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역문화자원으로 본 안동중앙극장 인식 = Perception of Andong Joongang Cinema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 김용남 ; 정낙현 1

ABSTRACT 1

I. 서론 2

II. 지역문화자원의 개념과 기능 2

2.1. 지역문화자원의 개념과 유형 2

2.2. 지역문화자원의 기능 3

2.3. 안동중앙극장의 현황 및 특성 3

III.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안동중앙극장에 대한 인식 5

3.1. 연구방법 5

3.2. 문화예술 향유로서의 인식 6

3.3. 역사성으로서의 인식 6

3.4. 관광지로서의 인식 7

3.5. 커뮤니티 형성으로서의 인식 8

IV. 결론 9

References 9

요약 10

[저자소개] 1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워라밸의 인문학적 성찰 = Humanistic study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조용기 p.121-138

보기
긍정심리자본이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정이화 p.235-243

보기
동계스포츠 맞춤형 기상지원 서비스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weather support service for winter sports 백진호, 시다르타, 이주성, 강효민 p.139-156

보기
뇌졸중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팡이 높이가 보행과 체중지지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eight of cane for health promotion on mo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서태화, 권상민, 정연우 p.207-215

보기
컴퓨터 게임과 스트레칭이 근 긴장도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puter game and stretching on muscle tone and concentration 고민균, 송창호, 이병훈 p.225-233

보기
무용공연작품 의상을 위한 디지털 뮤지엄 아카이빙 구축 = A study on construction of digital museum archiving regarding dance costume 정유진, 유지영, 백현순 p.81-88

보기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긍정적 감정을 통해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induced by cultural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안태혁 p.35-46

보기
Research on cross-border practice and communication of dance art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 뉴미디어 환경에서 무용예술의 크로스오버 실현과 전파에 대한 연구 Zhang Mengni, Zhang Yi p.47-57

보기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guarana and graviola in human colon cancer = 과라나와 그라비올라가 인체 대장암에 미치는 항산화 및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Myeong-Seon Lee p.217-223

보기
남북한 공연프로그램 교류협력과 저작권법상의 문제 = Exchange & cooperation on Inter-Korean performance program, and copyright law issues : focused on performance-related clauses in the North Korean Copyright Act : 북한 저작권법상 공연관련 조항을 중심으로 이찬도 p.11-24

보기
대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lf-care app for university student 강광순, 노선식 p.25-34

보기
지역문화자원으로 본 안동중앙극장 인식 = Perception of Andong Joongang Cinema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김용남, 정낙현 p.69-79

보기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흥미 관련 변인 탐색 = Research on variables rela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freshmen' academic interest :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character strengths and learning motivation :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학업동기 간의 관계 박은주 p.185-197

보기
브레히트 연기론의 영화적 변용 양상 = Cinematic adaptation of Brecht's gestus 김종국 p.59-67

보기
공공스포츠시설 건립의 경제성 평가 및 파급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economic evaluation and spread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ports facilities 김진국, 장원용, 최경호 p.111-119

보기
공연예술에 있어 영상 활용을 통한 배우의 연기술 확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ctor's dramatics expansion using practical use of media in performing arts 어일선, 한정수, 진운성 p.89-98

보기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the activities of working people in the sports club 김경현 p.99-109

보기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용미현 p.167-173

보기
대학생의 전공관련 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major-related voluntary services on community spirit and occupational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강수경, 김다혜, 김선혁, 노시홍, 신민규, 신혜인, 윤효정, 임동욱, 오명화 p.175-184

보기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action-observation training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stroke patient's cognitive functioning 이슬아, 강선화, 최원호, 이인경, 정상미 p.199-206

보기
일제강점기 역사 서사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환경과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nvironment of storytelling based o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problems and improvements : around the Militia, Assassination, The Battleship Island, Anarchist from Colony, Dongju and Princess Deokhye : 밀정, 암살, 박열, 동주, 군함도 그리고 덕혜옹주 중심으로 진승현 p.1-9

보기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의 교수신뢰,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ofessor trus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mong allied health students : focusing on the G university : G대학 중심으로 황민지, 방요순 p.157-166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J. A. Ryoo, Local Culture in Korea, Daewangsa, 2008. 미소장
2 J. H. Im, Study on the extension and use of university libraries for the community:focusing on the case of ‘P’ university library,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pp. 5-56, 2006. 미소장
3 J. I. Lee,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Administration, Book Korea, 2011. 미소장
4 M. G, Kim, Study on the Elementary Art Teaching Method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pp. 4-7, 2011. 미소장
5 E. S. Shim, A Study on the Facilitating Plans for Regional Cultures in Korea,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Konkuk University, p. 9, 2005. 미소장
6 C. W. Park, Study on the Policy for Convergence of Cultural Resources,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e, p. 15, 2013. 미소장
7 J. H. Oh, H. G. Kim, D. H. Oh, and Y. P. Kim,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Cultural Resources in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2009. 미소장
8 C. H. Nam, Cultural Resource and Local Policy, Daewangsa, p.31, 2007. 미소장
9 O. S. Lee, A Study on Storytelling based on Local Cultural Resources: Focused on ‘Jikji'of Cheongju-si,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at Dankook University, 2014. 미소장
10 J. H. Lee, A Policy Study to Promote Local Festivals:Focusing on Cultural Policy in Chungbuk Reg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2, No. 4, p. 59, 2018. 미소장
11 M. S. Hong, Development Strategies for Regions through Local Cultural Festivals,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vol. 28, pp. 171-201, 2011. 미소장
12 G. W. Jeoung,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of Local Cultural Resources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Craft Cultural Products -Focused on Gwagnju and Jeonnam,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18, No,. p. 402, 2012. 미소장
13 Y. N. Kim, and N. H. Jung, The Meaning of Symbolic Space and Placeness in Old Downtown Through an Exclusive Theatre for Art Films -The Case of Andong Joongang Cinema,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N. 9, Vol. 3, pp. 1316-1325, 2018. 미소장
14 B. Wilinsky, Sure Seaters: The Emergence of Art House Cinem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1. 미소장
15 J. E. Min, A Study on the Cultural Medium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Spectators in Art Cinema,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at Kyunghee University, pp. 7-10, 2016. 미소장
16 D. J. Min, and Y. A. Song, Studies on Change of Official Aspect on Film Policies,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No. 9, Vol. 2, pp. 253-280, 2016. 미소장
17 H. Y. Hwang,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 Film Theater : Focused on Seoul Area,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at Yonsei University, pp. 43-89, 2017. 미소장
18 J. H. Yook, Reflection Images and Expressive Meaning in the Film <1987>,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2, No. 7, p. 117, 2018. 미소장
19 E. Relph,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