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Study on the he Substance, Human and Thinking of Space in Architectural work of Ando Tadao | 소장 |
2 | 박성자(2015),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 미소장 |
3 | 서영채(2017), 『죄의식과 부끄러움』, 나무나무출판사. | 미소장 |
4 | 송우혜(2017), 『윤동주평전』, 서정시학. | 미소장 |
5 | 신윤수 외(2014), 『영혼의 가압장』, 종로문화재단. | 미소장 |
6 | 윤동주, 정우택 엮음(2014), 『별 하나에 시』, (재)종로문화재단. | 미소장 |
7 | 이종관(2007),『공간의 현상학 풍경 그리고 건축』,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8 | 이종건(2016), 『시적 공간』, 궁리. | 미소장 |
9 | 정과리(2008), 네안데르탈인의 귀향,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0 | Benjamin, Walter(2007), .김영옥 외(역), 『일방통로, 사유 이미지』, 길. | 미소장 |
11 | Gaston Bachelard(2003), 곽광수(역), 『공간의 시학』, 동문선. | 미소장 |
12 | Martin Heidegger(2011), 신상희(역), 「인간은 시적으로 거주한다」, 『강연과 논문』, 이학사. | 미소장 |
13 | Otto Friedrich Bollnow(2011), 이기숙 (역),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스. | 미소장 |
14 | 가라타니 고진(2005), 박유하(역),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 미소장 |
15 |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the second landscape’ and a ontological moment | 소장 |
16 | 이종관(2001), 「공간·시적 건축·프라하의 비밀, 『철학과 현상학 연구』18. | 미소장 |
17 | 이현아(2015), 「다층적 기억: 재생의 패러다임과 메모리얼 건축의 변화 양상-윤동주문학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윤동주기념사업회 홈페이지, http://yoondongju.yonsei.ac.kr /intro/family.html. | 미소장 |
19 | 종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s://www.jfac.or.kr/site/main /content/yoondj0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