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컬포츠를 활용한 선사체험 하이킹의 교육적 활용 방안 =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of prehistoric experience hiking using culports / 박성권 ; 이헌종 ; 김선영 1

요약 1

I. 머리말 2

II. 선사체험 하이킹의 컬포츠적요소 검토 3

III. 선사체험 하이킹의 문화교육 프로그램 6

1. 선사체험 하이킹의 경유·목적지 7

2. 선사체험 하이킹의 이동경로 17

IV. 선사체험 하이킹의 교육적 활용 19

1. 교육적 배경 19

2. 선사체험 하이킹의 활용방안 22

V. 맺음말 23

參考文獻 25

Abstract 28

초록보기

문화교육은 인간으로 깨우치고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문화의 가치를 공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점에서 문화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점차 복잡해지는 사회 속에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들어 문화적 소양을 쌓기 위한 개개인들의 욕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이후, 많은 박물관과 전문기관에서 문화유산의 활용방안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교육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컬포츠(culports)는 culture와 sports의 합성어이다. 문화적 요소와 광의의 개념에서 체험적 요소를 융합한 컬포츠는 문화인재 양성교육과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문화자원을 체계화하여 대중적 문화콘텐츠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문화생태학적 관점에서 학습자에게 경관자원의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문화유산의 올바른 이해와 문화지식 습득의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신단련 이외에 교육적 요소(역사, 지리, 식생 등)를 지니고 있는 하이킹과 다양한 선사체험 프로그램을 결합한 선사체험 하이킹은 자기주도 체험학습의 일환으로 다양한 문화적 지식을 습득하고, 보다 깊이 있는 사고활동을 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사체험 하이킹의 고고학적 의미는 1) 선사시대 수렵채집민의 생계활동에 따른 자원 획득·활용, 행동양식 등 다양한 고고학적 문화해석을 파악한다. 2) 선사시대 수렵채집민의 생존전략인 이동성(mobility)을 이해한다. 3) 선사시대 수렵채집민의 자원 획득·활용에 따른 다양한 기술적 연관성을 이해하고 체득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아직 기초적인 단계의 제안에 불과하지만, 선사체험 하이킹은 과거 선사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이 자연경관을 활용하는 과정을 체득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서, 선사인의 생활·문화상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교육적 효과가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문제해결력과 사고력,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육체적·정신적 능력을 함양시키는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인문·사회과학적 소양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립대학박물관의 설치과정과 현재 = Establishment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national university museum 조진선 p.79-110

보기
발굴유물의 효율적 관리와 장기미발간보고서의 발간 전략 = Use of excavated relics and publication of long-term unpublished reports : focused on Yeungnam University Museum : 영남대학교박물관의 사례 김대욱 p.139-165

보기
대학박물관의 조사 유적을 활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순천 월평유적군과 구석기인의 길' = "Path of the Paleolithic Man" : an experience program explores Paleolithic life and culture along Wolpyeong site cluster 이기길, 김수아 p.7-30

보기
남한산성 외성 여장 사춤재와 현대 사춤재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outer castle pointing and modern pointing in Namhansanseong Yeojang 김은경, 안선아, 남병직, 강소영 p.61-77

보기
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 Changes of the dolmen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uncheon area 송만영 p.31-60

보기
컬포츠를 활용한 선사체험 하이킹의 교육적 활용 방안 =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of prehistoric experience hiking using culports 박성권, 이헌종, 김선영 p.111-138

