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의 목적은 SF영화 <스타트랙> 시리즈에 나타난 시간여행의 모티프가 서사적 측면과 비서사적 측면에서 하고 있는 기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SF서사에서 이 모티프가 계속 반복되는 이유를 밝히는 데 있다.

<스타트랙 IV: 시간 초월의 항해>(1986)는 실제로 사용되는 항법인 슬링샷으로 태양 주위를 돌파하여 그럴듯하게 시간여행을 하는 것과 당시에는 없던 투명 알루미늄의 제작 공식을 알려줘 역사에 변화를 가져오는 예정 역설을 불러오는 것을 통해 이야기에 대한 관객의 흥미를 끌고자 한다. 또한 이 영화는 혹등고래를 중심 서사에 포함시켜 고래 보호 운동이라는 당대의 현실적 문제에 부응함으로써 생태주의라는 이데올로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한다. <스타트랙 Ⅷ: 퍼스트 콘택트>(1996)는 빛보다 빠른 속도로의 비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상의 장치로 스타트랙을 대표하는 기술인 워프 드라이브를 시간여행을 통해 그 탄생 시점에서 다룸으로써 서사에 흥미를 더하고자 한다. 그리고 영화는 핵전쟁이 가져올 수 있는 인류의 멸망을 경고하여 평화적 노력을 계속할 것을 역설하고, 외계와의 조우로 행성연방의 창설을 예고하여 현실 세계에서의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평화주의와 이상주의의 시각을 드러낸다. <스타트랙: 더 비기닝>(2009)은 블랙홀에 의한 과거로의 시간여행과 그로 인해 생성된 평행우주라는 시간여행 서사 요소를 통해 흥미를 높이는데, 특히 후자는 그동안 전개된 이야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새로운 시간선의 이야기를 창조하도록 해주는 리부트 기능을 한다. 더불어 이 영화는 스팍(과 연방함대)과 네로의 대립, 벌컨 행성과 로물루스 행성의 파괴, 인간과 벌컨족의 협력을 통해 1996년 영화에서 보여주었던 평화주의와 이상주의를 반복한다. 결국 세 편의 <스타트랙> 영화에서 시간여행은 서사적 측면에서 이야기에 대한 관객의 흥미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고 서사를 자유롭게 전개하게 해주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비서사적 측면에서 현재의 문제에 대해 논평하고 이상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의의는 위와 같은 시간여행의 기능으로 볼 때 SF서사에서 시간여행의 모티프가 앞으로도 계속해서 반복되면서 진화할 것이라는 예상을 가능하게 한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why the motif of time travel is repeated in the science fiction narrative by examining the functions of this motif in the SF movie series of Star Trek in its narrative and non-narrative aspects. Star Trek IV: The Voyage Home (1986) aims to attract the audience’s interest in the story through the use of plausible time travel in the form of the slingshot effect which causes the spacecraft to fly at very fast speeds around an astronomical object. The movie also touches upon the predestination paradox that arises from a change of history in which it describes a formula of transparent aluminum that did not exist at the time. The film also serves as an evocation of the ideology of ecology by including humpback whales in the central narrative and responding to the real issue of the whale protection movement of the times. Star Track VIII: First Contact (1996) intends to interest the audience in the narrative with the warp drive, a virtual device that enables travel at speeds faster than that of light and a signature visual of Star Trek, at the time of its birth through time travel. The film emphasizes the continuation of peaceful efforts by warning the destruction of humanity that nuclear war can bring. It tackles with the view of pacifism and idealism b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in the real world by making the audience anticipate the creation of the United Federation of Planets through encounters with the extraterrestrial. Star Trek: The Beginning (2009) improves interest through the idea of time travel to the past, this time using a black hole and the parallel universe created thereby. The parallel universe functions as a reboot, allowing a new story to be created on an alternate timelin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storyline. In addition, this film repeats the themes pacifism and idealism shown in the 1996 film through the confrontation between Spock (and the Starfleet) and Nero, the destruction of the Vulcan and the Romulus, and the cooperation of humans and Vulcans. Eventually, time travel in three Star Trek films has the function of maximizing the audience’s interest in the story and allowing it to develop freely as a narrative tool. It also functions as an ideal solution for commenting on current problems in the non-narrative aspec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tress the possibility that the motif of time travel in SF narrative will evolve as it continues to repeat in different forms as mentioned abov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vN 드라마 <백일의 낭군님>의 내러티브 특징과 현대적 요소의 활용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modern elements of <Husband for a Hundred Days>, a drama of tvN 염원희 p.249-280

일본적인 것, 혹은 금지된 '소리'의 계보 = The genealogy of forbidden sound : political aesthetics of ambiguity in the criticism of Japanese style in Korean society of the 1960s : 한일국교정상화 성립기 '왜색(倭色)' 비판담론과 양의성의 정치미학 정창훈 p.349-392

2010년대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감정구조 = The nation and structure of emotion in 2010s melodramas : focusing on <Descendants of the Sun>(2016) and <Mr. Sunshine>(2018) : <태양의 후예>(2016)와 <미스터션샤인>(2018)을 중심으로 정혜경 p.123-161

1980년대 스포츠영화의 시대적 표상 연구 = The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times in the sports films of the 1980s 임정식 p.315-347

뇌텍스트(Brain Text) 및 뇌개념(Brain Concept)의 형성원리와 문학윤리학비평 = The forming mechanism of brain text and brain concept in the theory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섭진교, 윤석민 p.193-215

