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 Seeking the Solutions to Realiz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With a Focus on Local-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 노대원 ; 김성백 ; 염미경 ; 이소영 ; 김세헌 1

[요약] 1

I. 서론 2

II.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 4

1.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의 방법론 4

2.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사례 5

III.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 8

1. 지역기반 융합교육 모델의 방법론 8

2.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사례 10

IV.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 12

1.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의 방법론 12

2.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사례 14

V. 결론 : 융합교육의 의의와 기대효과 16

참고문헌 19

[요약] 23

초록보기

이 연구는 과학, 컴퓨터, 문학, 사회 교과의 울타리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을 가늠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융합교육에 접목하며,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만한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 공유, 확산하는 방안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세 유형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세 유형의 융합교육을 다시 연계시키는 융합교육의 전체 구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컴퓨터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포함하여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접목한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및 네트워크를 응용한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교육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역점을 두면서 지역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적용한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문학' '문학-사회' '지역문화-문학 및 사회'의 학제 간 융합교육의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 기반 융합교육 및 융합교육 연구의 방향과 구도를 세우는 데 이 연구는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화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영어과 교수·학습모형 탐색 = A Study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hildren's Stories and Storytelling 윤택남 p.1-19

보기
영·유아 현장전문가 인식차이 분석을 통한 유보통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ation between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rough awareness analysis of infants and toddlers field experts 류영철 p.21-50

보기
초등학교 영어 학업성취도 비교를 위한 검사동등화 연구 = A Comparison of Academic Achieve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Through Vertical Scaling Method 김석우 p.51-67

보기
제주방언 감정 표현 감탄사의 담화 기능 = The Discourse Function of Emotional Exclamations in the Jeju Dialect 문순덕, 김원보 p.69-84

보기
한국어 쓰기와 문법의 통합 교육 방안 = Korean Writing and Grammar Integrated Education Plans 이소영 p.85-100

보기
매인이름씨 '만'의 변천 = A transition of Dependent Noun 'Man' 최대희 p.101-116

보기
『내훈』, 『어제내훈』어미 비교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Naehun> and <Eoje-Naehun> 정수현 p.117-144

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 Seeking the Solutions to Realiz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With a Focus on Local-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노대원, 김성백, 염미경, 이소영, 김세헌 p.145-167

보기
구성주의에 기초한 생태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 An Study on Ecological Education Method based on Constructivism 최소영, 김기대 p.169-192

보기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학술지의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Education Science Research' of Jeju National University. 1 허유순 p.193-217

보기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전공 몰입경험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Experience of Flow in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이석화, 차주환 p.219-235

보기
대학생의 신체활동, 신체만족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이세형, 강형숙 p.237-252

보기
새의 정지 비행을 모형화한 과학실험에서 드론의 평형운동 탐구 = Investigation of a drone's equilibrium in experiments to simulate bird flight 김세헌 p.253-266

보기
대학생 인성지표 개발 = Developing an Indicators for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Level Students 임광명, 박덕병, 윤새은임 p.267-297

보기
로렌츠변환의 선형성에 대한 고찰 = A Note on the Linearity of the Lorentz Transformation 윤종국 p.299-313

보기
통계적 추론에 대한 관찰평가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Observational Assessment Instruments for Statistical reasoning 박샛별, 신보미 p.315-339

보기
자유 탐구 단계별 점검표 활용이 과학 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the Step by Step Checklist for Open Science Inquiry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Gifted 이정희, 김효남 p.341-362

보기
중학교 과학 생명 영역의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과학적 사고력 평가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struments for Scientific Thinking Ability using Science Writing in Life area of Middle School Science 김소연, 정은영 p.363-385

