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근대초기 『목민심서』의 수용과 전근대 실용서의 근대적 고전 되기 = Early modern appropriation of Mokminsimseo, the premodern practical guidebook that became a modern classic / 안승택 1

국문초록 1

I. 머리말 3

II. 연구의 배경 5

III. 근대적 계몽의 약으로 재발견된 『목민심서』의 실용성 8

1. 근대적 실용교양서로서의 자리매김 8

2. 실용성 강조의 배경과 실용성의 추상화 13

III. 민족적 문화자산으로 재발견된 『목민심서』의 독성 18

1. 민족주의에 대항해 작용한 독성 18

2. 식민주의에 대항해 작용한 독성 23

IV. 맺음말 29

참고문헌 32

Abstract 3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제시기 천도교 혁신세력의 '東道'주의와 종교·정치 활동 = The 'Dongdoism' and religious and political activities of Cheondogyo reform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홍동현 p.81-105

보기
근대초기 『목민심서』의 수용과 전근대 실용서의 근대적 고전 되기 = Early modern appropriation of Mokminsimseo, the premodern practical guidebook that became a modern classic 안승택 p.233-267

보기
李楨 追崇과 『龜巖集』 간행으로 본 泗川 지역의 퇴계학맥 계승 = Succession of Toegye school in Sacheon region in view of the Lee Jeong worship and the publication of the GuAm Collection(구암집) 우정임 p.195-231

보기
4차산업혁명시대와 동학사상의 역할 = The role of Donghak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common sense related to AI development : AI 전개와 관련한 '공통감성' 문제를 중심으로 최재목 p.133-169

보기
함순(咸淳)의 생애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life of Ham Sun 서주영 p.173-194

보기
역사를 뚫고 솟아난 귀수성의 세계 = The world of 'Gwisuseong(歸數性)' rising from history : Shin, Dong-yeop's 『Geumgang』 reading : 신동엽의 <금강> 읽기 정명중 p.107-132

보기
한말 지식인의 動向과 東學 = Korean intellectuals' trends and Dong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黃渭周 p.7-51

보기
1894년 안동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그 좌절 = The resistance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Andong in 1894 신진희 p.53-79

보기
<덴동어미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와 문학관광 콘텐츠화 방안 = Culture content values and possibility of literary tourism contentization of "Song of the Mother of a Burned Boy at the Flower Festival(Dendong Eomi Hwajeon'ga)" 김공숙 p.269-30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