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가로공공시설물 개발사례를 통한 디자인 관점 및 디자인 방향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design perspective and design direction through the case of public street furniture design / 오승호 1
Abstract 1
국문요약 2
1. 서론 2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1.2. 연구범위 및 방법 3
1.3. 용어의 정의와 연구의 범위 3
2. 문제의 발견(Discover) 4
2.1. 형태적 관점의 문제 4
2.2. CMF 관점의 문제 5
2.3. 사용자중심 관점의 문제 6
3. 개발사례 및 아이디어 정의(Define) 7
3.1. 역사/문화공간 사례 - 형태적 관점 7
3.2. 자연공간 사례 - CMF 관점 8
3.3. 도심공간 사례 - 사용자중심 관점 9
4. 방광 및 해결책 구체화(Develop) 10
4.1. 형태적 관점의 접근 10
4.2. CMF 관점의 접근 10
4.3. 사용자 중심 관점의 접근 11
5. 결론(Deliver) 11
참고문헌 1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윤성원. (2012).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서울: 한국디자인진흥원. | 미소장 |
2 | Research Reports : Extract the Design Factors and Definition from Public Properties on the Street | 소장 |
3 | 김선아. (2010). CMF의 이해. 서울: 비쥬얼스토리공장. | 미소장 |
4 | 김영진. (2014).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본 서울역사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디자인총괄추진단. (2010). 경기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경기도: 경기도청. | 미소장 |
6 | 조달청. (2018). 나라장터 국가종합전자조달. http://www.g2b.go.kr/pt/menu/selectSubFrame.do?fr amesrc=/pt/menu | 미소장 |
7 | 경기도. (2018). 우수공공시설물 디자인인증제. http://design.gg.go.kr/community/gooddesign | 미소장 |
8 | 마이크 스틱도른. (2012).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서울:안그라픽스. | 미소장 |
9 | A Study on Seoul City Public Accommodation Thing Policy and Design Directionality | 소장 |
10 |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Case for the Sustainable Street Furniture Design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