보기

참고문헌 (6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n Problems of Social Enterprise in Jeju and the Ways to Activate it 소장
2 고승한 (2013). 제주지역 사회적경제 정책의 활성화 전략. 제주: 제주발전연구원. 미소장
3 고장원 (2015). SF란 무엇인가?. 안산: 부크크. 미소장
4 Empathy Education through Creativ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Pictures - Focusing on `NT Live: King Lear` - 소장
5 권태환․홍두승․설동훈 (2006). 사회학의 이해. 서울: 다산출판사. 미소장
6 사회적경제에서 공동체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소장
7 Error analysis of initial angle for simple harmonic motion in science experiment education 소장
8 김영순 (2011).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 성남: 북코리아. 미소장
9 Novels and scienc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소장
10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 『신과 함께』<신화편>을 중심으로 소장
11 김진철․양진건 (2015). 유배문화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36, 185-206. 미소장
12 The Posthuman Imagination in Korean Literature: Science Fiction Short Stories Since 2000 소장
13 Jeju Haenyeo in Modern Korean Narrative Culture : 소설, 시, 영화, 웹툰의 해녀 이미지와 그 변화 양상 소장
14 노대원 (2018a). 대체 역사 SF의 젠더 정치학 - 복거일 소설『비명을 찾아서』의 비판적 독해.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23, 47-70. 미소장
15 Posthumanist Criticism and Science Fiction 소장
16 슈테판 헤어브레히터 (2012).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김연순․김응준(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7 신상규 (2014).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서울: 아카넷. 미소장
18 지역개발과 주민이해의 정치 : 중문관광단지 인근 마을공동체의 사례 소장
19 성인지적 지역혁신발전의 가능성 : 제주도의 '신 어촌운동'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20 풍력발전단지 건설과 지역수용성 소장
21 풍력발전시설 입지과정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시사점 소장
22 풍력발전시설 입지문제의 지역 쟁점화 양상과 시사점 소장
23 염미경 (2011a). 개발과 이주 그리고 주거지 분화. 제주도연구, 35, 1-38. 미소장
24 염미경 (2011b).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 김민호 외. 지역사회와 다문화교육. 서울: 학지사. 미소장
25 제주옹기의 문화유산 만들기 과정과 이해갈등 소장
26 염미경 (2012). 제주옹기와 사람들: 소멸과 재현의 지역사. 서울: 선인. 미소장
27 산업화시기 제주 이주자들의 정착과정과 그 특성 : 전라도 출신 이주자들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28 염미경 (2016a). 이주민과 제주사회 함께 살아가기. 평화, 여성, 미래: 제주사회 평화 실현. 제주여성가족연구원 개원2주년 기념 여성․가족정책 국제포럼 자료집. 제주: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미소장
29 The Changing Transmission System of Jeju Onggi and the Process of Making it a Cultural Resource 소장
30 염미경 (2016c). 제주지역 사회적경제와 공동체 경제 만들기: 성 이시돌 농촌사업개발협회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미소장
31 염미경 (2017). 제주4.3, 동아시아 여성과 소수자 인권 그리고 평화. 4.3과 역사, 17, 384-391. 미소장
32 Changes in Structure of Cultural Transmission of Jeju Onggi and Its Response :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Way and the Transmission Principl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소장
33 염미경 (2018b). 현지조사 설계. 최종렬 외.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휴마니스트, 151-173. 미소장
34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regional settlement of Jeju migrants and social network 소장
35 염미경․문순덕 (2016). 산업화시대 이주자 공동체로서 향우회의 역할과 변화. 한국민족문화, 61, 81-119. 미소장
36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due to Industialization and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Teaching Materials 소장
37 오경석 외 (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서울: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38 오영재․염미경 (2014). 고등학교『사회』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환경교육, 27(2), 217-238. 미소장
39 오찬숙 (2015a).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하는 중등 융합교육 레시피. 서울: 지식과 감성. 미소장
40 오찬숙 (2015b). 중등학교에서 융합교육 실행의 쟁점과 과제. 교육학연구, 53(3), 229-264. 미소장
4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리뷰 :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를 중심으로 소장
42 Science Fiction and Convergent Education 소장
43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ergy Policy in the 21st Century: The Need for Energy System Transformation and Desirable Directions for Energy Policy Change 소장
44 한국의 에너지체제와 지속 가능성 소장
45 윤택림 (2004).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미소장
46 법문학비평과 소수자의 내러티브 : 박민규, 윤성희, 김애란의 단편소설에 대한 법문학비평 소장
47 이소영 (2015). 법문학비평과 사회적 기억의 구성: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서 ‘법을 통한 과거청산 ’의 아포리아, 서강인문논총, 40. 미소장
48 이소영 (2016). 우리를 가르는 울타리, ‘우리’라는 울타리 미국 청소년역사책 <디어 아메리카> 시리즈에서 배제/포섭의 서사, 역사문제연구, 33호. 미소장
49 지방정부와 주민간의 갈등관리 방안 모색 네이버 미소장
50 임기환, 초등학교 역사과 내용 구성에서 인물사, 생활사, 문화사 구성의 가능성 탐색: 2015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역사영역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26. 미소장
51 전주상 (2000). 지역개발사업에서의 갈등관리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미간행). 미소장
52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Schemes of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for Green Growth 소장
53 Neoliberal Energy Policy and the Limits to ‘Green Growth’ 소장
54 A Study on the Promotion in the Renewable Energy Area and its Connection to Job Making - lnstruction in Korea by German Cases 소장
55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1 :인구구조와 인구이동 소장
56 한안나 외 (2014). 게임화(Gamification) 사례분석을 통한 활용 현황 및 교육적 활용 가능성.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2014(1), 363-373. 미소장
57 Girl Power and History in the Dear America Series Books 네이버 미소장
58 Data Analysis of Simple Harmonic Motion for the Pendulum by Using a Smart-phone Sensor 네이버 미소장
59 Random-number Seed Selection Problem in Monte Carlo Simulation of Two-Dimensional Dielectric Pseudo-spin Ising Hamiltonian System 소장
60 A Study by Using Smart-phone Sensor of the Damping Factor in a Harmonic Oscillator 소장
61 Anisotropic dielectric properties of two-dimensional matrix in pseudo-spin ferroelectric system 네이버 미소장
62 Lim, J. H. (2008). The Configuration of Orient and Occident in the Global Chain of National Histories: Writing National Histories in Northeast Asia, in Stefan Berger, Linas Eriksonas and Andrew Mycock eds., Narrating the Nation: Representations in History, Media and the Arts, Berghahn Books. 미소장
63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네이버 미소장
64 Wilson, K .(2011). Shaping Identities: Constructing National Character in the Scholastic Press Historical Journal Series, Re-visioning Historical Fiction for Young Readers, Routled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