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 보리, 1997. | 미소장 |
28 | 이완섭, 조영택, 이완희, 「서울올림픽에 대한 의식조사」, 『학생생활연구』 13호, 춘천교육대학 학생지도연구소, 1988. | 미소장 |
29 | A study on Games of the 24th Olympiad Seoul 88 AS Political Society | 소장 |
30 | 88서울올림픽대회의 행사와 경기내용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