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양성교육과 역할에 관한 고찰 및 재활상담의 과제 = The study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and rol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toward tasks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in South Korea / 최국환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II. 연구방법 3
1. 학술자료의 선정 3
2. 주요 문헌고찰 과정 4
III.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추진 과정 및 현황 4
1.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추진 과정 4
2. 국가자격제도 운영 현황에 대한 고찰 5
IV. 장애인재활상담사 양성교육과 업무역할에 관한 고찰 6
1. 우리나라 장애인재활상담사 양성교육 운영 현황 6
2. 미국 재활상담사(CRC) 양성교육 및 운영 현황 8
3.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업무역할에 대한 고찰 10
V.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업무역할 정립을 위한 과제 14
1. 장애인재활상담사 양성교육에 관한 과제 14
2.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업무역할 다변화를 위한 과제 16
3. 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의 위상강화를 위한 과제 16
VI. 결론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위영·나운환·박경순·류정진·정명현·김동주·정승원·강윤주 (2009). 직업재활개론. 나눔의 집. | 미소장 |
2 | 김성진 (2010). 직업재활 전문성과 직무특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직업재활연구, 20(2), 1-19. | 미소장 |
3 | 김성진·김웅수 (2008). 수형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18(1), 57-80. | 미소장 |
4 | 강윤주·원성옥 (2005). 직업재활 전공학생의 실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15(2), 5-23. | 미소장 |
5 | 강윤주·이근용·정승원 (2005).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수화통역사의 역할과 역할의 우선 순위. 직업재활연구, 15(1), 183-204. | 미소장 |
6 | 직업재활 전문요원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 소장 |
7 | 나운환·박경순·박세진·최영광·오소윤·서지혜 (2016).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보건복지부·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소장 |
8 | 나운환 (2017a). 장애인재활상담사 직무분석결과 및 국가시험출제기준관련 공청회. 제6회 직업재활사대회. 한국직업재활사협회. | 미소장 |
9 | 나운환 (2017b). 재활상담사의 직무영역과 사회적 기업. 한국직업재활학회 연차학술대회자료집(pp. 3-9). 한국직업재활학회. | 미소장 |
10 | 박경순 (2009). 직업재활영역의 전문가단체 설립준비와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장애인복지, 13(2). 137-158. | 미소장 |
11 | 직업재활상담사의 역할 및 양성과정에 관한 일 고찰 | 소장 |
12 | 박희찬 (2003). 우리나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고찰. 직업재활연구, 13(2), 129-155. | 미소장 |
13 | 박희찬 (2005). 직업재활 전문 인력 정책 현황과 방향. 직업재활연구, 15(1), 25-43. | 미소장 |
14 | 직업재활사업 수행기관의 역할 및 기능에 관한 인식 조사 | 소장 |
15 | 변경희 (2010). 직업재활사 역할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제1회 직업재활사대회 및 직업재활관련단체 공동 학술대회 자료집(pp. 1-13). 한국직업재활사협회. | 미소장 |
16 | 신현욱·김성진 (2013). 직업재활전문가의 전문지식 분석 연구. 직업재활연구, 23(1), 5-26. | 미소장 |
17 | 이상진 (2012). 정신보건분야에서 직업재활사의 역할과 직업재활의 방향. 한국직업재활학회연차학술대회자료집(pp. 73-100). 한국직업재활학회. | 미소장 |
18 | 이수용·나운환·박경순 (2013). 직업재활실습이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 직업재활연구, 23(1), 27-46. | 미소장 |
19 | 이승욱·김장기·한정재·김봉선 (2008). DACUM기법을 이용한 산재장애인 재활상담사 직무분석 연구. 직업재활연구, 18(2), 137-158. | 미소장 |
20 | 이요행·최국환 (2010). 장애인 구인․구직 및 취업현황 분석과 직업재활의 과제. 직업재활연구, 20(1),257-276. | 미소장 |
21 | 이혜경 (2015). 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의 직무영역. 제4회 직업재활사대회자료집(pp. 7-23). 한국직업재활사협회. | 미소장 |
22 | 정승원 (2015). 직업능력평가사의 역할과 자격제도를 위한 과제. 직업재활연구, 25(2), 5-39. | 미소장 |
23 | 조성열 (2000). 직업재활인력의 전문화 방안. 장애와 고용, 10(3), 38-66. | 미소장 |
24 | 조성열·두경만 (2006).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 연구논문 경향분석. 직업재활연구, 16(1), 241-264. | 미소장 |
