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혁정 (2013). “한국의 태권도 사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동규 (2018). 「체육⋅스포츠철학의 제 문제」,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3 | 김수정⋅최성배⋅윤여탁 (2012). “자본주의와 글로벌화 속에서 전통문화 태권도의 변용”, 「한국체육철학회지」, 20(4), pp. 71-85. | 미소장 |
4 | 김수정⋅최성배 (2018). “4차 산업혁명과 태권도 교육인식의 미래”,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3), pp. 1-14. | 미소장 |
5 | 대한태권도 협회⋅김병준⋅임태희⋅정문자⋅최중구 (2013). 「태권도 인성교육」, 서울: 애니빅. | 미소장 |
6 | 류봉선⋅김동규 (2012).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에 비춰진 태권도의 “도(道)””, 「한국체육철학회지」, 20(3), pp. 1-20. | 미소장 |
7 | 류은주 (2003). 「모발학사전」, 서울: 광문각. | 미소장 |
8 | 박진 (2000). “칸트의 초월논리학에서 헤겔의 사변논리학으로 - 칸트 초기 저작에 나타난 변증법적 사유의 단초를 중심으로”, 「칸트연구」, 6, pp. 17-57. | 미소장 |
9 | Immanuel Kant, 백종현 (역) (2006). 「순수이성비판」,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10 | 백종현 (2007).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서울: 철학과 현실사. | 미소장 |
11 | 사토 토미히코 (2010). “스포츠와 철학적 방법”, 한국체육철학회 추계학술대회. | 미소장 |
12 | 세계태권도연맹 (2018). www. worldtaekwondo.org. | 미소장 |
13 | 송형석 (2005). 「태권도란 무엇인가」, 경산시: 이문출판사. | 미소장 |
14 | 이경명 (2011). 「태권도 용어정보사전」, 서울: 태권도문화연구소. | 미소장 |
15 | 이재헌 (2008). “칸트의 물자체 개념: 칸트의 형이상학 구상과 초월에 대한 입장에 관하여”,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6, pp. 147-170. | 미소장 |
16 | 이주석⋅안용규 (2013). “태권도 정체성 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21(1), pp. 205-221. | 미소장 |
17 | 이학준 (2009). 「스포츠생각 60」, 서울: 북스힐. | 미소장 |
18 | 임일혁 (2010). “태권도가 지니고 있는 무도와 스포츠 요소의 비교”, 「대한무도학회」, 12(2), pp. 55-64. | 미소장 |
19 | 이학준 (2014). “태권도 철학을 철학함” 「국기원」, 5(3), pp. 1-12. | 미소장 |
20 | 최성배 (2015). “The fundamental relation between both human movement and human consciousness from physical education' viewpoint”,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최성배⋅김수정 (2018). “미시세계 상보성 원리와 혜강 기학(氣學)의 기(氣) 흐름 속 태권도 수련의 궁극적 합리성”,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2): pp. 1-21. | 미소장 |
22 | 최성배⋅윤여탁⋅김수정 (2018). “태권도 수행의 움직임과 의식의 존재론적 해명.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3), pp. 49-60. | 미소장 |
23 | 철학사전편찬위원회 (2009). 「철학사전」, 서울: 철학사전 중원문화. | 미소장 |
24 | (국어국문학)편집부편집부 (1994).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상.하」,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 미소장 |
25 | Immanuel Kant, 백종현 (역) (2009). 「실천이성 비판」,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