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산진 일신여학교의 3·11 독립만세 시위와 여성운동 = 3·11 hurray demonstration of Busan Jin Ilshin women's school and women's movement 오미일 p.57-104
3·1운동 이후 부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성격 = The characters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Busan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김형목 p.153-190
부산지역 음악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 조사를 통한 음악비평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music criticism through the survey with music producers and consumers in Busan 박진홍 p.431-461
의열단원 박재혁(朴載赫)의 생애와 부산경찰서 투탄(投彈) = The life of Park Jae-hyeok, Euiyeoldan member and the bombing of Pusan police station by him 박철규 p.191-248
주민참여 사례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of resid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case management of resident participation TF in support project for the Busan Metropolitan City's a private-led model community security council : 부산광역시 민간주도형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지원사업의 「주민참여 사례관리 TF팀」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라 p.507-534
경제개발 초기 부산제조업에 관한 미시적 분석 = A microscopic analysis on Busan manufacturing in early economic development era : focused on the analysis of Busan Commerce and Industry Directory in 1962 : 1962년 『부산상공명감』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래 p.463-505
식민지 '지역언론'에서 '제국언론'으로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Chosenjiho』 through the newspaper system and content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신문체제와 지면을 통해 본 『조선시보』의 특징과 의미 전성현, 이가연, 배병욱, 하지영 p.365-396
3·1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March 1st movement : contemporary analyses of it and regionality of Busan : 동시대 원인분석과 부산의 지역성 배석만 p.17-56
가야사에서 복천동고분군의 위상과 역할 = The status and role of the Bokcheondong tombs in Gaya history 김두철 p.249-294
부산지역 3·1운동 전개 양상과 특징 =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Busan area in 1919 홍순권 p.105-151
조선후기 東萊府 沙川面(沙上面) 洞案 연구를 위한 예비적 검토 = Preliminary review for the research of elite association rolls(洞案) in Sacheon(Sasang) district (沙川面, 沙上面) of Dongraeboo(東萊府) in the late Joseon Dynasty 진상원 p.295-337

부산출신 의열단원 연구 = Study about Uiyol-Dan's members from Busan 김혜진 p.397-430
1908년 東萊府 東下面 거주민의 일상적 삶과 집단적 정체성 = A study on the routine lives and collective identity of residents in Dongha-myeon, Dongraebu in 1908 : focusing on family register of Donghae-myeon, Dongraebu during Yung-hee(隆熙) 2nd year : 隆熙 2년 東萊府 東下面 戶籍을 바탕으로 김현진 p.339-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