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연구 = A study on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곽철완 p.37-50
Mendeley co-readership 정보를 활용한 한국 관련 논문의 글로벌 독자 국가 네트워크 분석 = Network analysis of readers' countries of korean studies using mendeley co-readership data 조재인, 박종도 p.107-124
정보문화와 조직문화 유형이 지식활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effects of information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knowledge utilization 서은경, 박희진 p.285-308
유튜브(YouTube) 채널을 통한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 활용방안 = The utilization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via YouTube channel 박지영, 백지연, 김유현, 오효정 p.165-193

대학도서관 희망도서의 신청 패턴과 이용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ttern and efficiency of patron-driven acquisition in academic libraries 권소담, 남영준 p.263-284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노영희, 노지윤 p.77-106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 focusing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김지현 p.7-36
기술과학 분야 학술문헌에 대한 학습집합 반자동 구축 및 자동 분류 통합 연구 = Semi-automatic construction of learning set and integration of automatic classification for academic literature in technical sciences 김선우, 고건우, 최원준, 정희석, 윤화묵, 최성필 p.141-164

사서교사의 저작권 수업 방식이 고등학생의 저작권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teacher librarian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copyright education 오지민, 김기영 p.195-222
단과대학별 도서관 장서 활용 현황 분석을 위한 대출데이터 기반 대출지수 비교 = Analysis of circulation measures based on circulation data of colleges in a university 최상희, 이재윤 p.125-140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한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services through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정대근, 노영희 p.51-75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based on digital humanities 한상우 p.223-236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school libraries to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the willingness : focusing on Seoul high schools : 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신윤정, 김기영 p.237-261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영민, 강인철 (2000), 지방폐교시설의 노인요양시설 활용가능성 연구: 진주시 근교 폐교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0(3), 197-210. 미소장
2 권영현, 이인배, 김경태, 권미정 (2012). 충남 농산어촌 폐교의 실태와 활용성 제고 방안. 공주: 충남발전연구원. 미소장
3 김기남 (2011). 폐교의 처분과 활용. 석사학위논문, 경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미소장
4 김성화 (2010). 전라북도 초등학교 폐교시설의 지역특성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 미소장
5 김윤희 (2010). 농촌 다문화가정 복합문화센터 실내공간 계획: 폐교재산 활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미소장
6 김재영, 이종국 (2012). 사례조사를 통한 폐교 활용 노인요양시설의 공간 분석. 2012년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93-98. 미소장
7 A Comparative Study on the Utilization Policy for Closed Schools in Korea and Japan 소장
8 김홍열, 임영환 (2016). 폐교를 활용한 기숙형 중학교 공간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48-1251. 미소장
9 도심 폐교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구) 수도여고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소장
10 농촌마을의 활성화를 위한 폐교시설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소장
11 마상진 (2010). 농촌의 폐교활용 실태와 정책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12 박의창 (2018). 한국과 일본의 폐교활용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설공학과. 미소장
13 Th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the Closed School 소장
14 A Study on Space Planning of Accommodations for Experiential Activities by Remodeling Closed Schools 소장
15 농어촌 지역 폐교지 활용실태에 관한 기초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소장
16 오원진 (2013). 폐교재산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소관 폐교재산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 미소장
17 이선철 (2006). 폐교의 개념과 활용 현황에 대한 이해, 지역주민의 문호예술교육공간으로서 폐교활용방안 포럼, 2006 문화예술교육 포럼. 미소장
18 이성섭 (2014). 폐교재산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방안 연구: 경상남도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 미소장
19 이영실 (2011). 폐교를 활용한 문화시설의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예술기획전공. 미소장
20 A Case Study on the Remodeling Plan of Closed School as Elderly Facility And Developing Composition Type -Implication of Chungok Elementary School- 소장
2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Closed School Facilities with the Use of Natural Circulation Typed Complex Experience Center 소장
22 The Status and Application Cases of Closed Schools, Expecting the New Horizons 네이버 미소장
23 임환수 (2005). 폐교시설을 활용한 대안학교 설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미소장
24 Green Tourism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Policy Making of Rural Closed School - Case By Chungcheongnamdo Province - 소장
25 전영도 (2008). 폐교시설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미소장
26 忠北 未活用 閉校의 實態와 活用方案에 대한 調査硏究 소장
27 조성찬 (2006). 폐교재산 활용방안에 관한 법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법학과. 미소장
28 Local Publicness and Locality- Extension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Publicness Concept Viewed through Problems of Closed School 소장
29 허성훈, 이종국 (2012). 폐교시설을 활용한 재가노인복지시설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99-104. 미소장
30 Evaluation Indicators for Green Libraries and Library Eco-friendliness 소장
31 Landscape Times (2017, June). 삼척시, 폐교 활용해 ‘삼척미로정원’ 개장. Retrieved from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6344 미소장
32 경남교육청폐교활용안내센터 (n.d.) 폐교재산활용 안내. Retrieved from https://www.gne.go.kr/index.gne?menuCd=DOM_000000125007000000 미소장
33 경북신문 (2018, April). 대구교육청, `2․28기념학생도서관’ 첫 삽. Retrieved from http://www.kbsm.net/default/index_view_page.php?idx=205389 미소장
34 국민일보 (2017, July). 파주시, 폐교 활용한 ‘별난독서캠핑장’ 21일 개장. Retrieved from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621179 미소장
35 뉴스원 (2017, November). 의령군, 폐교돼 방치된 시설 ‘가족휴양시설’로 바꾼다. Retrieved from http://newsone.co.kr/?p=5766 미소장
36 매일경제 (2014, August). 텅 빈 폐교 활용해 연간 ‘5억원’ 매출. Retrieved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122585 미소장
37 아르떼365 (2006, December). 현실에 기반한 일본의 폐교 활용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Retrieved from http://www.arte365.kr/?p=4111 미소장
38 용인시민신문 (2007, December). 도시재생 개발보다 문화가 중심돼야. Retrieved from http://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28 미소장
39 용인시민신문 (2007, December). 유휴공간 지역공동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 Retrieved from http://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04 미소장
40 중앙일보 (2018, August). 생활SOC 이름 붙였지만, 문 정부도 결국 SOC로 경기 부양. Retrieved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22919261 미소장
41 지방교육재정알리미 (n.d.). 폐교정보. Retrieved from http://www.eduinfo.go.kr/portal/main.do 미소장
42 채경혜 (2011, December). 워크샵-폐교공간을 문화적으로 활용한 일본도시들의 사례. Retrieved from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NAZf&fldid=jof2&datanum=30 미소장
43 충청매일 (2018, August). 2021학년도에 전국 38개 대학교 폐교 전망. Retrieved from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730 미소장
44 충청메시지 (2018, May). 부여군, 폐교가 노인대학으로 부활. Retrieved from http://www.ccmessage.kr/news/articleView.html?idxno=3352 미소장
45 한국금융 (2014, August). 폐교를 드론 개발 사업장으로. Retrieved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12258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