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개인화 시대의 '개인주의'에 대한 개념적 탐색 = The conceptual exploration of 'individualism' and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 김수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언론정보학회, 2019.04.30
수록지명
한국언론정보학보 =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통권94호 (2019. 4), p.7-33
자료실
[서울관] 해당자료 없음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111964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한국어, 영어 요약 있음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개인화’라는 사회구조적 변동의 현실에서 개인주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현대사회의 가치와 도덕적 원리로서 개인주의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목적 아래, 서구 개인주의에 대한 개념적 탐구를 시도한다. 먼저 개인주의 개념의 모호성을 짚어내며 그 근원이 되는 개인주의 개념의 복잡성과 다차원성을 서구의 개인주의 사상사를 통해 조명했다. 둘째, ‘개인주의’의 핵심 가치인 평등과 자유를 구체화하는 가치들로서 존엄성, 자율성, 사생활, 자기발전의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셋째, 개인주의가 무엇이고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살피기 위해 개인주의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을 검토하였다. 넷째, ‘칸트 대 괴테/니체’로 변별되는 게오르크 짐멜의 ‘개인주의 두 형식’을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사회문화 연구에서 개인주의와 관련하여 탐구되어야 할 주제와 쟁점을 논의하며 본 연구의 함의를 구체화했다.

참고문헌 (4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가통계포털 (2018). 전국 1인가구ᐨ일반가구 비율. URL: http://kosis.kr/search/search.do?query=1%EC%9D%B8%EA%B0%80%EA%B5%AC 미소장
2 김덕영 (2014). ‘해제: 개인의 독립과 주권을 위한 철학적 성찰’. 게오르그 짐멜 (2014). <개인법칙>(163-191쪽). 서울: 길. 미소장
3 김수정 (2015). 담론에서 통치성까지: 푸코에서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의 만남과 생성. 박홍원·김수미(편),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 (65-108쪽) 서울: 새물결. 미소장
4 데일리 팝 (2017, 4, 27). 수치로 보는 뉴스] OECD 국가들 중 급증하는 ‘한국의 1인가구. URL:http://www.dailypop.kr 미소장
5 문유석 (2015). <개인주의자 선언>. 서울: 문학동네. 미소장
6 박노자 (2003). <나를 배반한 역사>. 서울: 인물과 사상사. 미소장
7 엄기호 (2014). <단속사회: 쉴 새 없이 접속하고 끊임없이 차단한다>. 서울: 창비 미소장
8 이하준 (2014). 울리히 벡의 개인 개념과 한국사회. <사회와 철학>, 28호, 67-104. 미소장
9 이희은 (2019).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개인’의 의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정보학보>, 93호. 40-68. 미소장
10 장경섭 (2009). 『<가족·생애·정치경제: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서울: 창비. 미소장
11 장경섭 (2017). 가족주의, 개인화, 압축근대성. 이정덕 외 (편), <한국의 압축근대 생활세계> (76-88쪽). 서울: 지식과 교양. 미소장
12 장경섭 (2018). 가족자유주의와 한국사회. <사회와이론>, 32호, 189-218. 미소장
13 홍찬숙 (2015). <개인화: 해방과 위험의 양면성>. 서울:서울대학교 출판. 미소장
14 홍찬숙 (2016). <울리히 벡>.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5 홍찬숙 (2017a). 동북아 가족주의 맥락에서 본 한국 여성 개인화의 세 시나리오. <경제와 사회>, 113호, 147-172. 미소장
16 홍찬숙 (2017b). 동북아 가족주의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노동시장 가족주의 대 가족행태의 (제한적) 개인화. <동북아역사논총>, 58호, 372-415. 미소장
17 Beck, U. (1992). Risikogesellschaft. 홍성태 (역) (1997).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서울: 새물결. 미소장
18 Beck, U. (2002).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London, UK: Sage. 미소장
19 Bellah, R., Madsen, R., Sullivan, W., Swidler, A., & Tipton, S. (1985). Habits of the heart. 김명숙·김정숙·이재협 (역) (2001). <미국인의 사고와 관습: 개인주의와 책임감>. 서울: 나남. 미소장
