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68년 1월과 2월에 헐에서 출항한 어선 3척이 연이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해양참사는 충격적인 사건에서 시작해 역사적인 사건으로 비상한다. 1차 충격은 많은 어부 남편과 아들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 자체였고, 2차 충격은 어부의 아내와 딸들이 슬픔을 딛고 더 이상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분연히 일어섰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여성들은 일명 ‘어부헌장’이라 칭할 정도로 영국 해상 안전의 수준을 단숨에 수십 단계나 끌어올리는 성과를 이루어, ‘헤드스카프를 쓴 혁명가들’이라는 역사적 인물로 기록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평범한 아내와 딸들이 ‘혁명가’라는 명칭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며 사건의 여파와 의미를 질문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젠더의 시각에서 이 사건을 재구성하여 역사적 평가를 담고자 한다. 연속된 사고는 자연재해와 더불어 늘 따라오는 인재의 요소가 다분했다. 선원들의 열악한 작업 조건, 살인적인 노동 강도, 낙후된 선박 상태와 부실한 점검체계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였지만, 이윤추구에 눈이 멀어 안전을 도외시하는 태도와 개선의지가 없던 인식 그 자체가 무엇보다 문제였다. 오랫동안 별다른 개선이 없던 이런 문제에 가장 먼저 들고 일어난 이들이 릴리언 빌로카와 헐의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청원운동을 벌이며 무선 기사를 비롯한 필요한 선원을 모두 충원할 것, 일기예보를 개선할 것, 신참 선원을 더 잘 교육할 것, 안전 장비를 개선할 것 등을 요구했다. 또한 헐 최초 여성중심의 집회와 부두 로의 행진을 진행하고, 무선기사가 없는 선박의 출항을 몸으로 저지하는 일도 불사했다. 결국 몇 주가 안 되어 1만 명의 지지 서명을 모았고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정부에 요구가 모두 수용되는 실로 놀라운 결과를 이끌어 냈다. 물론 남성을 대신해 벌인 투쟁이었건만 성별의 경계를 넘어섰다는 논란과 반발이 없지 않았고 자신들의 처지와 권리는 돌아보지 못한 남성을 위한 투쟁이었다는 한계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남성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나고 자랐고 바깥일에는 관심을 둘 수 없는 환경에서 살고 있던 여성들이 집단으로 남성세계에 발을 들여 놓고 성별의 경계 선을 넘어선 것 자체가 여성운동일 수 있었다. 그들이 쟁취한 ‘어부 헌장’은 20세기 시민운동에서 매우 성공적인 업적으로 기록되었다. 그런데 이런 엄청난 결실을 가져 온 혁명가들은 다름 아닌 평범한 여성들이었고, 남 성이 주도해온 노조와 정치가를 무색하게 한 새로운 역사를 쓴 작지만 위대한 영웅들이 었다. 열악하기로 소문난 밑바닥 어업 노동자들의 어미와 누이인 ‘그들의 역사’는 역사가 His-story가 아님을 웅변으로 증언하고 있는 것이다.



There was the Hull triple trawler tragedy which was the sinking of three trawlers from Hull during January and February 1968. This tragedy began with a shocking incident and led to a historic one. The first shock was the fact that many fishing husbands and sons lost their lives at once, and the second shock was the fact that the fishermen's wives struggled for preventing further accidents. These women were recorded as the historic figures of the “headscarf revolutionaries”, with the achievement of raising the level of British maritime security great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process of ordinary women to be recorded in history as “the revolutionaries” and to question the meaning of the incident. Above all, I would like to reconstruct this ev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to presen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Lillian Bilocca and the Hessle Road women began safety campaign in the fishing industry. And in the space of a few weeks, the women had set in motion changes to an industry that had seen little or no reform in over a century. Their demands included: provision of full crews including radio operators; regulations making twelve hourly contact between trawlers and base compulsory; improved safety equipment aboard trawlers; medical ships on the fishing grounds; and a Royal Commission in to the fishing industry. The women gathered 10,000 signatures within 10 days in support of their aims in what they called a “Fishermen's Charter.” Eventually, the fishwives' campaign had been extremely effective. In just fourteen days, they had drawn the attention of the world’s media to their cause, and made a government sit up and take action. But the women may be criticized for campaigning not for themselves, but on behalf of their men. It should be remembered, however, that for women in 1968 to have spoken out at all, and acted so effectively as a unified force, was in itself a major achievement. The main contributors to this remarkable achievement were not civic activists or politicians but ordinary women who wrote a new history. The history of mothers and sisters of the bottom fishing men attests History is not His-sto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대졸 신입사원의 분노반추, 직무소진 및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 on the anger rumination, job burnout and commitment action in new employees graduated from university 최혁재, 김효정, 천성문 p.257-276

