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여성독립운동가 南慈賢의 항일투쟁 = Anti-Japanese Struggle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 Nam Ja-hyeon / 강윤정 인기도
발행사항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11.30
수록지명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64집 (2018년 11월), p.5-3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016200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南慈賢(1872~1933)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여성을 대표하는 인물로 손꼽힌다. 儒家의 집안에서 태어나 1919년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투쟁 현장에서 활약한 흔치 않은 인물이기 때문이다. 투쟁방법에서도 무장활동과 의열투쟁, 교육을 통한 여성계몽, 거침없는 단지혈서 쓰기와 단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만주 망명 뒤 남자현의 활동은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지역 인사들이 활동과 큰 틀에서 흐름을 같이한다. 이러한 남자현의 투쟁은 정신사적으로는 유학적 대의정신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특히 남편과 아버지를 통해 경험한 義兵的 捨生取義의 정신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만주라는 공간에서 여성으로서 무장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자현이 만주에서 활동 의지를 꺾지 않고, 남성들과 어깨 겨누며 자신의 길을 꿋꿋이 열어간 것은 기독교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남자현은 유학 경전을 읽으며, 경북지역의 당대 남성들이 가지고 있는 대의적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측면도 있었지만, 한편으로 기독교를 수용하면서 근대 여성으로 나아갔던 것이다.

그 때문에 남자현의 이러한 활동은 1919년 3·1운동 이후 민족주의 계열의 여성들 가운데 단연 두드러진다. 1920년대 만주에서 활약했던 여성들 가운데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인물들을 살펴보면 남성들을 내조하거나, 혹은 남편과 함께 활동한 여성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대의 틀을 넘어선 남자현의 행보는 독립운동사를 넘어 한국근대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Nam Ja-hyeon(1872~1933)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women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he was a rare person who fled to Manchuria in 1919 and worked in anti-Japanese struggle scene. The struggle methods ranged from armed activities and struggle, to enlightenment of women through education and even fasting.

After the Manchurian exile, Nam Ja-hyeon’s activities flow in a big frame with the activities of people in Gyeongbuk area centering around Andong. This struggle of Nam Ja-hyeon origina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Confucianism spiritually. Especially, it seemed t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spirit experienced through husband and father.

However, it was not easy to develop armed activities as women in Manchuria. In this situation,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seems to have been a big influence that Nam Ja-hyeon did not break her will to work in Manchuria, but to open the way with men as a woman.

Nam Ja-hyeon read the scriptures of the Confucianism to see the wor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en of Gyeongbuk area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it was living as a modern woman while accepting Christianity.

For this reason, Nam Ja-hyeon’s activities are prominent among the women of the nationalist class after the 3·1 movement in 1919. Among the women who were active in Manchuria in the 1920s, most of the women who were rewarded as independent benefactors were either helping their husbands or working with their husbands. In this respect, Namjahyeon’s movements not only contemporaneously but also occupy a unique position in Korean modern history beyond the independence movement.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여성독립운동가 南慈賢의 항일투쟁 = Anti-Japanese Struggle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 Nam Ja-hyeon 강윤정 p.5-3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김황의 일기에 나타난 유림의 3·1운동 경험과 독립운동 이해 = Understanding Korean Confucian's Experiences of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Viewpoints of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Diary of Young Korean Confucian 서동일 p.41-8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행선거' 연구 = A Study on the 'Proxy Elec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임동현 p.83-12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해방정국기 김원봉의 정치활동 = Kim Won Bong's Political Activities in the Period of Political Situation of Korean Liberations : From Independence activist to Politician : 독립운동가에서 정치가의 길로 한상도 p.121-16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1900~1920년대 日本의 安東領事館 설치와 운영 =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dong Japanese Consulate from 1900s to 1920s 오병한 p.165-2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일제강점기 수형기록카드 현황과 명칭 = A Study on the Status and Name of Prison Record(受刑記錄) Car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박경목 p.201-2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애국가 작사자 관련 논쟁에 대한 검토 = Review of the Controversy Regarding the Writer of the 'Aegukga' as Korean National Anthem 김도훈 p.241-29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동아일보 1927년 12월 10일자; 미소장
2 동아일보 1934년 9월 5일자; 미소장
3 동아일보 1946년 3월 3일·8월 21일자. 미소장
4 신한민보 1928년 3월 15일자; 미소장
5 신한민보 1934년 4월 12일자. 미소장
6 조선일보 1933년 6월 11일자; 미소장
7 조선일보 1946년 8월 21일자; 미소장
8 조선일보 1958년 11월 16일자; 미소장
9 조선일보 1962년 7월 31일자. 미소장
10 조선중앙일보 1933년 8월 26·27·31일자; 9월 13일자; 10월 18일자. 미소장
11 한성일보 1946년 8월 21일자. 미소장
12 가정신문 1946년 8월 21일자. 미소장
13 국민보 1959년 5월 20·27일자. 미소장
14 경향신문 1949년 3월 30일자, 미소장
15 경향신문 2005년 4월 11일자. 미소장
16 「朝鮮革命者後援會ノ發起ニ關スル件」(1927.2.14.), 일제경찰 신문조서 . 미소장
17 한국독립당, 진광 1934년 1월(창간호 중문판, 중국 항주 발행). 미소장
18 부흥 (제2권 2호), 1948년 3월호. 미소장
19 「독립운동사상의 홍일점 여걸 남자현여사」, 부흥 8호, 1948년 12월호. 미소장
20 박영랑 편저, 독립혈사 2, 서울문화정보사, 1950. 미소장
21 김성삼, 나의 생애 , 1975. 미소장
22 이수영 저, 이문열 엮음, 좌해유고 , 뿌리문화연구회, 1996. 미소장
23 이덕주, 「여류 무장 독립운동가: 남자현」, 한국교회 처음 여성들 , 기독교문사, 1990. 미소장
24 박영석, 「남자현의 민족독립운동: 중국 동북지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 숙명여대 한국학연구소, 1992. 미소장
25 김희곤 외, 영양의 독립운동사 , 영양문화원, 2006. 미소장
26 김희곤, 안동사람들이 만주에서 펼친 항일투쟁 , 지식산업사, 2011. 미소장
27 서명훈, 할빈시 조선민족 백년사화 , 민족출판사, 2007. 미소장
28 임해리, 「남자현: 만주벌에 떠도는 여성 독립투사의 붉은 혼」, 누가 나를 조선 여인이라 부르는가 , 가람기획, 2007. 미소장
29 윤희순 의사와 남자현 여사의 항일독립투쟁 소장
30 박용옥,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1, 여성운동 , 독립기념관, 2009. 미소장
31 박영석, 「여성독립운동가 남자현의 민족독립운동」, 만주지역 한인사회와 항일독립운동 , 국학자료원, 2010. 미소장
32 이상국, 남자현 평전: 나는 조선의 총구다 , 세창미디어, 2018. 미소장
33 박 환, 「만주지역 여성독립운동가 남자현」, 2013 경북 여성인물 재조명 심포지엄 자료집 , 2013. 미소장
34 박 환, 「[자료소개] 정의부 기관지 戰友 의 간행과 내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83, 2015. 미소장
35 채영국, 한민족의 만주독립운동과 정의부 , 국학자료원, 2000.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