SF영화 <스타트랙> 시리즈와 시간여행의 모티프 = SF movie Star Trek series and the motif of time travel 노시훈 p.165-191

우울과 죽음의 센티멘털리즘 = Sentimentalism of melancholia and death : Kwak Ji-kyun's melodrama films, new sentimentalism, and The Home of Two Women : 곽지균의 멜로드라마 영화와 뉴 센티멘털리즘, 그리고 <두 여자의 집> 이윤종 p.87-122

이애림 만화 서사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s of Lee Ae-rim's comic book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etition, coincidence, and fantasy : 반복, 우연, 환상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청 p.281-313

멜로드라마 속의 사로잡힌 정동(Captive Affects), 탄력적 고통(Elastic Sufferings), 대리적 대상(Vicarious Objects) = Captive affects, elastic sufferings, vicarious objects in melodrama : refiguring melodrama by Agustin Zarzosa : 어구스틴 잘조사의 멜로드라마 재고 안민화 p.429-462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by the N-po generation 서연주 p.55-85

소설과 영화 속 '메피스토'의 사상성 미학 = The aesthetics of conviction in novel and film Mephisto 신사빈 p.217-247

멜로드라마, 도덕규범과 감정을 조율하는 근대적 상상력의 역설 = Melodrama, the paradox of modern imagination coordinating moral norms and emotions : based on the developmental approach : 발생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정옥 p.9-54

알랭 레네 영화로 본 재현의 윤리 연구 = A study on the ethics of reproduction in Alain Resnais's film : focusing on <Night and Fog>, <Hiroshima, Mon Amour>, and <Muriel, ou Le temps d'un retour> : <밤과 안개>, <히로시마 내 사랑>, <뮤리엘>을 중심으로 최은정 p.393-425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데이빗 카슨, <스타트랙 Ⅶ: 넥서스 트랙(Star Trek Ⅶ: Generations)>, 파라마운트 픽처스, 1994. 미소장
2 레너드 니모이, <스타트랙 IV: 시간 초월의 항해(Star Trek IV: The Voyage Home)>, 파라마운트 픽처스, 1986. 미소장
3 조나단 프레이크스, <스타트랙 Ⅷ: 퍼스트 콘택트(Star Trek Ⅷ: First Contact)>, 파라마운트 픽처스, 1996. 미소장
4 J. J. 에이브람스, <스타트랙: 더 비기닝(Star Trek: The Beginning)>, 파라마운트 픽처스, 2009. 미소장
5 Aristotle, Poetics, translated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Malcolm Heath, London; New York: Penguin Books, 1996. 미소장
6 Armstrong, Richard B. & Mary Willems Armstrong, Encyclopedia of film themes, settings and series, new ed., Jefferson, N.C.; London: McFarland, 2001. 미소장
7 Brode, Douglas & Shea T. Brode (eds.), Gene Roddenberry’s Star Trek: The Original Cast Adventures, Lanham: Rowman & Littlefield, 2015a. 미소장
8 Brode, Douglas & Shea T. Brode (eds.), The Star Trek Universe: Franchising the Final Frontier, Lanham: Rowman & Littlefield, 2015b. 미소장
9 Gleick, James, Time Travel: A History, New York: Pantheon, 2016. 미소장
10 Hughes, David, The Greatest Sci-Fi Movies Never Made, London: Titan, 2002. 미소장
11 Johnson-Smith, Jan, American Science Fiction TV: Star Trek, Stargate and Beyond, London: I.B. Tauris, 2005. 미소장
12 Jones, Matthew & Joan Ormrod (eds.), Time Travel in Popular Media: Essays on Film, Television, Literature and Video Games, Jefferson, N.C.: McFarland & Company, 2015. 미소장
13 Krauss, Lawrence M., The Physics of Star Trek, New York: B asic B ooks, 2 007. 미소장
14 Luokkala, Barry B., Exploring Science through Science Fiction, New York: Springer, 2014. 미소장
15 Nahin, Paul J., Time Machines: Time Travel in Physics, Metaphysics, and Science Fiction, 2nd ed., New York: Springer, 1999. 미소장
16 Okuda, Michael & Denise Okuda, The Star Trek Encyclopedia: A Reference Guide to the Future, updated and expanded ed., New York: Pocket Books, 1999. 미소장
17 Randles, Jenny, Time travel: Fact, Fiction and Possibility, London: Blandford, 1994. 미소장
18 Redmond, Sean (ed.), Liquid Metal: the Science Fiction Film Reader,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미소장
19 Sanders, Steven, The Philosophy of Science Fiction Film, Lexington, Ky: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8. 미소장
20 Schneider, Susan, Science Fiction and Philosophy: from Time Travel to Superintelligence, 2nd ed., Hoboken: Wiley-Blackwell, 2016. 미소장
21 Stableford, Brian, Science Fact and Science Fiction: An Encyclopedia, New York: Routledge, 2006. 미소장
22 Tulloch, John & Henry Jenkins, Science Fiction Audiences: Watching Doctor Who and Star Trek, London & New York: Routledge, 1995. 미소장
23 Wells, Herbert George, The Time Machine / The Invisible Man, New York: S ignet Classic, 2007. 미소장
24 Wittenberg, David, Time Travel: the Popular Philosophy of Narrative,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