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페미니스트 철학자 윤지영은 “남성 혐오는 가능한가?” 묻고 남성 혐오는 없으며 단지 남근질서와 여성혐오에 대한 분노만이 있다는 도발적인 주장을 내놓았다. 이 논문은 윤지영의 이러한 주장을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의 입장에서 살펴본다. 먼저 혐오는 남성의 보수적 파토스이고 증오는 여성의 혁명적 파토스라는 윤지영의 주장을 따라가 본다. 이어 윤지영의 주장을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재구성하여 여성 집합의례를 경험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획으로 제출한다. 마지막으로 페미니스트 철학과 문화사회학의 접점을 이론적 차원과 경험적 차원에서 모색해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대 일본 사회와 꿈의 사회사 = A study on the social history of dreams in postwar Japan : 이상의 시대부터 불가능성의 시대까지 박해남 p.319-354

아이의 얼굴에 깃든 발전의 꿈 = The dream of development envisaged in the visage of the kid : critical analysi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KOICA : 한국국제협력단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분석 조민서 p.215-272

응답의 사회학과 페미니즘 철학의 접속점 = The point of connection between feminist philosophy and the sociology of the response : "남성혐오는 가능한가?: 페미니스트 철학자 윤지영의 물음에 대한 한 남성 문화사회학자의 응답"에 대한 답변 윤지영 p.61-82

세월호 참사를 통한 폭력과 신자유주의에 대한 재사유 = Rethinking violence and neoliberalism by the case of the Sewolho disaster 박소진 p.147-185

마음에 대한 믿음을 문제화하기 = Questioning the belief in 'Maum' : 몸의 은유와 마음의 삼각형 박세진 p.413-472

보이지 않는 군인들 = Invisible others : institutional homophobia and identities of sexual minority in the Korean military : 한국 군대 내 동성애혐오와 성소수자 정체성 정성조, 이나영 p.83-145

말의 힘과 사회적 주술 의례 = Power of word and social ritual of magic :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Pierre Bourdieu and Judith Butler : 말의 힘에 대한 피에르 부르디외와 주디스 버틀러의 사이의 논쟁을 경유하여 김주환 p.355-412

보다 나은 질적 연구 방법 모색기 = Qualitative research issues and future implications : based on the failures/dilemmas of a researcher adopting grounded theory method : 근거이론 연구 수행의 실패와 갈등 경험을 중심으로 김은정 p.273-318

남성 혐오는 가능한가? = Is it possible for women to hate men? : a male cultural sociologist's response to a question raised by Ji Yeong Yun, a feminist philosopher : 페미니스트 철학자 윤지영의 물음에 대한 한 남성 문화사회학자의 응답 최종렬 p.7-60

전문인 집단에 대한 신뢰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 study of determinants of trust on expert groups : a focus on legal profession, professors, and scientists : 법조인, 교수, 과학자 집단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함의 박찬웅, 송민, 배영 p.187-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