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키틀러 디지털 매체론에서의 시지각과 이미지 연구 = The visual perception and image research in F. Kittler's digital media theory / 최소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10.31
수록지명
美學·藝術學硏究 = (The)Journal of aesthetics & science of art. 통권 제55호 (2018년 10월), p.201-23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013676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키틀러의 디지털 매체론에서 인간의 지각과 신체의 의미 및 역할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베르그송의 이미지 존재론에 입각하여 디지털 시대, 인터페이스로서의 몸의 역할을 강조하는 마크 한센은 키틀러의 디지털 매체론을 강하게 비판한다. 이 글은 한센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에 대한 답을 키틀러의 이론 내에서 찾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의 요소를 키틀러 지각이론의 특징으로 규정하였다. 첫째, 헬름홀츠의 정신물리학적 지각론의 계승으로, 이 글에서는 이를 ‘매체를 통한 정보의 축소’로 규정하였다. 키틀러 지각이론의 전사(前史)라 할 수 있는 헬름홀츠의 정신물리학적 연구는 인간의 시지각 메커니즘의 복잡함과 우수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헬름홀츠 당대의 광학장치들은 물론 오늘날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까지도 우리의 시지각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축소’와 ‘왜곡’을 통해 ‘기만’하고 있으며 키틀러 역시 그의 디지털 매체론에서 이를 중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시간축조정’과 연관된 감각적 체험과 기술매체의 ‘오용’ 개념의 중시다. 키틀러는 기술매체가 정보의 암호화와 그 해독과정을 통해 새로운 시간 흐름을 창조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 과정은 우리의 지각체험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러한 특징 분석 과정을 통해 키틀러가 디지털 매체론에서 인간의 신체와 지각에 대한 논의를 거의 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힐베르트의 공리주의와 튜링머신, 그리고 섀넌의 정보이론에서 확인할 수 있듯, 그가 중시하는 디지털화가 인간의 지각과 무관한 비트 정보체계에 의한 암호화와 해독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었으며, 이를 통해 역설적으로 우리의 지각체험은 훨씬 넓어지고 새로워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at human perception and body mean and role in Kittler's digital media theory. Based on Bergson's image ontology, Mark Hansen, who emphasizes the role of the body as an interface in the digital age, strongly criticizes Kittler's digital media theory. In this paper, the following two factors are defined as characteristics of the Kittler's perception theory. First, ‘reduction of information through media’. Helmholtz's psychophysical study, which can be considered the pre-history of the Kittler's perception theory, emphasizes the complexity and excellence of human visual perception mechanisms.

Second, it focuses on the sensory experience associates with ‘Time-Axis-Manipulation’ and the ‘misuse’ of technology. Kittler emphasizes that the technology medium creates a new time stream through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information, which is inseparable from our perception experience. Kittler emphasizes that the digitalization is a process by the bit information system irrelevant to the human perception, but paradoxically, our perception experience can be broadened and renewed by that.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세월호의 귀환, 그 이미지가 원하는 것 = The return of the Sewol-what do the images want? : based on W.J.T. Mitchell's picture theory : 미첼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최종철 p.3-38
베로니카의 후예들 = The descendants of Veronica : iconoclasm and abstract art : 도상 파괴와 20세기 추상 미술 신승철 p.39-76
아비 바르부르크와 그리자이유 이미지 = Aby Warburg and grisaille image : a study on its implication and nowness : 그 함의와 현재성에 대한 고찰 김보라 p.77-10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Logique et esthétique dans l'enseignement et dans le système philosophique de Hegel = 헤겔의 강의들과 철학 체계에서 논리학과 미학 Alain Patrick Olivier p.111-135
고트프리트 젬퍼의 '이상적 뮤지엄' = Gottfried Semper's 'ideal museum' : criticism on the Great Exhibition in 1851 as a blue print for the South Kensington Museum : 사우스켄싱턴 뮤지엄의 청사진으로서 1851년 만국박람회 비판 조새미 p.137-171
생각에 잠긴 이미지 = Pensive image : Rancière's theory on the knot between art and aesthetic experience : 예술과 미적 경험의 매듭에 대한 랑시에르의 이론 황대원 p.173-199
키틀러 디지털 매체론에서의 시지각과 이미지 연구 = The visual perception and image research in F. Kittler's digital media theory 최소영 p.201-23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자연미술의 탈/다중심적 생태미술운동 = Decentralized/multi-centered ecological art movement of 'nature art' : focusing on YATOO-i and global nomadic art project : 야투아이와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성호 p.259-311
퍼포먼스에서 신체적 경험의 직접성과 매개성 = Immediacy and mediacy of bodily experience in performance art : on the interpretation of Marina Abramovic :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작업의 해석을 중심으로 조선령 p.231-258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재현,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미소장
2 A Study for the Computer Graphics, a ‘Weltbild’ of Digital Age 소장
3 F. 키틀러, 『광학적 미디어: 1999년 베를린 강의-예술, 기술, 전쟁』, 윤원화 옮김, 현실문화 2011. 미소장
4 F. 키틀러, 『기록시스템 1800․1900』, 윤원화 옮김, 문학동네 2015. 미소장
5 H. 베르그송, 『물질과 기억-정신과 신체의 관계에 관한 시론』, 최화 역주, 자유문고 2017. 미소장
6 J. D. 피터스, 「프리드리히 키틀러가 선사하는 빛의 향연」, F. 키틀러, 『광학적 미디어: 1999년 베를린 강의-예술, 기술, 전쟁』, pp. 12-13. 미소장
7 J. 크래리, 『관찰자의 기술-19세기의 시각과 근대성』, 임동근․오성훈 외 옮김, 문화과학사 2001. 미소장
8 J. 크래리, 「시각의 근대화」, 『시각과 시각성』, H. 포스터 엮음, 최연희 옮김, 경성대출판부 2004. 미소장
9 M. 페르난데스, 「‘유사생명’; 디지털 아트에서의 과정과 반응성의 역사화」, 『꼭 읽어야 할 예술이론과 비평 40선』, D. 프레지오시 편저, 정연심․김정현 책임번역, 미진사 2014. 미소장
10 W. J. T.미첼, 『그림은 무엇을 원하는가-이미지의 삶과 사랑』, 김전유경 옮김, 그린비 2012. 미소장
11 Gane, N. and Sale, S., “Interview with Friedrich Kittler and Mark Hansen”, in: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4 (7-8), Dec 2007, pp. 323-329 (DOI: 10.1177/0263276407086401). 미소장
12 Helmholtz, H., “The recent progress of the Theory of Vision”, in: Science and Culture, ed. by D. Caha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68/1995, pp. 127-203. 미소장
13 Hansen, M., New philosophy for New media, Cambridge, MA: MIT Press 2006. 미소장
14 Kittler, F., “There is no software”, in: Friedrich Kittler essays: Literature, media, informations systems, ed. by John Johnston, Taylor & Francis Ltd 1997, pp. 147-155. 미소장
15 Computer graphics pioneers 네이버 미소장
16 Kittler, F., “Thinking Colours and/or Machines”, in: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3 (7-8), trans. G. Winthrop-Young, 2006, pp. 39-50 (DOI: 10.1177/0263276406069881). 미소장
17 Kittler, F., “Number and Numeral”, in: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3 (7-8), Dec 2006, pp. 51-61 (DOI: 10.1177/0263276406069882). 미소장
18 Lenoir, T., “Foreword”, in: M. Hansen, New philosophy for New media,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6, pp. xiii-xxviii.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