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고의 목적은 평성궁에 설치된 조당의 검토를 통해 奈良시대에 천황 중심의 율령지배체제가 어떻게 건설 또는 재건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藤原宮의 경우 단일공간에 설치되었던 조당이 平城宮에서는 중앙구와 동구 즉, 주작문 북쪽에는 초석건물로 지은 4堂이, 그리고 임생문 북쪽에는 굴립주건물로 지은 12堂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중앙구와 동구의 구조는 745년 평성경으로 환도한 이후 변화되었다. 중앙구에는 천평보자 연간(757~764)에 칭덕천황(称徳天皇)의 거소인 西宮이 조영되었고, 동구는 천평승보 연간(749~757)에 대안전은 대극전으로, 조당의 12당은 굴립주건물에서 초석건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평성궁의 중앙구와 동구는 平安宮의 豊樂院과 朝堂院으로 계승되었다. 따라서 중앙구는 의례·향연의 장으로, 동구는 朝賀·정무의 장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續日本紀』를 살펴보면 평성궁에 설치된 조당은 恭仁京으로 천도를 단행한 740년을 기점으로 그 사용형태가 확연히 구분되었다. 740년 이전에 조당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한 천황은 성무천황(聖武天皇)이었다. 이때 조당에서는 踐祚大嘗祭, 정월의 세 節會, 외국 사신을 위한 향연, 불경의 독송이 이루어졌다. 한편 745년 평성경으로 환도한 이후에는 광인천황기(光仁天皇期)에 조당의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대체로 성무천황기와 유사했다.

성무천황기에 조당의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그의 조부인 藤原不比等의 구상과 성무천황의 국정운영 방향이 일치했기 때문이었다. 불비등은 성무천황을 통해 강력한 천황 중심의 율령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불비등의 구상은 적어도 740년 공인경으로 천도하기 전까지는 성무천황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성무천황은 집권 전반기에는 율령지배체제를 강화하고 관인들의 위계질서를 세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한편 광인천황기에 평성궁 조당이 적극적으로 사용된 것은 율령지배체제의 쇠퇴를 우려했던 광인천황의 통치이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칭덕천황 사후 우여곡절 끝에 藤原式家인 등원백천·등원양계 등의 추대로 천황의 자리에 앉게 된 광인천황은 자신만의 분명한 통치이념을 갖고 있었다. 그는 道鏡으로 인해 야기된 칭덕천황기의 실정을 바로잡고 관인들의 위계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방대해진 관료조직을 축소 또는 재편하여 불필요한 재정지출을 막고자 하였다. 이러한 광인천황기의 국정운영은 궁극적으로는 천황 중심의 율령지배체제가 와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던 것이다.

평성궁 조당은 고대 일본에서 율령통치의 중요한 요소인 정무·의식·의례·향연을 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식을 奈良시대의 모든 통치자가 공유한 것은 아니었다. 통치자가 지향했던 국정운영의 방식과 목표에 따라 조당의 활용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조당의 활용 여부는 율령지배체제의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참고문헌 (9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日本書紀』 미소장
2 『續日本紀』 미소장
3 『日本後紀』 미소장
4 『續日本後紀』 미소장
5 『日本文德天皇實錄』 미소장
6 『日本三代實錄』 미소장
7 『類聚國史』 미소장
8 『日本紀略』 미소장
9 『令義解』 미소장
10 『令集解』 미소장
11 『律』 미소장
12 『類聚三代格』 미소장
13 『內裏儀式』 미소장
14 『內裏式』 미소장
15 『儀式』 미소장
16 『延喜式』 미소장
17 『西宮記』 미소장
18 『北山抄』 미소장
19 김은숙 2015, 「光仁天皇의 卽位過程」, 『백제연구』61,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미소장
20 김은숙 2017, 「光仁天皇의 井上皇后 廢后 사건」, 『한일관계사연구』57, 한일관계사학회. 미소장
