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鼠鼯傳>은 작품 제목 아래 ‘著作者 前進仕 徐達增 鎭安’이라고 유일하게 작자가 명기된 한문본 鼠流 訟事型 寓話小說이다. 창작시기는 18세기 말 이후 19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본고는 <鼠鼯傳> 관련 기왕의 논문 발표 이후 추가로 확인된 徐達曾(1773~?)의 사돈인 朴應壽의 후손에 의해 전해 온 累世行錄에 의거 작가론적인 논지를 보완하고, 특히 작품의 원문과 역문 및 주석을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전반적인 작품의 評釋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추가 확인된 자료와 기왕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작가론을 보완하고, <鼠鼯傳>의 譯文 및 상세한 註釋을 첨부하여 작품의 구체적인 면모를 학계에 처음 소개하는 데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부패하고 무능한 관원과 양반 토호들의 횡포를 비판하고 부정부패로 만연된 향촌사회의 계층갈등과 모순을 사실적으로 재구하여, 이상적인 통치체제와 유능하고 덕망 있는 구원자적 牧民官을 기대하는 鄕班으로서 이상적인 지도자의 관념세계의 일단을 표방한 것으로 보인다.
작가와 관련된 언행록을 참고할 때, 어려서부터 곧을 直자를 자신의 신조로 삼아 올곧은 신념으로 평생 불의를 용납하지 않고 올곧게 처신하려 했던 작가 의식이 작품 속에 잘 반영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장차 관심 있는 연구자의 범위를 확대하고 미진한 작업을 보완할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Seoohjeon is the lawsuit-typed fable novel written in Chinese between rodents, which is the only one that shows the author’s name in the form of “author: jeonjinsa Seo Dal-jeung jinan” under the title of the work. It’s creation time is presumed any time between the later 18th century and the mid-19th century.
The purpose of study is to complement the point of the study of writer on the basis of Nusehaengrok which was handed down by the descendants of Park Eung-su, son-in-law’s father of Seo Dal-jeung(1773~?), which was found after the presentation of the past thesis concerned with Seoohjeon, and especially to introduce for the first time the original text, translation and annotation into the academic world. and so the research of overall critical notes of the work was conducted..
I tried to find a significance in complementing the study of writer on the basis of the later-found data and former research results, and to introduce for the first time into the academic world the specified aspects of the work by attaching the translation and detailed annotation of Seoohjeon.
This work is seemed to show the expectation of ideal government system and the aspects of an ideal world of the ideal leaders as the local elites by criticizing corrupted, incompetent government officials, and arrogation of gentry and wealthy local farmers, and by realistically reconstructing clas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the rural community society widespread by corruption and graft.
In consulting a chronicle of sayings and doings concerned with its author, it seems that the author’s consciousness is reflected well in the work, who has had uprightness as a principle and not accepted injustice lifelong since his childhood.
I hope that I’ll have an opportunity to extend the range of study of interested researchers and to make up for the incomplete study.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利川徐氏 節孝公派 대동보 문헌록 | 미소장 |
2 | 利川徐氏 節孝公派譜. 진안지(향토교육자료집), 진안군교육청, 1978. 진안지 번역본, 2000. | 미소장 |
3 | 진안군 향토문화백과사전, 2004. | 미소장 |
4 | 김광순,『한국의인소설연구』, 새문사, 1987. | 미소장 |
5 | 김재환,『한국 동물우화소설 연구』, 집문당, 1994. | 미소장 |
6 | 김충실,「송사형 고전소설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1. | 미소장 |
7 | 민 찬,『조선후기 우화소설 연구』, 태학사, 1995. | 미소장 |
8 | 신경숙,「송사형 우화소설」,『어문논집』30. 고려대, 1991. | 미소장 |
9 | 신해진편역,『서류 송사형 우화소설』, 보고사, 2008. | 미소장 |
10 | 柳奇玉,「<鼠鼯傳>의 변별적 특성과 의미」,『온지논총』제27집, 2011. | 미소장 |
11 | 이헌홍,『한국송사소설연구』, 삼지원, 1997. | 미소장 |
12 | 정출헌,「조선후기 우화소설의 사회적 성격」,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2. | 미소장 |
13 | 정학성,「우화소설연구」,『국문학연구』17, 서울대 국문학연구회, 1972. | 미소장 |
14 | 정흥모,「조선후기 우화소설의 인물형상과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변모」,『고전문학연구』5, 1990. | 미소장 |
15 | 한아름,「서류 우화소설연구」, 서강대 교육대학원 논문, 200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