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모눈종이의 활용은 수와 연산, 도형, 측정 영역에서 사용하고, 이 중에서 도형 영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실제 초등 수학 교과서의 모눈종이를 활용한 수업 과정을 보면 모눈종이 사용에 따른 시행착오의 수정이나 보완이 어려워서 보다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해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7)의 ‘수학 수업용 교구표준안’에서 제시한 교구 중에서 모눈종이보다 더 효과적인 모눈종이판 교구의 활용성을 설문 조사 하였다. 조사는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모눈종이를 활용하고 있는 차시별 학습주제 중에서 모눈종이와 모눈종이판에서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교사들에게 조사한 후, 모눈종이판의 활용이 더 효과적인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찾아 분석하고, 영역별로 가장 효과적인 학습 주제의 구체적인 활동과정을 제시하였다.

The use of grid paper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s used in numbers and calculations, figures and measurement areas. Among them, it is used most in the figure area. In spite of this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t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vise or supplement the trial and error that often occurs in the course of the course, as the process of using the textbook paper in the actual class.

The use of grid paper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s used in numbers and calculations, figures and measurement areas. Among them, it is used most in the figure area. In spite of this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t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vise or supplement the trial and error that often occurs in the course of the course, as the process of using the textbook paper in the actual clas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usability of grid paper boards which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an the grid paper among the teaching aids presented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ids standards for math class'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Creativity(2017).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 of grid paper and grid paper board for teachers who actually use grid paper in elementary mathematics. As a result, we found out the achievement criteria of grid paper board utilization and investigated the study subject which is effective to use grid paper board. In particular, we have identified specific learning topics that are effective in each area and presented specific activi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학 패턴 유형에 따른 5학년 일반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주의집중과 주의전환 =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s of 5th general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types of mathematical patterns 이슬기, 이광호 p.1-12

시각적 모델에 따른 곱셈식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ultiplication expression method by visual model 김주창, 이광호 p.65-82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신념 연구 =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learning 김진호, 강은경, 김상미, 권성룡, 박만구, 조수윤 p.49-64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 사용에 대한 국가별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using calculators in math lesson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최지선 p.83-94

일본 교과서에 제시된 이중 척도 모델에 관한 분석 = An analysis of double scale models in the Japane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서은미, 조선미, 방정숙 p.29-48

초등 수학에서 탐구를 위한 탱그램 과제 변형 = Tangram task modification for explor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유재근, 박문환 p.95-111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모눈종이 활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use of grid paper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안병곤 p.13-27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완, 백석윤(2002). 초등수학교육론, 서울:동명사. Kang,W., & Baek,S,Y(2002).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 Dongmyoungsa. 미소장
2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5a).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3 교육부(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5b).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 for mathematics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4 교육부(2016).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국제비교 연구(TIMSS 2015) 결과 발표.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6). 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TIMSS 2015),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5 교육부(2017a).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과서,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2017a). Mathematics textbooks, guidance for 1st and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Seoul: Chunjae Education. 미소장
6 교육부(2017b). 수학 교구 기준안 정비 및 활용 활성화 안내(시・도교육청 공문).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2017b). Guidance on the revision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s instruction standard(official documents of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7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spotlight: Its purpose and some implications 네이버 미소장
8 교육부(2018b). 수학 지도서(현장 검토 심의본・감수본) 5-2. 6-2. 서울: (주)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2018b). Mathematics guidance(on-site review and inspection) 5-2. 6-2. Seoul:Chunjae Education. 미소장
9 교육부(2018b). 수학 지도서(현장 검토 심의본・감수본) 5-2. 6-2. 서울: (주)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2018b). Mathematics guidance(on-site review and inspection) 5-2. 6-2. Seoul:Chunjae Education. 미소장
10 국립국어원 (http://stdweb2.korean.go.kr/)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http://stdweb2.korean.go.kr/) 미소장
11 수학의 기본 구조 지도와 딘즈블럭 네이버 미소장
12 학교수학 학습에서의 퀴즈네어 막대 활용 네이버 미소장
13 김민경(2005).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관한소고-분수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수학교육〉, 44(1), 125-141. Kim, M. K. (2005). Specific manipulation activities using pattern blocks - focused on fractional learning-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s Series A, 44(1), 125-141. 미소장
14 김응태 외2(1996). 수학교육학개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Kim, E. T. et al (1996). Introduction to mathematics educ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미소장
15 김정하(2000). Dienes의 수학 학습 원리의 구체화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J. H. (2000). A Study on the Refinement of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A master's degree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16 Series E :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Prior Studies Based on Using Teaching Tools 소장
17 나귀수(2002).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예시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Na, G. S. (2002). Research Report RRC 2002-4-3,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rofessor, sample case book, KICE. 미소장
18 남승인(2003). 초등학교 수학학습에서 교구활용에 관한 연구-칠교판 활용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8, 109–134. Nam, S. I. (2003). A study on the using of manipulative materi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angram. Thesis Collection of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109-134. 미소장
19 남억우 외(1987). 교육학대사전. 서울:교육과학사. Nam, E. W. et al. (1987). Educational Dictionary. History of Education Science. 미소장
20 류선미, 박영희(2007). 초등학교 수학과 조작교구 활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1(1), 15-38. Ryu, S. M. & Park, Y. H. (2007). A study on the uses and the activation plan for the manipulative material in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itution, 11(1), 15-38. 미소장
21 박교식(2013). 수학용어 다시보기. 수학사랑. 87-88. Park, K. S. 2013). Back to math terms. Math love. 87-88. 미소장
22 박만구(2016).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의미와 사용 방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 <초등수학교육>, 19(1), 61-78. Park, M. G. (2016). Analysis of the Meaning and Usage of Diocese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9(1), 61-78. 미소장
23 박을룡 외4(1976). 수학사전. 서울:창원사. Park, E. R., et al. (1976). Math dictionary. Seoul:Changwon Corporation. 미소장
24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배영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5). Education dictionary. Baeyoungsa. 미소장
25 손숙현(2002). 수학교구를 활용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Son, S. H. (2000).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Students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ability to learn shapes from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A master's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미소장
26 안병곤(2003). 초등수학수업에서 활동중심 교수․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5(2), 241-257. Ahn, B. G. (2003). A Study on the Use of Activit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5(2), 241-257. 미소장
27 이경화, 정혜윤, 강완, 안병곤, 백도현(2017). 수학 교구의 교수학적 원리와 표준안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1(2), 203-222. Lee, K. H., Kang. W., Chung, H. Y., Ahn, B. Y. & Baek, D. Y. (2017). Development of Pedagogical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J. Korean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1(2), 203-222. 미소장
28 새시대 교수법 네이버 미소장
29 최은주, 최창우(2009).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31-49. Choi, E .J. & Choi, C. W. (2009). Case Studies on the Use of Parishiones in Primary mathematics less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13(1), 31-49. 미소장
30 한국과학창의재단(2017).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Kofac(2017). Development of paradigm standard for mathematics class. Kofac. 미소장
31 Bruner, J. S. (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Belkapp Press. 미소장
32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Hutchinson Educational. 미소장
33 Piaget, J. (1971).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Boston: Routledge and Kegan. 미소장
34 Remillard, J. T. & Heck, D. J. (2014). Conceptualizing the curriculum enactment process in mathematics education. ZDM 46(5), 705-718. 미소장
35 The Position of Geometry in Mathematical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6 Spikell, M. A. (1993). Teaching Mathematics with Manipulatives: A Resource of Activities for the K-12 Teacher. Allyn & Bacon. Boston, MA 021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