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대 사회에서는 문화가 사회를 주도한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문화적 욕구의 증가로 복합적인 문화공간이 요구되면서, 복합문화공간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공간이 생겨남으로써 변화·발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맞추어 복합문화공간을 다양한 경험적 가치가 복합적으로 내재 되어 있는 공간으로 주목하고,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에 있어서 공간이 가지는 기호학적 특성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복합문화공간이 가장 활발하게 생겨나고 있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있는 곳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범위를 보다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2017년 이후 오픈한 복합문화공간 중 상업공간에 문화를 접목시킨 단일건물형 공간으로 범위를 규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의 학위논문, 참고문헌, 학술논문 등의 자료를 통해 연구의 분석적 이론을 정리하였다. 퍼스의 기호학적 개념을 통해 공간의 기호학적 요소를 추출하여, 복합문화공간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며,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복합문화공간을 체험하는 사용자와 공간 사이에 일어나는 의미작용을 연구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의 공간 요소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보체계라는 관점에서 퍼스의 기호개념인 삼원론적 분석체계를 차용하였다. 그 결과, 3가지의 기호 범주를 통해서 9가지의 공간 특성이 도출되었다. 공간에서 도상기호는 시지각적 측면의 공간 요소인 형태, 색채, 재료에서 나타난다. 지표기호는 공간에서 전달적 측면의 요소인 컨셉, 분위기, 동선을 통해 나타나며, 상징기호는 경험, 체험, 인지의 관념적 측면의 요소로 나타난다. 사례분석을 통해 퍼스의 기호학적 측면의 공간 요소는 복합문화공간에서 통합성, 이미지성, 표현성의 공간지각적 특성으로 나타나며, 내포성, 지각성, 유도성의 의미전달적 특성으로 나타나고, 다양성, 상호작용성, 체현성의 인식관념적 특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계속적으로 생겨날 복합문화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써 공간의 기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 한다.

In modern society, the perception that culture leads the society is expanding. With the increased demand for complex cultural space due to the increase of consumers' cultural desire,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rapidly increasing, changing, and developing. Paying attention to the complex cultural space as a space that complexly contains diverse experiential values suitable for this social trend,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focusing on Peirce's semiotics. As the subject area, this study selected the place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where the complex cultural spaces were the most actively built up.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scope of this study, the scope was defined as the single building-type space combined with commercial space and culture out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s open since 2017. Based on the literary data such as domestic/foreign graduate theses, references, and scientific theses, the analytical theorie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On top of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by extracting the semiotic elements of space through Peirce's semiotic concept,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space of complex cultural space, and also the signification occurring between users of complex cultural space and space. As the spatial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 would be the information system for delivering messages to users, this study borrowed the triadic analysis system by Peirce's semiotic concept. In the results, total nine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drawn through the three semiotic categories. In space, the iconic sign is shown in the spatial elements of visual-perceptual aspect such as form, color, and material. In space, the indexical sign is shown in the elements of transmittive aspect such as concept, atmosphere, and moving line while the symbolic sign was shown in the elements of cognitive-ideational aspect such as experience, taste, and cognition.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spatial elements would be shown as the spatiopercept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grity, image, and expressivity in complex cultural space, as the transmittive characteristics such as connotation, perception, and inducement, and as the cognitive-ide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iversity, interactivity, and materializ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 that would be continuously built up,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on the semiotic interpretation of space as a tool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식품브랜드의 패러디광고 차별성이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food brand parody advertisement distinctiveness on the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노현지, 구자준 p.159-172

플립러닝을 적용한 디자인교육 수업사례 및 활용방안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design education : focused on case of 'spatial design issue' class : '공간디자인 이슈'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연, 박혜선, 강은정 p.213-224

바우하우스의 금속 작업, 제품의 기능 구현을 위한 생각과 여건의 진화 = Metal works of Bauhaus, evolving ideas and conditions for functional implementation of products 이주명 p.329-340

남성고객을 위한 한국형 드럭스토어 매장 경험의 요인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nalysis of Korean-style drugstore experience for male consumers 한소영, 고정욱 p.553-569

