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양궁은 일련의 연속적인 동작을 통하여 슈팅 스코어를 비교하는 운동이다. 양궁에서 각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좌·우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와 비전문가들 간에 슈팅전후 좌·우 균형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가자들의 슈팅 동작을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좌·우 균형 변화를 분석하고 6회 반복 슈팅을 통하여 좌·우 균형 변화의 일관성을 분석하였다. 좌·우 균형에 대한 평가는 자체 제작한 족저압 측정판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SI(symmetry index)를 활용하였다. 실험결과 전문가의 경우 슈팅이 진행되는 4개 구간동안 좌우 족저압의 SI값의 변화가 작았지만 아마추어의 경우 SI값 변화가 컸다. 6회 반복 슈팅을 통해 전문가의 경우 SI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아마추어의 경우 일정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아마추어들의 훈련 모니터링 기법으로 활용 가능하겠다.

Archery is the sports that compares shooting scores through a series of consecutive mo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left-right balance during each motion in the archery shoot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left-right balance of the participants changes before and after their shooting between an expert and non-experts. The shooting mot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periods and the left-right balance of each period was analyzed. For analyzing the consistency of left-right balance variation, shooting motion was repeated 6 times. The evaluation of the left-right balance was measured using the SI(symmetry index) with the data obtained from foot pressure measurement board developed by our tea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case of the expert, the change of SI value, which came from the pressure values of metatarsal bone of left and right foot, was smaller than the change of SI value of the non-experts. Through 6 times shooting, it is verified that the change of the SI value of the expert was limited in a certain range. On the contrary, the change of SI value of the non-experts did not show any consistent pattern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thod of monitoring for training of non-exper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호흡재활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Respiration Rehabilitation Program on Pulmonary Function in the Chronic Stroke Patients : meta-analysis : 메타분석 조성현, 김태강 p.300-313

적외선 체열영상을 이용한 요추간판 탈출증 자동진단을 위한 U-Net 모델의 영역분할 유용성 평가 =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U-Net Segmentation Model for Auto-Diagnosis of Lumbar Disc Herniation Using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DITI) 주해인, 김영모, 태기식 p.249-255

이종재료 FDM 3D프린팅 유연저항센서 개발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Resistance Sensor for Dissimilar Material FDM 3D Printing 이선곤, 이선우, 김용래, 박지혜, 김주형 p.268-274

무동력 외골격 보조기기의 착용방법에 따른 설계 변수에 관한 연구 = Parameter study according to wearing method of non-motor exoskeleton assist device 강복구, 고주원, 임도형, 김한성 p.275-282
보행보조로봇의 구동력 보조를 위한 고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보행 단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Gait Ph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ip to Support the Driving Force of the Hip Exoskeleton 박성현, 김현철, 이원영, 최태일, 이응혁 p.314-322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보행보조차 보행 시 하지부의 생체역학적 영향 분석 = Biomechanical Analysis in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alking with a Four Wheeled Walker (Rollator) Using the Motion Analysis System 권혁진, 최세린, 조유라, 이현주, 태기식 p.241-248
광용적맥파를 이용한 개인인증 기술 개발 적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Development of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using Photoplethysmography 문효정, 손재범, 서수원, 정의성 p.291-299
보조기기 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for Assistive Products 김혜원, 김동아, 김장환, 서원산, 손병창, 추유진, 이진복 p.223-231
유도 메치기 훈련용 벡터측정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Vector Measuring Apparatus for Training of Judo 길세기, 이상철, 황종학, 이종백, 최상협, 이현빈, 한영환, 김태완 p.323-329
하지근력 지원이 가능한 보행보조기 개발에 관한 연구 = Study on Development of a Robotic Walker Supporting the strength of lower extremity 이일권, 이응혁 p.256-267
양궁슈팅에서 좌·우 균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left-right balance in archery shooting 조우형, 김연욱, 이승관, 황종학, 심현민, 이상민 p.283-290

듀얼 노즐 FDM 3D프린터를 이용한 정전용량 유연-압력센서 개발 및 분석 =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apacitive flexible-pressure sensor using dual-nozzle FDM 3D printer 이선우, 이선곤, 권장우 p.232-240

참고문헌 (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 G. Kim and J. H. Park, “The Effect of Capability of Aim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Archer Player,” Korea Coaching Development Center, vol. 12, no. 4, pp. 83-90, 2012. 미소장
2 The Effect of Balance Exercise on Postural Control and Shooting Record in Archers 소장
3 Kinematic analysis on the release movement for expert archers 소장
4 J. T. Kim, S. J. Lee and S. S. Kim, “Influence of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on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Top Class Archery Athletes,”Korea Coaching Development Center, vol. 16, no. 2, pp. 99-106, 2014. 미소장
5 G. J. Yoo, K. T. Kim, J. T. Kim, H. Y. Kim and Y. J. Jang, “Posture and Skill Analysis of the Alpine Ski Players using the IMU & Foot Pressure Sensors,” Proceedings of the KIIE, Jeju, Korea, pp. 2537-2543, Apr., 2015. 미소장
6 J. S. Park, “The Archery Training Program and Stereotyped Behavior of Autism Children,” M.S.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2013. 미소장
7 Gait asymmetry in patients with limb length discrepancy 네이버 미소장
8 Association Between Gait Asymmetry and Brain Lesion Location in Stroke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9 T. Karaharju-Huisman, S. Taylor, R. Begg, J. Cai and R. Best, “Gait Symmetry Quantifica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Proceedings of the Seventh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Perth, Western Australia, Australia, vol. 18, no. 21, pp. 203-206, Nov, 20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