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운동증진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융합적 전략 연구 = Convergent gamification strategies to promote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goal achievement 박윤하, 윤재영 p.141-155
팔로모 스페인(Palomo Spain)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젠더 복합성 = Gender multiplicity in Palomo Spain's menswear collection 권하진 p.1-17
비정형 개념에 따른 시각예술 융합교육 모형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arts convergence education model with the formless concept 조현근 p.275-292

경영지향성에 따른 호텔 MICE 적정 인력 측정 융합 모델 연구 = A study on hybrid model for measuring the manpower of hotel MICE, based on management orientation 김영문, 윤혜진, 김철원 p.35-46
메이크업 브랜드와 아트와의 콜라보레이션 상호비교 연구 = A study on comparison of collaboration between makeup brand and art 허윤정, 정숙희 p.321-334
그래픽에 의한 기능 융합 현상에 따른 모바일 터치 사용 제품의 GUI 기호도형과 사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UI symbol figure and usability of mobile touch using product due to functional fusion phenomenon by graphic 김준형 p.75-86
사물의 문화와 행위성 이해를 통한 융합적 관점 획득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way of acquiring a convergence viewpoint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and performativity of artifacts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using actor network theory in design research : 디자인 연구에서의 행위자네트워크이론 활용 가능성 고찰을 중심으로 민수홍 p.129-140
A study on the furniture characteristics of sharing space in the community lifestyle of Fujian Tulou, China= 중국 복건성 토루(福建省土楼) 커뮤니티 라이프스타일에서 나타나는 나눔 공간의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Shao, Xiao Yue, Park, Seongah p.185-195

전문가 검증을 실시한 타입별 융합설계교육 프로그램 예비 평가체계의 구축 = Establishment of preliminary evaluation system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by type, for which expert verification was implemented 김이연 p.61-73

렌즈의 제 2주점에 시간차 시차 분할 융합적 설계를 통한 3D 입체카메라 제안 = Proposal of 3D stereoscopic camera through time difference division fusion design at the nodal point of lens 조두희, 하동환 p.267-274
분석과학기술을 응용한 융합적 문화 분석법 모색 = A development of integrative cultural analysis method using a concept in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최내경, 맹현재 p.293-307
현대 패션과 융합된 가상 인플루언서 사례와 내적 의미 = Cases and internal meaning of virtual influencer integrated with contemporary fashion 김선영 p.19-34
산업과 농업의 융합을 통한 진공동결건조딸기용 보관 및 운송에 적합한 내부트레이 디자인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interior tray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 with vacuum freeze-dried strawberries in industry and agriculture 안경숙, 김창수, 이재환 p.197-204
Acoustic character recognition via electrochemical in-vivo nerve feeling assay = 체내 신경전류 음향 문자인식 Suw Young Ly, Kyung Lee p.231-237
독거노인을 위한 융복합 실내 보온용 텐트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door insulating tent design for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이대현, 김상식 p.219-230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친환경 화장품 소비행동 = Consumer's perception of corporate's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al friendly cosmetics consumption behavior 박현정, 남미우 p.157-172
모바일 쇼핑의 챗봇(음성 기반/메신저 기반)과 앱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융합적 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the chatbot (voice-based/messenger-based) in mobile shopping and user experience in app services 김옥경, 윤재영 p.47-59
융·복합 시대에 부응하는 뮤지엄 문화상품의 효과적인 상품화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merchandising of 'museum cultural products' in the age of convergence 최영신, 고정민 p.309-320
도시 특성에 따른 도시형 모빌리티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mobility according to urban characteristics 백경화, 송슬기, 하은아 p.173-184
3D 형상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국 성인여성의 연령대별 머리 및 얼굴 형태의 융합적 연구 = A convergent study on head and facial dimensions between women of different age groups by using 3D scan data 김지민 p.87-99
범죄예방디자인 기반의 융복합 제품개발 연구 = A study on crime prevention design-based convergent product development : through utilization of fluorescent paste identification technology : 특수형광 페이스트를 이용한 개발 김홍규 p.113-127

지역 가치 증진을 위한 장승포 폐 여객선 터미널의 활용 방안 및 브랜드 제안에 관한 융합 연구 = Convergent studies of utilization plan and brand suggestion for abandoned passenger ferry terminal in Jangseungpo to improve local community value 이하나, 오광명, 백진경 p.239-250

도자공예 전시의 통섭연출 기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ilience displays of ceramics craft exhibition : focusing on ceramics exhibition : 도자전시를 중심으로 이홍원 p.251-265
BIM 설계 기술을 융합한 1인 주거공간디자인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in the one-person housing space by combining BIM design technology 김지은, 박은수 p.101-112
융복합시대의 관광지 문화마케팅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ultural marketing factors of tourism destination in the era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br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differences by segmented groups : 세분집단별 브랜드태도 및 자산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윤영혜, 김미성, 강화, 윤유식 p.205-217

참고문헌 (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Lee. Yoon-Hyoung, “Analysis of Visual Fatigue and Depth Perception in Stereoscopic Image”Soongsil Univ. 2011. 미소장
2 Yoo. Sung Geun, “An Innovative Implementation of Single Lens Stereoscopic Camera System: Analysis of Performance and it's Application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 2015. 미소장
3 Visual fatigue caused by viewing stereoscopic motion images: Background, theories, and observations 네이버 미소장
4 Ren Ng, “Light Field Photography with a Hand-held Plenoptic Camera,” Stanford Tech Report CTSR 2005-02. 미소장
5 Cho. DoHee, Vivek Maik, Har. DongHwan, Paik. JoonKi , “The Development of the Single Lens to Estimate the Distance to the Object in the Digital Photography”, AURA No.15, 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