21 김은정 2013, 「平城宮 庭園의 使用形態와 그 特徵」, 『백제연구』57,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미소장
22 김은정 2014, 「平安京 神泉苑의 造營 目的과 特徵」, 『백제연구』59,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미소장
23 日文榎村寬之 2007, 「元·齋王井上內親王廢后事件と八世紀王權の轉成」,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134, 國立歷史民俗博物館. 미소장
24 岡田精司 1970, 「古代王權と宮廷祭祀」, 『古代王權の祭祀と神話』, 塙書房. 미소장
25 岡田精司 1992, 『古代祭祀の史的硏究』, 塙書房. 미소장
26 岡田精司 1993, 「大王就任儀禮の原形とその展開-即位と大嘗祭-」, 『日本史硏究』245, 日本史硏究會. 미소장
27 高島正人 2014, 『藤原不比等 -人物叢書 新裝版-』(日本歷史學會 編), 吉川弘文館. 미소장
28 古瀨奈津子 1984, 「宮の構造と政務運營法」, 『史學雑誌』93-7, 史學會. 미소장
29 古瀨奈津子 1986, 「平安時代の『儀式』と天皇」,『歷史學硏究』560,績文堂出版. 미소장
30 關野貞 1907, 「平城京及大内裏考」, 『東京帝國大學紀要』工科 第3冊, 東京帝國大學. 미소장
31 橋本義則 1984, 「平安宮草創期の豊樂院」,『日本政治社會史硏究』,塙書房. 미소장
32 橋本義則 1986, 「朝政·朝儀の展開」,『日本の古代7まつりごとの展開』,中央公論社. 미소장
33 橋本義則 1995, 「平安宮內裏の成立過程」, 『平安宮成立史の硏究』, 塙書房. 미소장
34 橋本義則 2011, 「平城宮の內裏とその歷史的變遷」, 『古代宮都の內裏構造』, 吉川弘文館. 미소장
35 鬼頭淸明 1977, 『日本古代都市論序說』, 法政大學出版局. 미소장
36 鬼頭淸明 1978, 「日本における大極殿の成立」,『古代史論叢』中巻(井上光貞博士還曆記念會編),吉川弘文館. 미소장
37 鬼頭淸明 1984, 「日本における朝堂院の成立」,『日本古代の都城と國家』, 塙書房. 미소장
38 金子裕之 1994, 「藤原宮」, 『季刊 考古學 別冊5 古代都市文化と考古學』, 雄山閣出版. 미소장
39 金子裕之 2006, 「平城宮·大嘗宮の諸問題」, 『古代の信仰と社會』(國土館大學考古學會 編), 六一書房. 미소장
40 今泉隆雄 1993, 「平城宮大極殿朝堂考」·「平城宮大極殿朝堂再論」, 『古代宮都の硏究』, 吉川弘文館. 미소장
41 吉川眞司 2005, 「王宮と官人社會」, 『列島の古代史ひと·もの·こと3社會集団と政治組織』, 岩波書店. 미소장
42 吉川眞司 2006, 「律令體制の展開と列島社會」, 『列島の古代史8 古代史の流れ』, 岩波書店. 미소장
43 吉川眞司 2011, 『聖武天皇と佛都平城京』(天皇の歷史02), 講談社. 미소장
44 金銀貞 2008, 「「庭」に関する一考察-大嘗宮を中心として-」, 『王權と都市』(今谷明 編), 思文閣出版. 미소장
45 金銀貞 2012, 「聖武朝の特質についての一考察-節會の分析から-」 ,『歷史』119, 東北史學會. 미소장
46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2, 『平城宮發掘調査報告Ⅱ』,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47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3, 『平城宮發掘調査報告Ⅲ』,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48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82, 「平城宮發掘調査報告Ⅺ-第1次大極殿地域の調査」,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學報第40冊』,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49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86, 『奈良文化財硏究所年報』,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0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91, 『平城宮發掘調査報告ⅩⅢ』,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1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93, 『平城宮發掘調査報告ⅩⅣ』,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2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96, 『飛鳥·藤原宮發掘調査槪報』,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3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2002, 『創立50周年記念 日中古代都城圖錄 奈良文化財硏究所史料第57冊』,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4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2005, 『奈良文化財硏究所紀要 2005』,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5 大久保あゆみ 1997, 「聖武天皇の即位と左大臣長屋王」, 『政治經濟史學』 370 (彦田一太先生追悼號), 政治經濟史學會. 미소장