자연의 유기적 형태 활용을 통한 여성 골프웨어 디자인 제안 = A proposal of female golfwear design by utilizing organic form of nature 형미라, 윤지영, 강혜승 p.597-612

모바일 인디게임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ingularity of mobile indie game 온유연, 조동민 p.293-304

한⋅중 전통 목가구의 비례 연구 = A study on the ratios of Korean & Chinese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 focusing on the cabinets of Joseon Dynasty in Korea and Ming & Qing Dynasties in China : 조선시대와 (중국) 명⋅청시기 장(欌)가구를 중심으로 이정, 이성원 p.315-328

영화 <아가씨>의 내러티브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적 요소 분석 = Analysis of the art elements influencing on the narrative of the film <The Handmaiden> 진영선, 최병길 p.501-520

조선의 지도에서 보이는 정보 시각화에 관한 연구 = Information visualization on maps of the Joseon Dynasty 강명지 p.1-8

살롱의 콘텐츠 및 공간 요소 변화 = Of the content and spatial elements of salons : with a focus on salons as daily culture spaces :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중심으로 강현정, 이진민, 장미정 p.9-23

미술대학 재학생의 다중지능 성향과 전공 만족도 및 과제수행 성과인식 간의 관계 = The distribu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ajor satisfaction and work accomplishment for design and arts college students 김예림, 김진희, 이철영 p.83-92

브랜드 보호를 위한 보안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security design for brand protection 남세현, 김맹호 p.135-157

초등학생들의 온·오프라인 화장 정보와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keup information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tudents online and offline 이호정, 오희선 p.357-368

중국 의료미용 수요자를 위한 전문병원 서비스 개발 방향 연구 = Study on development of special hospital service for consumers of medical beauty treatment in China 정원, 이명희 p.395-407

사용자 중심의 공간 가변형 식기 건조대 디자인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variable draining board in user-oriented space 조현성, 강범규 p.469-484

광고의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메시지 성격에 따른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eptor respons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rationality and emotional appeal messages in advertising 차인혜, 김보연 p.537-551

크리스티 맷슨의 자카드 위빙에 적용된 일렉트로닉 텍스타일 연구 = A study on electronic textiles in Christy Matson's jacquard weaving 김종옥 p.93-106

코믹스의 시각적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The strategy of visual narrative in comics : focusing on Chris Ware's comics : 크리스 웨어의 코믹스를 중심으로 박민주 p.189-199

조지 폴리아의 문제 해결 과정에 의한 한국 띠 문양 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reating Korean frieze patterns through George Polya's problem solving process 신실라 p.239-249

키치가 주는 안락함과 소외감을 통한 미적 경험 =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omfort and alienation of kitsch : focused on "psychology of kitsch" by Abraham Moles : 아브라함 몰르의 "키치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정새해, 이현진 p.381-394

잡지 『개벽』의 근대적 시각성 =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Kai Pyuk through the cover and the body text images : 표지와 본문의 이미지 사용에 드러난 전통과 근대의 교섭을 중심으로 조현신 p.486-500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동경(銅鏡)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bronze mirror from Three Kingdom Period and Unified Silla 홍세아 p.613-622

좌파적 정치적 목적성을 가진 존 하트필드의 포토몽타주 연구 = A study on John Heartfield's photomontage with left-wing political objectives : focused on works published in the pages of AIZ representing the orthodox left : 정통 좌파를 대변하는 AIZ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오병희 p.263-275

빛에 반응하는 타이포그래피 형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hape of typography responses to light 전은선, 김성계 p.369-380

경상남도 홈페이지에 표기된 18개 시, 군 자연 상징물 현황분석 = Analysis current status of nature symbol on the homepage of the on 18 cities and conties Gyeongsangnam-do 김홍중 p.119-133

4차 산업혁명시대, 산업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안적 방법론 요소 연구 = Study of alternative theory as the paradigm change of industrial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based on a convergence between QFD and service design which part of product development process of manufacturing : 제조업 상품개발 프로세스 중 QFD와 서비스디자인 융합 중심으로 진현오, 유상욱 p.521-535