보기

참고문헌 (6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江原考古學硏究所, 2003, 『魯峰 舊石器遺蹟』. 미소장
2 江原文化財硏究所, 2005, 「동해 망상동 기곡 구석기유적」, 『동해고속도로 확장공사구간내 유적 발굴조사 조사 보고서』. 미소장
3 江原文化財硏究所, 2011,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Ⅱ)-동해 망상동 419-2번지 농가창고 신축부지내유저 시굴조사』. 미소장
4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2004, 『거창 서울우유 농공단지 조성부지내 居昌 正莊里 遺蹟Ⅰ-舊石器時代-』. 미소장
5 국방문화재연구원, 2011, 『연천 전곡도시계획도로 중1-2호선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연천 전곡리 구석기유적』. 미소장
6 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1983, 『全谷里 遺蹟發掘調査報告書』. 미소장
7 박희현, 1990, 「창내의 후기 구석기시대 막집의 구조와 복원」, 『博物館紀要』 6, 檀國大學校 中央博物館. 미소장
8 裵基同, 1989, 『全谷里-1986年度 發掘調査報告-』, 서울大學校博物館. 미소장
9 배기동·고재원, 1993, 『전곡리구석기유적발굴조사보고서-1992년도』,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미소장
10 배기동·최재호, 1994, 「전곡리 5지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91년)보고」, 『보성강·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미소장
11 배기동·이한용·신영호·황소희·오연숙, 1996, 『전곡구석기유적-1994-’95년도 발굴조사보고서-』,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미소장
12 서울대학교박물관, 2011, 『전곡 중2-5 개설공사 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미소장
13 서울대학교박물관, 2012, 『전곡 농협 주유소 신축공사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미소장
1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 교육학 사전』, 도서출판夏雨. 미소장
15 손보기, 1984, 『상시 1그늘 옛살림터』, 연세대학교 선사연구실. 미소장
16 손보기, 1993, 『석장리 선사유적』, 東亞出版社. 미소장
17 손보기, 2009, 『석장리 유적과 한국의 구석기문화』, 학연문화사. 미소장
18 (A)Development of Mobile-based Experiential Learning Assessment Standard and its Application 소장
19 연세대학교 박물관, 2009, 『제천 점말동굴유적 종합보고서』. 미소장
20 The Jingeuneul Upper Palaeolithic Site in Jinan County of Submerged Area around the Yongdam Dam and Its Significance 소장
21 이융조, 1984, 한국의 구석기문화(Ⅱ)』, 探求堂. 미소장
22 李隆助, 1984, 「丹陽 수양개舊石器 遺蹟發掘調査 報告-1983·84年度-」, 『忠州댐 水沒地區 文化遺蹟發掘調査綜合報告書-考古·古墳分野(Ⅰ)』, 忠北大學校 博物館. 미소장
23 李隆助, 1985, 「丹陽 수양개舊石器 遺蹟發掘調査 報告-1985年度-」, 『忠州댐水沒地區 文化遺蹟延長發掘調査報告書』, 忠北大學校 博物館. 미소장
24 A Study on the Training Education for Culturally Talented Students by the Use of Culports :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소장
25 장대훈, 2009, 「거장 정장리 구석기유적의 석기제작소 연구」, 『嶺南考古學』 48, 嶺南考古學會. 미소장
26 全北大學校博物館, 2007, 『長水 砧谷里 舊石器遺蹟』. 미소장
27 鄭永和, 1984, 『全谷里 發掘 中間報告』, 嶺南大學校博物館. 미소장
28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0, 『순천 죽내리 유적』. 미소장
29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2, 『순천 월평 유적-1998년 1차 발굴-』. 미소장
30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4, 『순천 월평 유적-2001년 2차 발굴-』. 미소장
31 조선대학교 박물관, 2009, 『순천 월평 유적-2005년 3차 발굴-』. 미소장
32 최석진·김인호·남효창·박선미·심현민·이소영, 2001, 「체험 환경교육의 이해 및 실제-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연구보고서』, 한국환경교육학회. 미소장
33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1991, 『淸原 두루봉 흥수굴 發掘調査 報告書』. 미소장
34 충북대학교 박물관, 1991, 『단양 구낭굴 발굴보고(Ⅰ)-1986·88년도 조사-』. 미소장
35 忠北大學校 先史文化硏究所, 1992, 『和順 大田 舊石器時代 집터 復元』. 미소장
36 忠北大學校 博物館, 1999, 『丹陽 九郎窟 遺蹟(Ⅱ)-1998年度 調査-』. 미소장
37 忠北大學校 博物館, 2003, 『垂楊介 Ⅲ지구 舊石器遺蹟-先史遺物展示館 建立豫定地域 試掘調査-』. 미소장
38 단양 상시 3바위그늘 유적의 성격 소장
39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丹陽 垂楊介 Ⅲ지구 舊石器遺蹟(9次)』. 미소장
40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丹陽 垂楊介 Ⅲ지구 舊石器遺蹟(10次)』. 미소장
41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2009, 『전곡리구석기유적 제5-2지점 발굴조사보고』. 미소장
42 潮見浩, 2000, 『図解技術の考古学』(改訂版), 東京: 有斐閣. 미소장
43 Benson, P., 2011, Teaching and researching autonomy, Routledge. 미소장
44 Berengeur, M., 1994, PREHISTORIC CAVE ART IN NORTHERN SPAIN ASTURIAS: Arte Prehistorico en cuevas del Norte de Espana Asturias, Frente de Afirmación Hispanista. 미소장
45 Binford, L. R., 1980, Willow smoke and dogs’ tails: hunter-gatherer settlement systems and archaeological site formation. American Antiquiy 45(1),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6 Colin F. Taylor., 2005, Native American Weapons, University of Okahoma Press. 미소장
47 Colin Renfrew. & Paul Bahn., 2006, 『현대 고고학의 이해』, 사회평론. 미소장
48 Preparing for the Hunt in the Late Paleolithic Camp at Rekem, Belgium 네이버 미소장
49 Jo McDonald., Peter Veth., 2012, A Companion to Rock Art, Wiley-Blackwell. 미소장
50 Leroy-Gourhan, A., Allain, J., 1979, LASCAUX inconnu, Éditions du CNRS. 미소장
51 M. -L. inzan., M. Reduron-Balinger., H. Roche., J. Tixier., 1999, Technology and Terminology of Knapped Stone, Nanterre: CREP. 미소장
52 Martin, A., 1996, Student-directed learning: Teaching self-determination skills, Brooks/Cole, pp.224~248. 미소장
53 Matt Doeden, 2009, Weapons of the American Indians, Mankato, Minnesota: Capstone press. 미소장
54 Monte Burch, 2007, Making Native American Hunting, Fighting, and Survival Tools: The Complete Guide To Making And Using Traditional Tools, The Lyons Press. 미소장
55 Murray, G., 2014, Exploring the social dimensions of autonomy in language learning, Social dimensions of autonomy in language learning, Palgrave Macmillan UK, pp.3~11. 미소장
56 O’onnell, J. F. and K. Hawkes., 1981, Alyawara Plant Use and Optimal Foraging Theory, Hunter-Gatherer Foraging Strategies: Ethnographic and archeological analyses(Prehistoric archeology and ec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99~125. 미소장
57 Robert L. Kelly, 2014, 『수렵채집 사회-고고학과 인류학-』, 사회평론. 미소장
58 Benson, P. & Vollier, P., 1997, Autonomy & Independence in Language Learning, London: Longman, pp.54~65. 미소장
59 Smith, E. A., 1988, Risk and uncertainty in the ‘original affluent society’: evolutionary ecology of resource sharing and land tenure, Hunters and Gatherers 1: History, Evolution, and Social Change, Oxford: Berg, pp.222~251. 미소장
60 Thomas F. Kehoe, Frances Eyman, 1974, The Gull Lake site: A prehistoric bison drive site in southwestern Saskatchewan, Milwaukee Public Museu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