20 Chang, K-S. (2014).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Compressed modernity and obfuscated family crisis in East Asia. In E. Ochiai & H. L. Aoi (Eds.), Transformation of the intimate and the public in Asian modernity (pp. 37-62). Leiden, NL: Brill. 미소장
21 Tocqueville, A. de (1985). De la democratie en Amerique. 임효선·박지동 (역) (1997)<미국의민주주의 1, 2>. 서울: 한길사. 미소장
22 Dülmen, R. van (1997). Die Entdeckung des Individuums 1500-1800. 최윤영 (역) (2005). <개인의 발견: 어떻게 개인을 찾아가는가 1500-1800>. 서울: 현실문화연구. 미소장
23 Foucault, M. (1990). History of sexuality. 이규현 (역) (2004). <성의 역사 I: 지식의 의지>. 서울: 나남. 미소장
24 Foucault, M. (2004).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Cours au College de France 1978∼1979. 미소장
25 오트르망(심세광·전혜리·조성은) (역) (2012).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콜레주드프랑스 강의1978∼1779년>. 서울: 난장. 미소장
26 Giddens, A. (1991).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권기돈 (역) (2001).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서울:새물결. 미소장
27 Giddens, A. (1992). The transformation of intimacy: Sexuality, love, and eroticism in modern societies. 배은경, 황정미 (역) (2001).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서울: 새물결. 미소장
28 Habermas. J. (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한승완 (역) (2001).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서울: 나남. 미소장
29 Hayek, F A. von. (1948). Individualism and economic order. 박상수 (역) (1998). <개인주의와경제질서>. 서울: 자유기업센터. 미소장
30 Kant, I. (1785). Groundwork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박종현 (역) (2014). <윤리 형이상학정초> (개정판). 서울: 아카넷. 미소장
31 Laurent, A. (1993). Historie de l’individualisme. 김용민 (역) (2001). <개인주의의 역사>. 서울: 한길사. 미소장
32 Lukes, S. (1973). Individualism. Oxford: Basil Blackwell. 미소장
33 MacPherson, C. B. (1962). The political theory of possessive individualism, Hobbes to Locke. 이유동(역) (1991).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홉스에서 로크까지>. 서울: 인간사랑. 미소장
34 Mill, J. S. (1859). On liberty. 김현욱 (역) (2008). < 유토피아 / 자유론 / 통치론>. 서울:동서문화출판사. 미소장
35 Renaut, A. (1995). L’individu: Réflexions sur la philosophie du sujet. 장정아 (역) (2002). <개인:주체철학에 관한 고찰>. 서울: 동문선. 미소장
36 Sandel, M. (2005). Public philosophy: Essays on morality in politics. 안진화·김선욱 (역) (2016). <정치와 도덕을 말하다> (개정판). 서울: 와이즈베리. 미소장
37 Sandel, M. (2009).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김명철 (역) (2014). <정의란 무엇인가>. 서울: 와이즈베리. 미소장
38 Siedentop, L. (2014). Inventing the individualism: The origins of western liberalism. 정명진 (역) (2016). <개인의 탄생: 양심과 자유, 책임은 어떻게 발명되었는가?>. 서울: 부글. 미소장
39 Simmel, G. (1901). Beiden Formen des Individualismus. 김덕영 (편역) (2007). <근대 세계관의 역사>(115-128쪽). 서울: 길. 미소장
40 Simmel, G. (1918). Viertes kapitel: Das individuelle. 김덕영 (역) (2014). <개인법칙> (게오르그 짐멜선집). 서울: 길. 미소장
41 Watt, I. (1996). Myths of modern Individualism. 이시연·강유나 (역) (2004).<근대 개인주의 신화>. 서울: 문학동네. 미소장
42 Williams, R. (1976).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김성기‧김유리 (역) (2010). <키워드>. 서울: 민음사.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