56 渡邊晃宏 2003, 「平城宮第一次大極殿の成立」, 『奈良文化財硏究所紀要 2003』, 奈良文化財硏究所. 미소장
57 渡邊晃宏 2006, 「平城宮中樞部の構造-その變遷と史的位置-」, 『古代中世の政治と權力』(義江彰夫 編), 吉川弘文館. 미소장
58 渡邊晃宏 2010, 「平城京の構造」, 『古代の都2平城京の時代』, 吉川弘文館. 미소장
59 美多実 1981, 「元正天皇の即位事情」, 『日本歷史』394, 吉川弘文館. 미소장
60 保坂佳男 1989, 「奈良時代の冬至-聖武天皇の立太子儀に關連して-」, 『續日本紀硏究』262, 續日本紀硏究會. 미소장
61 寺崎保廣 2006, 『古代日本の都城と木簡』, 吉川弘文館. 미소장
62 森本公誠 2010, 『聖武天皇 責めはわれ一人にあり』, 講談社. 미소장
63 上野邦一 1993, 「平城宮の大嘗宮再考」, 『建築史學』20, 建築史學會. 미소장
64 小山田義夫 2008, 「大嘗會役小考」, 『一國平均役と中世社會』(中世史硏究叢書13), 岩田書院. 미소장
65 小澤毅 2003, 『日本古代宮都構造の硏究』, 靑木書店. 미소장
66 小澤毅 2018, 『古代宮都と關連遺跡の硏究』, 吉川弘文館. 미소장
67 狩野久 1990, 『日本古代の國家と都城』, 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68 狩野久 1985, 『飛鳥藤原の都』(古代日本を發掘する1), 岩波書店. 미소장
69 石川千惠子 2010, 「律令制國家の成立と十二朝堂」, 『坪井淸足先生卒壽記念論文集』下卷, 明新社. 미소장
70 巽淳一郎 1985, 「平城京東區朝堂院において檢出した大嘗祭の遺構について」, 『日本歷史』451, 吉川弘文館. 미소장
71 松原弘宣 1979, 「藤原京より平城京へ」, 『古代の地方史 3』(龜田隆之 編),朝倉書店. 미소장
72 神谷正昌 2000, 「冬至と朔旦冬至」, 『日本歷史』630, 吉川弘文館. 미소장
73 阿倍義平 1974, 「平城宮の內裏·中宮·西宮考」, 『硏究論集Ⅱ』,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미소장
74 阿倍義平 1984, 「古代宮都中樞部の變遷について」,『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3, 國立歷史民俗博物館. 미소장
75 岸俊男 1975, 「朝堂の初歩的考察」,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創立三十五周年記念』(橿原考古學硏究所 編), 吉川弘文館. 미소장
76 岸俊男 1975, 「都城と律令國家」, 『岩波講座 日本歷史2 古代2』,岩波書店 미소장
77 岸俊男 1988, 『日本古代宮都の硏究』, 岩波書店. 미소장
78 野村忠夫 1970, 『律令官人制の硏究』(増訂版), 吉川弘文館. 미소장
79 仁藤敦史 1998, 「平城宮の中宮·東宮·西宮-殿舎名稱の變遷と權力構造の分析-」, 『古代王權と都城』, 吉川弘文館. 미소장
80 林陸朗 1970, 「平城遷都の事情」, 『國史學』81, 國史學會. 미소장
81 林部均 2001, 『古代宮都形成過程の硏究』, 靑木書店. 미소장
82 林部均 2008, 『飛鳥の宮と藤原京-よみがえる古代王宮』(歷史文化ライブラリー), 吉川弘文館. 미소장
83 林部均 2010, 「發掘された飛鳥の諸宮」, 『飛鳥から藤原京へ』(木下正史·佐藤信 編著)(古代の都Ⅰ), 吉川弘文館. 미소장
84 折口信夫 1979, 「大嘗祭の本義」, 『大嘗祭と新嘗』(岡田精司 編), 學生社. 미소장
85 井上和人 2004, 『古代都城制條里制の實證的硏究』, 學生社. 미소장
86 井上和人 2008, 「古代都城建設の實像-藤原京と平城京の史的意義を問う」, 『日本古代都城制の硏究-藤原京·平城京の史的意義』, 吉川弘文館. 미소장
87 志村佳名子 2015, 「朝堂の成立とその機能」, 『日本古代の王宮構造と政務·儀禮』, 塙書房. 미소장
88 佐藤信 2001, 「宮都の形成と変容」, 『新体系日本史6 都市社會史』, 山川出版社. 미소장
89 倉本一宏 2017, 『藤原氏の硏究』(日本古代氏族硏究叢書⑥), 雄山閣. 미소장
90 千田稔 2010, 「平城京遷都の事情」, 『平城京』(湯原公浩編 集)(別冊太陽 日本のこころ165), 平凡社. 미소장
91 八木充 1996, 「宮都硏究の總括と現段階」, 『硏究史 飛鳥藤原京』, 吉川弘文館. 미소장
92 丸山裕美子 1992, 「仮寧令と節日-古代社會の習俗と文化-」, 『古代禮法と日本律令制』, 東方書店.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