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차 산업혁명 기반산업의 R&D 현황 국제비교  |
미소장 |
2 |
OECD, Frascati Manual 1993 :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 Proposed Standard Practice for Surveys of Research and Experimental Development,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94. |
미소장 |
3 |
C. Freeman and L. Soete,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 The MIT Press, 1997. |
미소장 |
4 |
고민수, 이덕주, “DEA를 이용한 OECD 국가별 연구개발 효율성 비교 분석,”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703-706, 2001. |
미소장 |
5 |
박수동, 홍순기,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OECD 국가별 R&D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2호, pp.151-174, 2003. |
미소장 |
6 |
강상인, OECD 국가별 R&D의 생산성과 효율성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7 |
민윤지, 강수철, “한국과 OECD 국가의 에너지기술R&D 투자규모 비교,”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4호, pp.363-384, 2014. |
미소장 |
8 |
송기식, 이성주, “국가차원 글로벌 기술협력 현황분석체계 개발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30-44, 2014. |
미소장 |
9 |
정성철,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
미소장 |
10 |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공동연구 현황-SCI 논문 공저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
미소장 |
11 |
백상주, 에너지기술 국제공동연구의 방향성과 성과제고에 관한 연구–에너지국제공동연구 기반조성을 위한, 아주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12 |
유화선, 김윤명, 양치승, 「국내 우수 연구자의 글로벌 공동연구 활동도 분석 연구 –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한국과학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제2017권, 제11호, pp.1225-1246, 2017. |
미소장 |
13 |
김미진, 「생명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유형별 연구 생산성과 인용 성과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52권, 제3호, pp.149-169, 2018. |
미소장 |
14 |
A. Islam and K. Tsuji, “Information Professionals’ Knowledge Sharing Practices in Social Media: A Study of Professionals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Technology, Vol.6, No.2, pp.43-66, 201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