사물의 문화, 디자인, 그리고 과학·기술의 상호구성성 이해 =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vity of culture of artifacts, design, and science & technology : focusing on understanding actor network theory :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이해를 중심으로 민수홍 p.173-187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s craft design with ceramic materials 안재영 p.251-261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hairstyles in the Joseon Dynasty 우미옥, 박선이 p.305-314

질 샌더(Jil Sander)의 비대칭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asymmetry fashion design by Jill Sander 허성아 p.571-583

국내 메이커 운동의 가치 및 발전 방향 분석 = Analysis of val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maker movement 권우정, 백윤철, 권지은 p.35-48

인물 벽화 협동제작의 교육적 의미 =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mural portrait painting 박영대 p.201-212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 디자인 경향성 분석 = Analysis of outside mirror design trend in automotive 서혁준, 강지훈 p.225-237

동시대 예술에서 '디지털 이후'의 진단과 사유들 = Analyses and reflections on "after digital" in contemporary art scene : focused on post-Internet and post-digital : 포스트인터넷과 포스트디지털을 중심으로 오준호 p.277-291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 구조 및 조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earch of core structure and form for nondirectional sound amplification speaker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조성주, 조재영, 임창환, 정의영 p.425-436

초등학교 언플러그드 코딩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unplugged cod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허영 p.585-596

서책형⋅디지털 교과서 캐릭터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characters of the printed and digital textbooks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국내외 초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가이, 문철 p.49-60

북한 포스터의 슬로건과 이미지의 조응 관계 방식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logans and images in North Korean posters 김소연 p.61-70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의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표현에 관한 연구 = Inconsistency to carnival grotesque in hybrid text 김영호 p.71-82

역사문헌기록 속의 난방관련 단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eating related vocabulary as found in historical records 조원석, 문정인 p.437-450

서울형 도시 재생 활성화 대상지의 장소성 빅 데이터 분석 = Urban regeneration of Seoul placeness big data analysis 조윤설, 조택연 p.451-468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공공미술 특징연구 = A study on public art in the post-digital era : focused on overseas cases that communicate with local members through digital media : 디지털매체로 지역구성원과 소통하는 해외사례 중심으로 고경호, 김병주 p.25-33

시각디자인 석사학위과정에서 작품논문을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 = The system of graduate studio for thesis project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이주훈 p.341-355

문화관광형 전통시장의 내적 관광매력 적합성에 관한 옥외간판 연구 = A study on outdoor signboard of suitability of tourist attractivenes[s] in culture tourism oriented traditional marketplace : focused on Busan Kukje Market : 부산 국제시장 옥외간판을 중심으로 정이숙, 홍동식 p.409-424

복합문화공간에 나타난 기호학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x culture space : focusing on the semiotics of Peirce :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김지수, 윤재은 p.107-118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믿음사, 1994. 미소장
2 구민정, 「유형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복합문화공간 계획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7. 미소장
3 김슬기,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웨딩 공간 플라워 디자인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13권, 3호 통권 51호, 2018, 06. 미소장
4 김재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화장품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환경디자인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5 김태형,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6 김현진, 「컨테이너 건축에 나타난 공간 특성과 이용자 만족도」,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미소장
7 A Study of a Public Design Consulting Process Based on Contextual Understanding 소장
8 윤지혜, 「복합문화공간의 시대별 특성과 활성화 방안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9 이진영, 「문화의 공익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운영방향」, 문화와 융합, 한국문화융합학회, 제40권, 1호, 2018, 02. 미소장
10 임재령, 「스티븐홀(Steven Holl)의 건축에 나타난 빛의 유입에 따른 실내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1 장수민, 「뵈메의 감성학을 통한 올라퍼 엘리아슨 공간의 분위기 체험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미소장
12 전지영,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표현의 기호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13 A Study on the Method of Semiotic Approach for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Focusing on the Peirce`s Semiotics- 소장
14 홍근표, 「현대기호학에 의한 건축공간의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6권, 제7호, 2010. 미소장
15 http://817designspace.co.kr/index.html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1/2018092101580.html 미소장
16 https://blog.naver.com/yenayaa/120008046170http://cafecurator.com/portfolio/piknic/http://sa-yoo.co.kr/index.html 미소장
17 http://sueno339.com/space/http://www.allurekorea.com/2018/09/07/http://www.f1963.org/ko/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