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지역문화공간 설립을 위한 문화공간 콘텐츠 연구 = A study on cultural spatial contents for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al space / 이영주, 이병훈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02.28
수록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제14권 제1호 통권55호 (2019년 2월), p.129-14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073876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연구 배경 및 목적)오늘날 도시의 지역문화공간은 창작·전시시설의 의미를 넘어, 문화를 통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문화 커뮤니티 장소로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가 공간 콘텐츠 다양성의 한계로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지역문화 커뮤니티의 다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적 구성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한 국내외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지역문화공간 계획에서 필요한 문화공간 콘텐츠의 구성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역문화공간이 문화 커뮤니티 성격으로 그 개념이 확장됨에 따라, 관련 문헌연구와‘힐러리(G. A. Hillery)가 제시한 커뮤니티 공통요소’를 종합하여 지역문화공간의 기능적 역할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문화공간 콘텐츠의 정의 및 특성을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지역문화공간이 가져야 할 기능적 역할과 문화공간 콘텐츠 특성간의 연계성을 찾아내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 사례를 분석한 후, 문화공간 콘텐츠 구성 방향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지역문화공간은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장으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 문화예술을 통한 상호교류 및 지역사회 교류를 통한 사회복지적 측면의 역할과 복합적인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위해 문화공간 콘텐츠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10개 특성 중 사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8개 특성인 예술성, 창작성, 여가성, 역사성, 교육성, 체험성, 소통성, 보존성이 문화공간 콘텐츠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화공간 콘텐츠가 이와 같은 계획에서 구성되어질 때 지역문화공간은 창조ㆍ관계ㆍ재생ㆍ소통지향적 성격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의 문화적 결속력을 강화시켜 경쟁력을 지닌 지역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연구를 통해 지역문화공간이 지역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문화공동체를 형성하고, 나아가 지역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화커뮤니티 장소로서의 다기능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문화공간 콘텐츠를 구성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se days, urban local cultural space has expanded its concept as a place for cultural communit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based on culture while also stimulating the local economy by transcending its significance as a space for exhibition and creativity. However, most local cultural space has not been operated properly due to the limit of diversity in its spatial content. Thus, it is necessary to map out strategic plans to fashion the content to be suited for the multifunctional role of a local cultural space as a crucial part of local cultur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eline for forming the cultural spatial content necessary for local cultural space planning by analyzing the exemplar domestic and overseas models utilized to promote local culture. (Method) This study reconstructs the functional roles of local cultural space by integrating related literature and common communal elements presented by G. A. Hillery, as the concept of local cultural space is extended to that of cultural communit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pace content were also derived from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onnectivity between functional roles that would need to be taken on by contemporary local cultural space and cultural space content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o build an analytical model and subsequently analyze the practical cases. T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or the future course of formation of cultural space cont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ocal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space in cities would need to take on roles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other complex roles on the basis of mutual exchange and interchange among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medium of culture and art so as to serve as an arena for the formation of cultural community. Out of the ten characteristics formulated through prior research, case analysis revealed that eight characteristics were suitable for cultural space content: artisticity, creativity, leisure, historicity, educativeness, experientiality, communication, and preservation. Finally, local cultural space will be able to have the creative, relational, regenerative, and communication-oriented characteristics when cultural space content is formed as mentioned above, which will ultimately strengthen cultural cohesion of local communities, allowing the local cultural space to serve its functions as a competitive local cultural spa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ultural space content should be formed with a focus on its multifunctional role of as cultural community place so as to form a cultural community based on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added vitalit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교회건축물의 디자인 의사결정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ers'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in architectural design of Korean protestant church 홍성민 p.219-22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지역문화공간 설립을 위한 문화공간 콘텐츠 연구 = A study on cultural spatial contents for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al space 이영주, 이병훈 p.129-1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한국과 중국의 노인 병실 색채 선호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or preference for bedrooms in geriatric hospitals of Korea and China 고가로, 김인성 p.207-21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길찾기 과정에서 랜드마크의 시각적·심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landmarks in wayfinding behaviour 정진우 p.79-9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시대극에서 재현 프로덕션디자인 표현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reproduced production design in the periodic : focus on the movie, <The Handmaiden> : 영화 <아가씨>를 중심으로 이계수, 이정교 p.159-17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거주자 