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 An association between latent profil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Korean society and own future prospect among young adults / 진미정, 한준, 노신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가족학회, 2019.03.31
수록지명
가족과 문화 = Family and culture. 제31집 1호 (2019. 봄), p.166-188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112095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한국어, 영어 요약 있음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과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결혼・출산 가치관은 동거, 혼전 성관계, 결혼, 출산, 혼외출산, 이혼의 규범성에 대한 가치관을 의미하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과 개인적 미래 전망은 한국사회의 공정성, 민주화, 가족 내 민주성, 자신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개인적 전망, 자녀교육투자를 통한 계층 재생산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의미한다. 2016년에 8월 온라인 조사를 통해 20대부터 50대까지 전국 남녀 1,223명을 조사하였고, 이 중 20-39세 남녀 6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결혼・출산 가치관을 유형화하고, 사회적 인식과 미래 전망에 따라 귀속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출산 가치관은 ‘관계지향형(38.09%)’, ‘전통적 관계형(30.15%)’, ‘대안적 관계형(27.07%)’ ‘관계기피형(4.70%)’으로 유형화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미래 전망이 결혼・출산 가치관 유형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의 공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대안적 관계형’이나 ‘관계기피형’보다는 ‘전통적 관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한국사회의 민주화 수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할수록 ‘대안적 관계형’보다는 ‘전통적 관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친밀한 관계와 가족에 대한 청년세대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나 사회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가정위탁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among foster childre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to foster parents and peers : 위탁부모 및 또래 애착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선미정, 전종설 p.85-10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홀로 된 고령 여성의 친밀한 관계의 재구축과 가족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building of intimate relationships and family conflict experiences of single elderly women 박순란, 이진숙 p.1-27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 An association between latent profil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Korean society and own future prospect among young adults 진미정, 한준, 노신애 p.166-18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결혼이주 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교육의 관계 =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educational attainment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은기수 p.109-13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모성 이데올로기, 돌봄서비스 이용,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 = Motherhood ideology, use of child care, and mother's happiness : focusing on the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with toddlers : 영유아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정선영 p.140-16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개신교 미혼 청년의 연애와 성 = Dating and sex among Korean protestant unmarried youth with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이가연, 주수산나, 김종우 p.56-8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의 가족생활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family life experience of the wives of alcoholics 최미란, 조희선 p.28-5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영미. 2016.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47(2): 27-52. 미소장
2 김혜경, 2013. “부계 가족주의의 실패?: IMF 경제위기 세대의 가족주의와 개인화” 한국사회학 47(2): 101-141. 미소장
3 김혜영. 2014. “유동하는 한국 가족 :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미소장
4 남찬섭. 2012. “공공성과 인정의 정치, 그리고 돌봄의 윤리.” 한국사회 13(1): 87~122. 미소장
5 손승영, 김은정. 2010.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을 통해 살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성별, 세대별 하위집단 간 가족 가치관 차이를 중심으로.” 현상과 인식 34(3): 169-200. 미소장
6 신광영. 2009. “세대, 계급과 불평등.” 경제와 사회 81: 35-60. 미소장
7 신광영. 2016. “생애주기별 기회불평등 연구.” 동그라미재단 연구리포트 4호. 미소장
8 안홍순. 2016. “청년세대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사회복지정책 43(3): 59-83. 미소장
9 옥양련. 1993. “한국대학생의 가족가치관: 부산대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12(1): 51-104. 미소장
10 유계숙, 강민지, 윤지은. 2018.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가족과 문화 30(3): 42-69. 미소장
11 청소년의 가족 및 사회적 가치관에 대한 연구 소장
12 이병훈. 2017.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24(2): 157-179. 미소장
13 이삼식. 2006. “가치과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형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3(2): 95-140. 미소장
14 이상균. 2015.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행위 잠재계층유형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 26(2): 251-271. 미소장
15 이순미. 2014. “가족중심주의와 개인화 사이의 한국 가족: 가족주의 및 성별에 따른 세대관계잠재구조의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3): 1-36. 미소장
16 이연숙, 김하늬, 이정우. 2016.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유형에 따른 자녀출산에 대한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109-140. 미소장
17 Study of College Students' Familism and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소장
18 이희정. 2018.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 52(3) 119-164. 미소장
19 장경섭. 2018. 내일의 종언? 가족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위기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33집.집문당. 미소장
20 장경섭, 진미정, 성미애, 이재림. 2015.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가족과문화 27(3): 1-38. 미소장
21 정민우, 이나영. 2011. “‘가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 성별화된 독립과 규범적 시공간성.” 경제와 사회 89: 105-145. 미소장
22 조대엽. 2012.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 13(1): 3-62. 미소장
23 진미정, 정혜은. 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한국인구학 33(3): 31-51. 미소장
24 진미정. 2015. “한국 가족정책의 특수성과 과제: 미시공공성과 공동체성.” 최연실 외.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도서출판 하우. 미소장
25 진미정. 2017. “저출산의 패러독스: 가족 관점의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자료집, 25-38. 미소장
26 A Study of Familism and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of College Students 소장
27 Filial piety and familism of the undergraduates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소장
28 통계청. 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미소장
29 한상길. 1996. “대학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연구.” 한국교육 23(1): 107-139. 미소장
30 한준. 2015. “시민사회의 성숙과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 16(2): 223-254. 미소장
31 한준. 2017. “한국사회와 저출산의 덫.” 한국가정관리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22. 미소장
32 호정화. 2014. “비혼과 1인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한국인구학 37(4), 25-59. 미소장
33 Manning, Wendy D., Brown, Susan L., Payne, Krista K. 2015. “Two Decades of Stability and Change in Age at First Union Form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6(2): 247-260.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