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계태권도평화봉사단 활동에 따른 수혜국 참여자의 만족도가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n Korea's national brand image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beneficiary countries of World Taekwondo Peace Corps activities 정국현, 원동현 p.73-92
올림픽 정식종목화를 대비한 품새 경기규칙의 개선방안 = The improvement of Poomsae rules for the Olympic official games 정용원, 이재봉 p.47-71
대학 태권도 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선수 상호작용, 지도자신뢰,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 = Relation between coach-athlete interaction perceived by college Taekwondo players and leader trust and perceived performance 김수정, 김성훈 p.131-145
태권도철학함의 한계 규정 = Definition of the limitations of philosophizing Taekwondo 최성배, 정재훈, 김수정 p.1-13
태권도원 정책발전을 위한 우선순위 탐색 = Exploration of priority for Taekwondowon policy development 윤신중, 오방균, 최웅재 p.33-46
대학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탈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stress, and burnout among collegiate Taekwondo Poomsae athletes 박수을, 김동제 p.93-112
동양무술의 범주화를 통한 태권도의 정체성 탐구 = Exploration on the identity of Taekwondo through category of East Asian martial arts 안재찬 p.15-31
씨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맨십이 조직유효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elf management behavior and sportsmanship of Ssireum athlet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차승진, 김동진, 임승현 p.113-130
대학 지원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The effect of free semester art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supported by a university 박철홍 p.147-164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혁정 (2013). “한국의 태권도 사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김동규 (2018). 「체육⋅스포츠철학의 제 문제」,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미소장
3 김수정⋅최성배⋅윤여탁 (2012). “자본주의와 글로벌화 속에서 전통문화 태권도의 변용”, 「한국체육철학회지」, 20(4), pp. 71-85. 미소장
4 김수정⋅최성배 (2018). “4차 산업혁명과 태권도 교육인식의 미래”,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3), pp. 1-14. 미소장
5 대한태권도 협회⋅김병준⋅임태희⋅정문자⋅최중구 (2013). 「태권도 인성교육」, 서울: 애니빅. 미소장
6 류봉선⋅김동규 (2012).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에 비춰진 태권도의 “도(道)””, 「한국체육철학회지」, 20(3), pp. 1-20. 미소장
7 류은주 (2003). 「모발학사전」, 서울: 광문각. 미소장
8 박진 (2000). “칸트의 초월논리학에서 헤겔의 사변논리학으로 - 칸트 초기 저작에 나타난 변증법적 사유의 단초를 중심으로”, 「칸트연구」, 6, pp. 17-57. 미소장
9 Immanuel Kant, 백종현 (역) (2006). 「순수이성비판」, 서울: 아카넷. 미소장
10 백종현 (2007).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서울: 철학과 현실사. 미소장
11 사토 토미히코 (2010). “스포츠와 철학적 방법”, 한국체육철학회 추계학술대회. 미소장
12 세계태권도연맹 (2018). www. worldtaekwondo.org. 미소장
13 송형석 (2005). 「태권도란 무엇인가」, 경산시: 이문출판사. 미소장
14 이경명 (2011). 「태권도 용어정보사전」, 서울: 태권도문화연구소. 미소장
15 이재헌 (2008). “칸트의 물자체 개념: 칸트의 형이상학 구상과 초월에 대한 입장에 관하여”,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6, pp. 147-170. 미소장
16 이주석⋅안용규 (2013). “태권도 정체성 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21(1), pp. 205-221. 미소장
17 이학준 (2009). 「스포츠생각 60」, 서울: 북스힐. 미소장
18 임일혁 (2010). “태권도가 지니고 있는 무도와 스포츠 요소의 비교”, 「대한무도학회」, 12(2), pp. 55-64. 미소장
19 이학준 (2014). “태권도 철학을 철학함” 「국기원」, 5(3), pp. 1-12. 미소장
20 최성배 (2015). “The fundamental relation between both human movement and human consciousness from physical education' viewpoint”,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최성배⋅김수정 (2018). “미시세계 상보성 원리와 혜강 기학(氣學)의 기(氣) 흐름 속 태권도 수련의 궁극적 합리성”,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2): pp. 1-21. 미소장
22 최성배⋅윤여탁⋅김수정 (2018). “태권도 수행의 움직임과 의식의 존재론적 해명.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3), pp. 49-60. 미소장
23 철학사전편찬위원회 (2009). 「철학사전」, 서울: 철학사전 중원문화. 미소장
24 (국어국문학)편집부편집부 (1994).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상.하」,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미소장
25 Immanuel Kant, 백종현 (역) (2009). 「실천이성 비판」, 서울: 아카넷.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