25 | 조성열·박종균 (2010). 한국직업재활학회와 한국직업재활사협회의 역할 정립 방안. 직업재활연구, 20(2), 97-119. | 미소장 |
26 | 조성열 (2018). 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 따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역할과 나가야 할 방향. 한국직업재활학회연차학술대회자료집(pp. 53-81). 한국직업재활학회. | 미소장 |
27 | 조성재 (2013). 직업재활사 역할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제2회 직업재활사대회 및 직업재활사(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도입을 위한 공청회. 한국직업재활사협회. | 미소장 |
28 | 최국환 (2012). 재활상담 교수요목 개발 및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19(3), 47-567. | 미소장 |
29 | 최국환 (2013). 직업재활사의 역할 및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pp. 1-11). 한국직업재활학회. | 미소장 |
30 | 최국환 (2014). 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시행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실천적 과제. 직업재활연구,24(3), 105-127. | 미소장 |
31 | 최국환 (2015).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토론. 2015 직업재활 국제학술대회 자료집(pp. 71-75).한국직업재활학회·한국직업재활사협회. | 미소장 |
32 | 한국고용정보원 (2015). 한국직업전망. | 미소장 |
33 | 한국고용정보원 (2016). 직종별직업사전. | 미소장 |
34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8). 2018 장애인통계. 고용개발원 | 미소장 |
35 | 한국직업재활학회 (2018). 회원교 필수교과목과 선택교과목 설문조사지. 학회 내부 자료집. | 미소장 |
36 | Alsaman, M. A. (2014). Effectiveness of training for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ing graduates. Rehabilitation Research, Policym and Education, 28(2), 66-79. | 미소장 |
37 | Bhattacharya, J., Choudhry, K., & Lakdawalla, D. (2006). Chronic disease and trends on severe disability in working-age populations. In M. J. Field, A. M. Jette, & L. Martin (Eds.). Workshop on disability in America: A new look summary and background papers (pp. 113-142).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미소장 |
38 | Rehabilitation Psychology: Realizing the True Potential ![]() |
미소장 |
39 | Qualitative Research in Rehabilitation Counseling ![]() |
미소장 |
40 | Best Practice Models of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in the Public Rehabilitation Program: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 |
미소장 |
41 | Rehabilitation Counselor Education and the New Code of Ethics ![]() |
미소장 |
42 | Job Functions and Knowledge Requirements of Certified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the 21st Century ![]() |
미소장 |
43 | Essential Knowledge Domains Underlying Effective Rehabilitation Counseling Practice ![]() |
미소장 |
44 | Empirically Derived Test Specifications for the Certified Rehabilitation Counselor Examination ![]() |
미소장 |
45 | Roles and Relationships with Clients in Rehabilitation Counseling: Beyond the Concept of Dual Relationships ![]() |
미소장 |
46 | Professional Disclosure Practice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 |
미소장 |
47 | Strauser, D. R. (2015). Role and func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Book(pp. 27-68). | 미소장 |
48 | A New Ethics Code as a Tool for Innovations in Ethical Practice ![]() |
미소장 |
49 | CACREP(미국상담교육인증위원회, 2018). Standard for Rehabilitation Counseling Education Programs, http:/ /www.cacrep.org/wp-content. | 미소장 |
50 | CRCC(미국재활상담사자격인증위원회, 2017). Certification renewal. https:/ /www.crccertification.com. | 미소장 |
51 | Wikipedia. Forensic rehabilitation. https:/ /en.wikipedia.org/wiki/Rehabilitation counseling.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