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가토 히사타케(2009). 헤겔사전. 서울: 도서출판b. |
미소장 |
2 |
강신보, 박정현(2006). 노울즈의 성인교육론에 대한 종합적 고찰: 교육사상과 실천적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11(26), 1-28. |
미소장 |
3 |
고문수(2013). 태권도 교육과정의 구조 개발. 「한국체육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6, 181-203. |
미소장 |
4 |
김수정(2017). 안드라고지(Andragogy)관점에서 본태권도지도자의 교육철학.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7, 67-79. |
미소장 |
5 |
김수정, 최성배, 윤여탁(2012). 자본주의와 글로벌화 속에서 전통문화 태권도의 변용. 한국체육철학회지. 20(4), 71-85. |
미소장 |
6 |
대한태권도협회(2018). www.koreataekwondo.co.kr |
미소장 |
7 |
류은주(2003). 모발학사전. 서울: 광문각. |
미소장 |
8 |
박도헌, 김수교, 유한나, 신진화(2017). 초등학생태권도 수련의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2), 307-322. |
미소장 |
9 |
박 진(2000). 칸트의 초월논리학에서 헤겔의 사변논리학으로 - 칸트 초기 저작에 나타난 변증법적 사유의 단초를 중심으로. 칸트연구. 6, 17-57. |
미소장 |
10 |
세계태권도연맹(2018). www. worldtaekwondo.org. |
미소장 |
11 |
손상희(2007). 학습 장애아동의 낙관성향이 학습의욕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지. 4(3), 109-135. |
미소장 |
12 |
신은미, 손복영(2011).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교원교육연구소지. 28(4), 465-492. |
미소장 |
13 |
이광호, 최성배, 최성진(2012). 태권도 지도자의 아동 교육에 대한 현실인식. 한국체육철학회지. 20(4), 245-260. |
미소장 |
14 |
이슬기, 조성환(2017). 싱글족 소비심리를 반영한디자인 마케팅 성공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41-142. |
미소장 |
15 |
이영선(2014).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참여방법에따른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네트워크 분석: 사이버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2(1), 279-305. |
미소장 |
16 |
최성배, 김수정(2018). 미시세계 상보성 원리와 혜강 기학(氣學)의 기(氣) 흐름 속 태권도 수련의 궁극적 합리성.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9(2), 1-21. |
미소장 |
17 |
최성배(2015) (The) fundamental relation between both human movement and human consciousness from physical education’viewpoint.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최인숙(2005). 칸트. 서울: 살림. |
미소장 |
19 |
Cannella, G. S. (1987).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
미소장 |
20 |
Capra, F. (2010). The Tao of physics: An exploration of the parallels between modern physics and eastern mysticism. Shambhala Publications. |
미소장 |
21 |
Guglielmino. L.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
미소장 |
22 |
Hartup, W. W., & Moore, S. G. (1990). Early peer relations: Developmental significance and prognostic implica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1), 1-17. |
미소장 |
23 |
Heider, F. (2013).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Psychology Press. |
미소장 |
24 |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ners and teachers. NY:Association Press. |
미소장 |
25 |
Knowles, M., Holton, III, E., & Swanson, R. (1998). The adult learner (5th ed.). Houston: Gulf. |
미소장 |
26 |
Mackeracher, D. (2004). Making Sense of Adult Learning(2n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Buffalo London. p. 27. |
미소장 |
27 |
Rubin, K. H., Bukowski, W. M., Parker, J. G., & Bowker, J. C. (2008).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An advanced course, 141-180. |
미소장 |
28 |
Tough, A. (1978). Major learning effects: Rec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Adult Education, 28(4). 258-263. |
미소장 |
29 |
Development of a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