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釋禪波羅密次第禪門, (大正藏經, 권12). | 미소장 |
2 | 摩訶止觀, (大正藏經, 권20). | 미소장 |
3 | 修習止觀坐禪法要, (大正藏經, 권46). | 미소장 |
4 | 天台四敎儀, (大正藏經, 권46). | 미소장 |
5 | 오지연(1999). 천태지관이란 무엇인가. 서울: 연기사. | 미소장 |
6 | 오지연(2004). 천태 삼종지관에서 부정지관의 의미, 불교연구 21집, 한국불교연구원, 59-93. | 미소장 |
7 | 이승철(2010). 천태 중도의 도덕교육적 이해. 도덕교육연구, 21(2), 277-305. | 미소장 |
8 | 이영자(2003). 법화․천태사상연구.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9 | 이영자(2001). 천태불교학. 서울: 해조음. | 미소장 |
10 | 정혜정(2005). 천태학(天台學)의 세계관과 지관(止觀)의 수행. 종교교육학연구, 20, 201-219. | 미소장 |
11 | 정덕희(2004). 천태지의의 인간이해와 수행론: 부정지관(不定止觀)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26(2), 221-239. | 미소장 |
12 | 최기표(1999). 천태 점차지관의 수행체계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혜명(2007). 마하지관의 이론과 실천. 서울: 경서원. | 미소장 |
14 | 신경호 역(2002). 불교와 유교. 서울: 예문서원, 荒木見悟. 佛敎と儒敎 | 미소장 |
15 | 혜명 역(2007). 천태지관의 연구. 서울: 민족사, 關口眞大. 天台止觀の硏究 | 미소장 |
16 | 이영자 역(1994). 천태법화의 사상. 서울: 민족사, 田村芳朗. 絶代の眞理-天台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