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 탐색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a elementary teacher in social studies : focusing on the method of life history :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송하인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연구방법 3

1. 자기생애사(self-life history) 연구 3

2. 연구참여자의 삶의 맥락과 배경 4

3. 자료수집과 분석 5

4. 타당성 논의 6

III. 한 초등사회과 교사의 성장 체험 7

1. 새싹초등학교 2년 : 클릭 교사 7

2. 새싹초등학교 2년, 가람초등학교 3년 : 모방교사 8

3. 하늬대학교 대학원 2년, 가람초등학교 1년 : 수업을 구성하는 교사 10

4. 아람부설초등학교 5년 : 본질에 물음을 던지는 교사 14

5. 윤슬초등학교 5년 : 아이 눈으로 보는 교사 17

IV.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이 주는 의미 20

1.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 : 사회과본질을 체득(體得)해가는 과정 20

2. 사회과수업전문성의 변화 : 시민권(citizenship)의 범위확대 22

V. 결론 및 제언 24

참고문헌 27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theses about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이채호 p.153-168

보기
학교체육에서 교사의 지도유형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The effects of teacher's instructional style on class satisfac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 a meta-analytic approach 이윤구, 곽민석 p.195-211

보기
대학 우수강의 기준으로 보는 교수학습센터(CTL) 강의컨설팅 영역 개선 시사점 = Implications for CTL's teaching consulting improv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s 이미자 p.237-263

보기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백워드 수업 설계 방안 탐색 = A study on applying backward design to social studies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y 홍서영 p.1-21

보기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창호, 장석진 p.477-494

보기
토론을 활용한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생태소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activity using discussion' on young children's ecological literacy 윤지희, 권은주 p.631-646

보기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 for new millennium learners : focusing on S university students : S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최미순, 조혜영, 이희연 p.309-335

보기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의 2015개정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비교 = The comparis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documents in general and special elementary school 김종우 p.23-35

보기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needs about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유영의, 이진희, 김종훈 p.587-609

보기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Establishment of university competency-based comparis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문희정 p.59-80

보기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이 중·고등학교 육상 투척종목 선수의 신체밸런스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ports rhythm exercises program on body balance and gait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throwers 이정흔, 박정민, 이기수, 윤장근, 이명선 p.573-586

보기
대학생의 시간관과 시간관리 유형에 따른 능동-수동 지연행동과 심리적 특성 =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luster of time perspective and time management 박나연, 이영호 p.411-433

보기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에 대한 사례연구 = Analyzing on microteaching experience : based on peer supervision 이지영 p.455-475

보기
예비교사들의 의복 폐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lothing disposal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 : 경상도 소재 사범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정미실 p.525-549

보기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 Research trend analysi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outh Korea 김은지, 김혜경 p.289-307

보기
대학생 학사경고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 A review on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and support methods for university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차재경, 이태훈 p.337-356

보기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 Meaning of 'play ~ learning'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임부연, 손연주 p.265-287

보기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 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level of teacher efficacy :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이유미, 안지혜 p.109-132

보기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analysis of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황서연, 김정렬 p.169-193

보기
6~8세 아동의 일상생활 말소리에 대한 음소 출현빈도 분석 = Analysis of appearance frequency of phonemes for daily life speech sounds of 6 to 8 year old children 신은영, 신수경, 조수진 p.387-409

보기
그림책 선정과 그림책 읽기 활동에 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A study on picture book selection and reading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김지연, 김경윤, 조경선, 이상돈 p.37-57

보기
대학의 학생활동중심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 및 교육적 효과 질적 탐색 =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learning-activity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strategy in student activities-centered classrooms at university 이성하 p.663-687

보기
학습자의 다양한 해석을 위한 문학 교과서 집필 방향 = A study on the writing direction of literary textbook for various interpretations of learners in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Baek Seok's poetry : 시인 백석의 작품을 중심으로 손예희 p.689-706

보기
자유학년제 시행 하에서 기술·가정 교과의 진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탐색 = An exploration of measures for effectively operating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ree year program : revolving around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 가정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김환준 p.81-108

보기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 Analysis on system of content & elements of expression area competency for application of competency-center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홍애령, 조미혜 p.551-571

보기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Developing and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al expert training : RSp교육을 중심으로 오은영, 김승옥, 유병민 p.213-235

보기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개발 =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university student relations 김인옥 p.611-630

보기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생활만족도,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i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the disabled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연은모, 최효식 p.133-152

보기
초등 임용시험 과학과 문항 분석 = Analysis of science items in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tests : focused on questionnaires from 2001 to 2018 : 2001-2018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박지선 p.647-661

보기
승리접근경험과 게임 유형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ear miss and type of game on the loss aversion :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social gamblers : 사교성 도박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운숙, 권영실, 현명호 p.435-454