19세기 트루빌(Trouville)의 해변휴양 = Coastal recreation at Trouville in the 19th century : 해안 시공간의 근대적 창조 이은영 p.55-75

『한국수산지』의 내용과 특징 =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ronicle of Korea Fishery 서경순, 이근우 p.125-160

부산지역 대졸 청년층 노동시장 성과의 동서격차 = East-West gap of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for youth graduates in Busan 박주상, 문영만 p.305-333

4차산업혁명 시대의 인문성과 인문역량 모색 = The humanities and its competency learning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김희복, 김희주 p.183-207

19세기 말~20세기 초 유럽인들의 대서양 이주 = European transatlantic emigration in the late XIXe and early XXe centuries 이경일 p.1-26

한국어 관형어의 영어번역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nglish translation patterns of Korean noun modifiers 제경미 p.161-181

국내 시민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civic education programs 현순안, 김희주 p.231-256

'밀레니얼(Millennial)' 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 The making of Millennials 김가영 p.209-230

미얀마 제조업에 투입된 외국인 직접투자의 효과분석 = Analysis of FDI effect on Myanmar manufacturing : using malmquist and ECM : 오차수정모형과 맘퀴스트를 이용 윤형모 p.277-303

'글로벌 자유경제'에서 제국민족주의의 '통제경제'로 = From 'global free economy' to 'controlled economy' of imperial nationalism : 독일의 해상운송보험을 중심으로 1890~1916 박상욱 p.27-53

툴롱만의 산업화와 탈산업화 = The industrialization and deindustrialization in the rade of Toulon : example of naval shipbuilding industry : 지중해 해군 조선업의 사례 류은하 p.77-98

1968년 '헤드스카프를 쓴 혁명가들'과 '어부헌장' = The "headscarf revolutionaries" in Hull triple trawler tragedy(1968) and a "Fishermen's Charter" 배혜정 p.99-124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olland-Martin Committee, Holland-Martin Report 미소장
2 Report of Court No. S481 - St Romanus. 미소장
3 Report of the Court No. S483 - Kingston Peridot 미소장
4 Daily Express, February 21, 1968. 미소장
5 Daily Mail, February 8, 1968. 미소장
6 Hull Daily Mail, January 24, 1968. 미소장
7 Hull Daily Mail, January 25, 1968. 미소장
8 Hull Daily Mail, January 26, 1968. 미소장
9 Hull Daily Mail, January 29, 1968. 미소장
10 Hull Daily Mail, February 2, 1968. 미소장
11 Hull Daily Mail, February 3, 1968. 미소장
12 Hull Daily Mail, February 5, 1968. 미소장
13 Hull Daily Mail, February 6, 1968. 미소장
14 Hull Daily Mail, February 7, 1968. 미소장
15 Hull Daily Mail, February 13, 1968. 미소장
16 Hull Daily Mail, February 15, 1968. 미소장
17 Hull Daily Mail, February 19, 1968. 미소장
18 Hull Daily Mail, February 24, 1968. 미소장
19 Sunday Times, January 8, 1967. 미소장
20 The Times, February 3, 1968. 미소장
21 The Times, February 6, 1968, 미소장
22 The Times, February 7, 1968 미소장
23 The Times, November 5, 1968 미소장
24 R. S. F. Schilling, “Trawler Fishing - An Extreme Occupation,” Royal Society of Medicine 59, 1966. 미소장
25 Creed, Rupert, Turning the Tide: The 1968 Trawler Tragedy and the Wives' Campaign for Safety, Hull: Back Door Press, 1998. 미소장
26 Gill, Alec, Good Old Hessle Road: Stories of Hull's Trawling and Community Life, Beverley: Hutton Press, 1991. 미소장
27 Gill, Alec, Superstitions: Folk Magic in Hull's Fishing Community, Beverley: Hutton Press, 1993. 미소장
28 Lavery, Brian W., The Headscarf Revolutionaries: Lillian Bilocca and the Hull Triple-Trawler Disaster, Hull and London: Barbican Press, 2015. 미소장
29 Stuart Russell, Dark Winter: The Story of the Hull Triple Trawler Disaster, Hull: Hull Daily Mail Publications, 1997. 미소장
30 Brian W. Lavery, “Bilocca, Lillian [Lil] (1929–1988),”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published online: 30 May 2013. 미소장
31 BBC News, 26 October 2017. 미소장
32 ITV News, 5 March 2017. 미소장
33 The New Zealand Herald, 19 August 2015. 미소장
34 The Times of London, 8 August 198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