UX(User Experience)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단말기의 UXD(User Experience Design) 연구 =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design (UXD) of smart home terminal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 user experience (UX) 김성진 p.151-15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디자인 개념의 인식론적 정초를 향한 탐색 = Exploration toward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for the concept of design 이지원 p.231-2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유니버설디자인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through text mining 황용섭 p.57-6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국제적인 시야를 위한 중국 저우산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 Design and development of Zhoushan city brand identity is based on international vision 양명, 이진호 p.141-14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가로경관 및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장애물존 설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arrier zone installation for the streetscape and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채민규 p.119-1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친수형 방파제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of waterfront breakwater 최민석, 김주연 p.105-11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공디자인 제작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design using augmented reality(AR) 박희현 p.241-24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랜드마크의 요소가 약속장소 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landmark elements influence on appointment place designation 강경희, 전효정, 정진우 p.195-20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국내 공공청사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 focusing on citizen cultural space : 시민문화공간을 중심으로 류혜지 p.93-10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in Daegu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배동식 p.173-18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창의성 증진을 위한 어린이 체험공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xperience space for creativity promotion 권수경, 김주연 p.249-25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소비자 구매 행동에 따른 의류매장의 스마트 환경 연구 = A study on the smart environment of clothing store according to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오정아 p.45-5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공간가치 창출에 관한 연구 = Creating a spatial value as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김지현 p.67-7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패시브디자인을 적용한 주거용 스마트팜 건축계획연구 = Study on residential smart farm architecture plan with passive design 맹동, 류리, 김용성 p.183-1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미니멀리즘 순수성 연구 = A purity study of minimalism : focusing on the purity of Dan Flavin's works : 댄 플래빈 작품의 순수성 중심으로 권오길, 이재규 p.33-4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안전시설의 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afety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y vitalization 서수미 p.11-2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고령 친화 공원 디자인 개발 = Elderly-friendly park design development : for Incheon Guwol neighborhood parks : 인천 구월 근린공원 중심으로 김현선 p.23-3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n, Y., J. Kim, & S. Beak, (2016). A Study on Revitalization Design of Culture and Art Space Based on Place Memory.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5(41), 105-117. 미소장
2 An, Jiun, (2013). Local Culture as Arts Art Village An Exploratory Study.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26, 137-177. 미소장
3 Choi, Youngu, (2016). What is Cultural Contents. Gyeonggi Province: Sallim. 미소장
4 Choi, Jinuk, (2016). A study on local revitalization measures through underused space regeneration from an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 최진욱, (2016). 도시재생적 관점의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논문. 미소장
5 Chu, Migyeong, (2013). A Study on the Policy for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Cultur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미소장
6 Gwak, Sujeong, (2006). A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in Revitalizing Idle Space. Kookmin University Techno Design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 곽수정, (2006).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 대학원, 박사논문. 미소장
7 Definitions of community : Areas of Agreement 네이버 미소장
8 Gwon, Yeonggeol, (2011). The Language for Space Design. Seoul: Nalmada. 미소장
9 Kim, Hyeonjeong, (2017). A case study of rehabilitat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 김현정, (2017).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미소장
10 Kim, Yeonjin, (2009). A Study on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dle Space Revitalization.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1(21), 185-207. 미소장
11 Kim, J., & J. Yu, (2015). A Study on the Space Contents Under the Elevated Structure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0(5), 49-58. 미소장
12 Lee, Deokjin, (2014). A Study on the Cultural Space of the Idle Space.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 이덕진, (2014).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문화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미소장
13 Lee, Hyeonyeong, (2007).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Moving Image in Culture Spaces. The Society of Korea Illusart, 10(3), 73-78. 미소장
14 Min, Jusick, (2013), Community Art for Creative Activation of Community. The Korean Society of Eastern Art Studies, 23, 129-151. 미소장
15 Park, C., & H. Kim, (2015). Understanding the Place-ness of Urban Mix-used Complex, Discourse 201, 18(1), 121-148. 미소장
16 Park, J., E. Jeong, (2008). New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nouncemen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미소장
17 Song, W., B. Sin, C. An, & G. Lee, (2010). Culture contents & Lively imagination. Seoul: Book Korea. 미소장
18 Suh, B., J. Lee, & J. Ha, (2008). A Basic Study on Types of Cultural Space Formation in Downtow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1), 207-214. 미소장
19 Yu, Seungho, (2008). Cultural City. Seoul: Ilsinsa.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