보기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 Comparisons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statistics :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김부미, 김윤민 p.495-523

보기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전문성 발달 탐색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a elementary teacher in social studies : focusing on the method of life history :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송하인 p.357-386

보기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묘숙, 조순묵 (2007). 초등교사의 표현활동에 관한 실천적 지식형성과정의 생애사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2). 63-80. 미소장
2 김다원 (2008). 세계지역에 대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민오 (2018).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봉석 (2012).『朝鮮の 敎育硏究』를 통해 본 일제 강점기 초등 역사수업의 실제 양상. 사회과교육연구, 19(2). 1-18. 미소장
5 김병수 (2017). 자기연구를 통한 교사 교육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구. 교육문화연구, 23(2), 303-322. 미소장
6 김병찬 (2007). 교사의 생애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77-102. 미소장
7 김영천 (2004).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연구동향과 예들. 열린교육연구, 12(2), 79-105. 미소장
8 김영천 (2012). 질적연구 방법론 1: Bricoleur. 경기: 아카데미 프레스. 미소장
9 김영천, 한광웅 (2012). 질적연구방법으로 생애사 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문화연구, 18(3), 5-43. 미소장
10 In-Servic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네이버 미소장
11 김한종 (2003). 사회과 수업내용 재구성의 원리. 사회과교육연구, 6, 1-15. 미소장
12 김한종, 양호환, 최상훈, 양정현, 유용태, 강선주 (2005).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서울: 책과 함께. 미소장
13 구원회 (2016).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467-504. 미소장
14 류제헌 (2002). 한국문화지리. 서울: 살림. 미소장
15 류현종 (2004). 사회과수업비평: 예술비평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민윤 (2003). 사회과역사수업에서 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초등교사의 사회과 성격의 이해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8 박선미 (2006). 협력적 설계가로서 사회과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패러다임 탐색. 사회과교육, 45(3), 189-208. 미소장
19 박성희 (2004).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서울: 원미사. 미소장
20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에 관한 연구 : 목표, 방법, 내용 이해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소장
21 박형준 (2005).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이해-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7(1), 81-100. 미소장
22 서근원, 송하인 (2018).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눈으로 수업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인류학연구, 21(4), 43-92. 미소장
23 서제희 (2015). 자기연구(self-study)를 통한 미술교육 연구에의 적용 및 가능성. 미술과교육, 16(1), 89-106. 미소장
24 서창국 (2017). 중등 사회과교사의 경력에 따른 수업전문성 인식: 학생 이해의 관점에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성경희, 조희진 (2012).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조사 연구. 시민교육연구. 44(4), 117-152. 미소장
26 송도선 (2009). 듀이 철학에서 경험 연속성의 교육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23(3), 291-333. 미소장
27 이기명 (2012). 수업전문성을 인정받는 교사의 발달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이동원 (2007). 초등사회과 교사전문성 담론의 수용과 좋은 수업안 쓰기의 조건. 사회과교육연구, 14(3), 37-61. 미소장
29 이혁규 (1997). 중학교 사회과교실 수업에 대한 일상생활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임영택 (2009). 사례기반학습에서 사례의 구성방식과 추론활동 지원도구가 학습결과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임재근, 양일호 (2008). 초등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연구. 초등과학교육, 27(2), 93-101. 미소장
32 옥일남 (2006). 사회과 예비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관심 형성의 배경에 관한 생애사연구. 시민교육연구, 40(3), 99-131. 미소장
33 우지만 (2018). 체육교사의 교수전문성 형성 과정과 실천적 의미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2(4), 63-76. 미소장
34 유은정, 이선경, 최종림, 김찬종 (2010). 과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생애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71-987. 미소장
35 정금현, 장홍재 (2005). 성장단계에 있는 교사의 지식학습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177-197. 미소장
36 Citizenship studies: A general theory 네이버 미소장
37 정혜윤, 강영심 (2017). k교사의 생애사를 통해 본 특수교사의 삶과 정체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6(1), 251-280. 미소장
38 정혜정 (2013). 초등사회과 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9 조성욱 (2005). 거점국가 중심의 세계지리 교육내용 구성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3), 349-362. 미소장
40 한경혜 (2005). 생애사 연구를 통해 본 남성의 삶.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30. 미소장
41 홍미화 (2006).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2 홍우림 (2014). 초등교사의 전문성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7(3), 213-236. 미소장
43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Phi Delta Kappa; 박철홍 역 (2016).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서울: 문음사. 미소장
44 Barr, R. D., Barth, J. L., & Shermis, S. S. (1977).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Palm Springs, CA: ETC Publications. 미소장
45 Lieblich, A. & Tuval-Mashiach, R. Zilber, T. (1998). Narrative research. Read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eries Volume 47, US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46 The Study of Life History: Gandhi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