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968년 1월과 2월에 헐에서 출항한 어선 3척이 연이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해양참사는 충격적인 사건에서 시작해 역사적인 사건으로 비상한다. 1차 충격은 많은 어부 남편과 아들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 자체였고, 2차 충격은 어부의 아내와 딸들이 슬픔을 딛고 더 이상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분연히 일어섰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여성들은 일명 ‘어부헌장’이라 칭할 정도로 영국 해상 안전의 수준을 단숨에 수십 단계나 끌어올리는 성과를 이루어, ‘헤드스카프를 쓴 혁명가들’이라는 역사적 인물로 기록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평범한 아내와 딸들이 ‘혁명가’라는 명칭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며 사건의 여파와 의미를 질문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젠더의 시각에서 이 사건을 재구성하여 역사적 평가를 담고자 한다. 연속된 사고는 자연재해와 더불어 늘 따라오는 인재의 요소가 다분했다. 선원들의 열악한 작업 조건, 살인적인 노동 강도, 낙후된 선박 상태와 부실한 점검체계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였지만, 이윤추구에 눈이 멀어 안전을 도외시하는 태도와 개선의지가 없던 인식 그 자체가 무엇보다 문제였다. 오랫동안 별다른 개선이 없던 이런 문제에 가장 먼저 들고 일어난 이들이 릴리언 빌로카와 헐의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청원운동을 벌이며 무선 기사를 비롯한 필요한 선원을 모두 충원할 것, 일기예보를 개선할 것, 신참 선원을 더 잘 교육할 것, 안전 장비를 개선할 것 등을 요구했다. 또한 헐 최초 여성중심의 집회와 부두 로의 행진을 진행하고, 무선기사가 없는 선박의 출항을 몸으로 저지하는 일도 불사했다. 결국 몇 주가 안 되어 1만 명의 지지 서명을 모았고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정부에 요구가 모두 수용되는 실로 놀라운 결과를 이끌어 냈다. 물론 남성을 대신해 벌인 투쟁이었건만 성별의 경계를 넘어섰다는 논란과 반발이 없지 않았고 자신들의 처지와 권리는 돌아보지 못한 남성을 위한 투쟁이었다는 한계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남성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나고 자랐고 바깥일에는 관심을 둘 수 없는 환경에서 살고 있던 여성들이 집단으로 남성세계에 발을 들여 놓고 성별의 경계 선을 넘어선 것 자체가 여성운동일 수 있었다. 그들이 쟁취한 ‘어부 헌장’은 20세기 시민운동에서 매우 성공적인 업적으로 기록되었다. 그런데 이런 엄청난 결실을 가져 온 혁명가들은 다름 아닌 평범한 여성들이었고, 남 성이 주도해온 노조와 정치가를 무색하게 한 새로운 역사를 쓴 작지만 위대한 영웅들이 었다. 열악하기로 소문난 밑바닥 어업 노동자들의 어미와 누이인 ‘그들의 역사’는 역사가 His-story가 아님을 웅변으로 증언하고 있는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Holland-Martin Committee, Holland-Martin Report | 미소장 |
2 | Report of Court No. S481 - St Romanus. | 미소장 |
3 | Report of the Court No. S483 - Kingston Peridot | 미소장 |
4 | Daily Express, February 21, 1968. | 미소장 |
5 | Daily Mail, February 8, 1968. | 미소장 |
6 | Hull Daily Mail, January 24, 1968. | 미소장 |
7 | Hull Daily Mail, January 25, 1968. | 미소장 |
8 | Hull Daily Mail, January 26, 1968. | 미소장 |
9 | Hull Daily Mail, January 29, 1968. | 미소장 |
10 | Hull Daily Mail, February 2, 1968. | 미소장 |
11 | Hull Daily Mail, February 3, 1968. | 미소장 |
12 | Hull Daily Mail, February 5, 1968. | 미소장 |
13 | Hull Daily Mail, February 6, 1968. | 미소장 |
14 | Hull Daily Mail, February 7, 1968. | 미소장 |
15 | Hull Daily Mail, February 13, 1968. | 미소장 |
16 | Hull Daily Mail, February 15, 1968. | 미소장 |
17 | Hull Daily Mail, February 19, 1968. | 미소장 |
18 | Hull Daily Mail, February 24, 1968. | 미소장 |
19 | Sunday Times, January 8, 1967. | 미소장 |
20 | The Times, February 3, 1968. | 미소장 |
21 | The Times, February 6, 1968, | 미소장 |
22 | The Times, February 7, 1968 | 미소장 |
23 | The Times, November 5, 1968 | 미소장 |
24 | R. S. F. Schilling, “Trawler Fishing - An Extreme Occupation,” Royal Society of Medicine 59, 1966. | 미소장 |
25 | Creed, Rupert, Turning the Tide: The 1968 Trawler Tragedy and the Wives' Campaign for Safety, Hull: Back Door Press, 1998. | 미소장 |
26 | Gill, Alec, Good Old Hessle Road: Stories of Hull's Trawling and Community Life, Beverley: Hutton Press, 1991. | 미소장 |
27 | Gill, Alec, Superstitions: Folk Magic in Hull's Fishing Community, Beverley: Hutton Press, 1993. | 미소장 |
28 | Lavery, Brian W., The Headscarf Revolutionaries: Lillian Bilocca and the Hull Triple-Trawler Disaster, Hull and London: Barbican Press, 2015. | 미소장 |
29 | Stuart Russell, Dark Winter: The Story of the Hull Triple Trawler Disaster, Hull: Hull Daily Mail Publications, 1997. | 미소장 |
30 | Brian W. Lavery, “Bilocca, Lillian [Lil] (1929–1988),”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published online: 30 May 2013. | 미소장 |
31 | BBC News, 26 October 2017. | 미소장 |
32 | ITV News, 5 March 2017. | 미소장 |
33 | The New Zealand Herald, 19 August 2015. | 미소장 |
34 | The Times of London, 8 August 198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