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가짜뉴스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emptive measure for fake news eradication using data mining algorithms : focused on the M online community postings : M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물을 중심으로 임문영, 박승범 p.219-234
SW산업 일자리 창출효과 모델분석 = Analysis of employment creation effect model for SW industry 임규건, 이지윤 p.63-78
AFA(All-Flash Array) 탑재 서버의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energy efficiency in servers adopting AFA(all-flash array) 김영만, 한재일 p.79-90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도시 브랜드 평가방법론 연구 = A study on city brand evaluation method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news media : 뉴스미디어를 중심으로 윤승식, 신민철, 강주영 p.153-171
LoRa 통신기반 산업재해감지시스템 구현 = Implementation of the industrial hazard detection system using LoRa network 서정훈, 김낙훈, 홍성용 p.141-151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블록체인 이슈 분석 = A text mining approach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lockchain issues :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한국과 미국 손새아, 전병진, 김희웅 p.45-61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가치평가를 위한 가치동인 분석 연구 = A study on value drivers for database valuation 강주현, 변정은 p.113-130
기상환경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미세먼지농도 예측 모델 = An estimation model of fine dust concentration using meteorological environment data and machine learning 임준묵 p.173-186
온라인-오프라인의 연결 그리고 인공지능 = Online-offline connec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car navigation app : 자동차 모바일 네비게이션 앱 활용 맥락 김태경 p.201-217

트루뷰 동영상 광고의 스킵버튼 종류에 따른 광고 효과 = Influence of trueview ad skip buttons on advertising effect 김주석, 정동훈 p.1-12
부동산 크라우드펀딩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f real estate crowdfunding 김혜숙, 김용희, 정경원, 최정일 p.13-26
부도예측 모형에서 뉴스 분류를 통한 효과적인 감성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ive sentiment analysis through news classification in bankruptcy prediction model 김찬송, 신민수 p.187-200
스마트워치 시장의 캐즘(Chasm)에 관한 연구 = Exploring the chasm in smart watch market : Q-method study of non-adopters : Q방법을 활용한 혁신수용 사례 분석 윤성원, 이정우, 김수형, 유초롱 p.27-44

기술, 조직, 환경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품질 향상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 The key factors of big data utilization for improvement of management quality of companies in terms of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신수행, 이상준 p.91-112
위치기반 트윗 데이터를 이용한 도심권 추정과 인구의 공간분포 분석 = Discovery of urban area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ity population using geo-located tweet data 김태규, 이진규, 조재희 p.131-140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reativity and Memory Effects: Recall, Recognition, and an Exploration of Nontraditional Media 네이버 미소장
2 Bae, J.A. and H.J. Lee, “Attention on the pop-up ads in TV show : Focused on techniques and elements of ad ex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7, 2013, 195-216. (배진아, 이혜정, “TV 프로그램 내 팝업 광고에 대한주목 : 광고의 표현 기법 및 표현 요소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7호, 2013, 195-216.) 미소장
3 Different Forced-Exposure Levels to Banner Advertisements 네이버 미소장
4 Chung, D., “Eye tracking to select optimal advertising spots in subway car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17, No.4, 2013, 145-171. (정동훈, “최적 광고위치 선정을 위한 지하철 차량내 시선 주목도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4호, 2015, 145-171.) 미소장
5 Forced Exposur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Pop-up Ads 네이버 미소장
6 Grether, D.M., A. Schwartz, and L.L. Wilde, “The Irrelevance of Information Overload : An Analysis of Search and Disclosure”, The. S. Cal. L Rev, Vol.59, 1985, 277-303. 미소장
7 Ha, L., “Advertising Clutter in Consumer Magazine : Dimensions and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4, 1996, 76-84. 미소장
8 Kim, C.M., “Interaction Between Pictures and Verbal Copy in Print Advertisement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7, No.3, 2006, 351-376. (김철민, “인쇄광고에서 그림과 언어 카피의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제7권, 제3호, 2006, 351-376.) 미소장
9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ediated message processing 네이버 미소장
10 Lee, Y.H. and K.J. Kim, “The Effects of Usage Motivation of Low Involvement Product on Brand Loyalty”,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y, Vol.27, No.4, 2009, 105-120. (이용학, 김경진, “저관여 상품의 사용 동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27권, 제4호, 2009, 105-120.) 미소장
11 Lutz, R.J., S.B. Mackenzie and G.E. Belch,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0, 1983, 532-539. 미소장
12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네이버 미소장
13 The Information Overload Controversy: An Alternative Viewpoint 네이버 미소장
14 Advertising Attitude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네이버 미소장
15 Banner Advertiser-Web Site Context Congruity and Color Effects on Attention and Attitudes 네이버 미소장
16 Information Overload in a Groupware Environment: Now You See It, Now You Don't 네이버 미소장
17 Seo, S., “‘Don’t click SKIP’… Mobile advert 5second war”, Herald Economy, 2015. 09. 04, http://jj.heraldcorp.com/view.php?ud=20150904000388. (서상범, “‘SKIP 누르지마’…모바일광고 5초 전쟁”, 헤럴드경제, 2015. 09. 04, http://jj.heraldcorp. com/view.php?ud=20150904000388). 미소장
18 Simons, D.J. and C.F. Chabris, “Gorillas in Our Midst : Sustained Inattentional Blindness for Dynamic Events”, Perception-London, Vol.28, No.9, 1999, 1059-1074. 미소장
19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네이버 미소장
20 The incongruency in ads and the memorability of ads : the moderating role of the SOP(Style of Processing) 소장
21 The effect of ad value, ad placement and ad execution on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web advertisements 네이버 미소장
22 Yu, S.Y. and J.H. Kim, “The Study on the ad avoidance factors affecting in Smartphones application display : focus on advertising attitudes, perceived intrusion, medium dosage and media use motiv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2, 2013, 125-143. (유승엽, 김진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광고태도, 지각된 침입성, 매체 노출량 및매체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2호, 2013, 125-143.) 미소장
2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involvement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