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일제강점기 괴담의 특징과 현대 도시전설의 형성에 관한 시고 : 『매일신보』 연재 괴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yt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Formation of Modern Urban Legend : Focus on Goedam(Ghost Stories) in Maeilshinbo(Korea Daily News) / 염원희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11.30
수록지명
한국민족문화. 69 (2018년 11월), p.57-9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034982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현대 도시전설의 형성과정을 논의하기 위한 시론으로 일제강점기 괴담을 대상으로 이야기의 전통적인 맥락과 새로운 이야기로서의 면모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1927년, 1930년, 1936년 『매일신보』에 연재된 괴담을 대상으로 하였다. 1930년대 전후의 괴담은 과거로부터 당시까지 전승되고 있었던 비현실적인 존재나 비일상적인 공간을 소재로 하면서 범죄, 오해, 가십 등으로 영역이 확장되었다. 또한 ‘누구에게 들었다’와 ‘내가 체험했다’를 강조하며 괴담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새로운 이야기로 등장하였다.

그 중 도깨비와 흉가는 전통적인 이야기에서의 모습을 고수하면서도 불안한 시대상을 내포한 소재로 신문기사와 괴담의 단골 소재가 되었다. 서술방식의 변화, 사실적 경험담 등의 특징은 당대 대중문화의 형성과 개인과 경험에 대한 관심이라는 시대적 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이와 같은 괴담의 특징은 현대 도시전설에서도 다양하게 확인되는 바,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As a comment to discuss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urban legend, the traditional context and aspects as new stories of the myt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examin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myths published in a series in in 1927, 1930 and 1936. The materials of the myths around 1930s were unrealistic beings or nondaily space that had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to those days, and then were expanded to crimes, misunderstandings, gossips and so on. In addition, stories with emphasis on ‘I've heard it from someone’ and ‘I've experienced it’ under the title of a myth appeared as new stories.

Among them, goblins and haunted houses were the materials that kept to their figures in traditional stories, yet involved uneasiness of those times, and became frequent subjects of newspaper articles and myths. The changes in their descrip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tic stories of personal experiences were the results that the changes of the times, such as the formation of pop culture of those days and the interest in individuals and experiences, had been reflected. Moreo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yths are found in the modern urban legend in various ways, continuous study on them need to be conduct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융희년간 일제의 국유지 조사와 법률적 성격 = The National Land Surve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Legal Nature during the Yung-hui Period : 전남 나주군 궁삼면 고등법원 판결문을 중심으로 최원규 p.227-301
19世紀 朝鮮 慶尙道 烽燧와 備置物資 硏究 = A Study on the Signal-Fire and Equipment on Kyungsang Province in 19th Chosun Dynasty 박진철 p.149-181
한국어 피동표현의 기능과 사용 양상 변화 = A Study on the Function and Changes of the Use of Korean Passives 서민정 p.3-23
신문의 라디오를 통해 본 1960년대 초의 한국, 한국인의 전환과 시대 의미 = The Transition and Its Historical Meaning of Korea and Korean in the Early 1960s as Seen through the Radio in the Newspaper 박영구 p.435-466
일제강점기 괴담의 특징과 현대 도시전설의 형성에 관한 시고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yt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Formation of Modern Urban Legend : Focus on Goedam(Ghost Stories) in Maeilshinbo(Korea Daily News) : 『매일신보』 연재 괴담을 중심으로 염원희 p.57-9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소수민족문학사 서술의 전략 = Narrative Strategies of Korean Chinese Literary History : 오상순 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를 중심으로 백지윤 p.91-116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 = Agricultural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20s 이영학 p.303-336
동래부 小通事 金采吉 관련 준호구와 그의 개항 전후 활동 = Junhogu Related to Dongnaebu Sotongsa Kim Chaegil and His Activities Before and After Opening of Port 김동철 p.183-225
조선 초기 三將帥 가문의 활동과 평가 = The personality and the activities of three offic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 on the re-evaluation of General Lee-Jingseok : 李澄石 將軍을 중심으로 변광석 p.117-148
교육 생태적 시각에서 본 동북삼성 조선족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of Korean-Chinese Minority Education in Three Northeast Provinc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Ecology 김해영 p.379-434
여성주의 시각으로 본 만주 조선인 여전사의 항일운동 = The Anti-Japan Movement of Manchurian Korean Female Soldiers Seen from Feminist Vision 방미화, 현청하 p.337-378
『창조』와 3.1 운동 = A Study of modern magazine 『Chang Jo』 and 3.1 Movement 김영민 p.25-5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매일신보』 미소장
2 한국구비문학대계 미소장
3 강만길, 「토막민의 생활」, 『日帝時代貧民生活史 硏究』, 창작사, 1987. 미소장
4 권보드래, 『1910년대, 풍문의 시대를 읽다-『매일신보』를 통해 본 한국근대의 사회ㆍ문화 키워드,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미소장
5 김종대, 『민담과 신앙을 통해 본 도깨비의 세계』, 국학자료원, 1997. 미소장
6 김종대, 『한국의 학교괴담』, 다른세상, 2002. 미소장
7 도시에서 유행한 <빨간 마스크>의 변이와 속성에 대한 시론 소장
8 The Study on Gui-Shin and ghost story in Choson dynasty 소장
9 ‘기괴’에서‘괴기’로, 식민지 대중문화와 환멸의 모더니티 소장
10 The Emergence of the Korean Detective Story with a Focus on The Conceptual History of "Tamjeong(detective)" and "Gi`goe(mystery)" 소장
11 나카무라 시즈요(中村静代), 「『每日申報』と『京城日報』の怪談硏究」, 일본문화연구 56,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10. 미소장
12 소래섭, 『에로 그로 넌센스 근대적 자극의 탄생』, 살림, 2005. 미소장
13 일제강점기 괴담의 특징과 한국 공포물의 장르적 관습 소장
14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소장
15 염원희, 「사회적 참사 소재 도시전설의 유형과 의미」, 『한국민속학』 제63집, 한국민속학회, 2016.5. 미소장
16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of Crime Stories and Their Social Meanings 소장
17 염원희, 「한국 도시전설의 세계 광포형 연구와 관한 시고-<귀신을 태운택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62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b. 미소장
18 A Study on the Variation and Meaning of Boojeonghan-Chesayumsik Tales(Unclean event of Ancestor Worship) 네이버 미소장
19 Literary Images of the Haunted House and Their Significance - Records from Chosun Dynasty 네이버 미소장
20 Cathegories, Genres, and Future Prospects in Contemporary Folktales 소장
21 제국의 감각 : '에로 그로 넌센스' 소장
22 Modern Interest in the Written Transmission of Stories and the Spirit of Recording 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