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2018년 국내 스마트폰을 보유한 성인 비율이 94% 이상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메신저의 사용률 증가와 함께 이모티콘 수요에 따른 이모티콘의 양은 증가하고 있지만 50대 이상의 시니어들이 원하는 이모티콘의 수는 제한적이고 10~40대의 젊은 세대에만 편향되어 있을 뿐 시니어들의 니즈(needs)는 통계자료에서 배제된 채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을 기점으로 한국은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14%를 초과하면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였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베이비붐 세대의 ‘액티브 시니어’가 은퇴하면서 넉넉한 자본과 소비력을 갖춘 고령층이 핵심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이 선호하는 이모티콘 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 1위(95%)인 카카오톡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능숙한 ‘액티브 시니어’ 50~60대를 남녀를 대상으로 이모티콘의 사용 행태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1차 심층면접를 통한 정성조사와 2차 대한민국 50~60대 남녀 1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형태의 정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액티브 시니어들은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할 때 젊은층만큼 높은 이모티콘 사용률을 보였으며, 시니어들을 위한 이모티콘 디자인 개발에 대한 강한 니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세대 간에 선호하는 이모티콘의 유형과 특징에 차이를 보였지만 전 연령층이 선호하는 유니버설(universal)한 이모티콘 디자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령층은 과거의 디지털 기기 사용에 뒤처지고 보수적인 세대가 아닌 세분화된 특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시니어 집단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패턴과 기호에 적합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s of 2018, 94% of all adults in Korea own smartphones, being the highest ratio in the world, and the most commonly used social media platform is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Together with increased use of mobile messengers, the quantity of emoticon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demands for emoticons, but the number of emoticons desired by users over the age of 50 is limited. Emoticons are geared towards the younger generation from teenagers to those in their forties, and the needs of the older population at 50 years or older are not even included in statistic data. As of 2018, Korea’s aged population of over 65 years has exceeded 14% of the entire population and it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Due to the continuing low birth rate and ‘active seniors’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starting to retire, it is now necessary to conduct design research to meet different generations by focusing on the older population with more capital and consumer power.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비피기술거래, 『누구나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다』, 비피기술거래, 2017. | 미소장 |
2 | 양혜인, 이수진, 김수정,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회 18권 3호, 2017. | 미소장 |
3 |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ose in Their Twenties and Elderly Citizens in Using Instant Messenger Emoticons - Centering on Kakao Talk Emoticons - | 소장 |
4 | 임윤아, 권지은,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모바일 SNS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17권 5호, 2016. | 미소장 |
5 | 이영미, 「SNS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비주얼 크레이티비티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