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편향성에 대한 판단 = A study on the bi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 on machine learning : 기계학습을 중심으로 / 최진선 1

Abstract 1

1. 서론 2

2.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기계학습 2

3.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오류 및 편향성으로 인한 사례 2

3.1. 아마존 사례 2

3.2. MIT 미디어연구소 사례 3

3.3. COMPAS 위험 평가 시스템 사례 3

4. 현행법상 알고리즘 규제 범위 4

4.1. 알고리즘 공개에 대한 규제 범위 4

4.2. 알고리즘 데이터에 대한 규제 범위 5

5. 알고리즘에 대한 정책 방향 5

5.1. 자율규제와 윤리적 설계 5

5.2. 인공지능 활용 정도에 대한 공개의무 부과 5

5.3. 위법한 알고리즘에 대한 규제 강화 6

6. 결론 6

References 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래사회의 규범준거로서 디지털시민성에 대한 시론 = A study on the digital citizenship as the norm criteria of the future society : focusing on historical considerations on citizenship : 시민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오태원 p.1-9

보기
데이터기반행정 구현을 위한 관련 법제도 개관 = Studying legal framework for data :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의 주요내용 및 그 영향을 중심으로 채은선 p.10-18

보기
대학의 디지털 시민교육 방향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조진숙, 김미량 p.19-29

보기
4차산업혁명시대의 사이버윤리와 법교육 = Cyber ethics and law-related educ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전정화 p.30-39

보기
자율시스템으로서의 인공지능과 인공지능윤리의 독자성 = AI as autonomous system and uniqueness of AI ethics 김효은 p.40-46

보기
인공지능에 대한 법인격 부여 가능성에 관한 소고 = Possibility to grant legal personality on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corporation system : 법인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종안 p.47-57

보기
인공지능 담론의 역설과 인간윤리의 새로운 지평 = Paradox of discuss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ssibility of deeper thought of human ethics 윤상필 p.58-66

보기
인공지능이 권리자 불명 저작물 이용시 법적책임에 대한 고찰 = Responsible for using unknown works by artificial intelligence 구문모 p.67-80

보기
디지털 사회에서의 성적 자유에 대한 헌법적 논의 = Constitutional discussion on sexual freedom in digital society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 인공지능 로봇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조창훈, 지승현 p.81-94

보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편향성에 대한 판단 = A study on the bia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 on machine learning : 기계학습을 중심으로 최진선 p.95-101

보기
1인 미디어의 규범과 윤리·문화에 관한 헌법적 접근 = The constitutional approach to the norms and ethics and culture of one person media 김정민 p.102-113

보기
프라이버시 넛징을 통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행사 방안의 효율성에 대한 선호도 조사 및 제안 = Study and proposal for practical way of privacy self-management through privacy nudging 한승훈, 조승철 p.114-120

보기
가짜뉴스에 관한 고찰과 대책 = Legal studies on fake news : on the necessity of redefining the indefinite concept : 불명확한 개념에 대한 재정립 필요성 강수연 p.121-130

보기
현재 댓글 작성 방식의 분석과 새로운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method of commenting and new directions 신유진 p.131-136

보기
가짜뉴스와 차별화된 진짜뉴스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 Policy implications for fake news and real news differentiating 이연준 p.137-14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