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8년 국내 스마트폰을 보유한 성인 비율이 94% 이상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메신저의 사용률 증가와 함께 이모티콘 수요에 따른 이모티콘의 양은 증가하고 있지만 50대 이상의 시니어들이 원하는 이모티콘의 수는 제한적이고 10~40대의 젊은 세대에만 편향되어 있을 뿐 시니어들의 니즈(needs)는 통계자료에서 배제된 채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을 기점으로 한국은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14%를 초과하면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였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베이비붐 세대의 ‘액티브 시니어’가 은퇴하면서 넉넉한 자본과 소비력을 갖춘 고령층이 핵심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이 선호하는 이모티콘 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 1위(95%)인 카카오톡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능숙한 ‘액티브 시니어’ 50~60대를 남녀를 대상으로 이모티콘의 사용 행태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1차 심층면접를 통한 정성조사와 2차 대한민국 50~60대 남녀 1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형태의 정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액티브 시니어들은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할 때 젊은층만큼 높은 이모티콘 사용률을 보였으며, 시니어들을 위한 이모티콘 디자인 개발에 대한 강한 니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세대 간에 선호하는 이모티콘의 유형과 특징에 차이를 보였지만 전 연령층이 선호하는 유니버설(universal)한 이모티콘 디자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령층은 과거의 디지털 기기 사용에 뒤처지고 보수적인 세대가 아닌 세분화된 특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시니어 집단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패턴과 기호에 적합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s of 2018, 94% of all adults in Korea own smartphones, being the highest ratio in the world, and the most commonly used social media platform is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Together with increased use of mobile messengers, the quantity of emoticon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demands for emoticons, but the number of emoticons desired by users over the age of 50 is limited. Emoticons are geared towards the younger generation from teenagers to those in their forties, and the needs of the older population at 50 years or older are not even included in statistic data. As of 2018, Korea’s aged population of over 65 years has exceeded 14% of the entire population and it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Due to the continuing low birth rate and ‘active seniors’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starting to retire, it is now necessary to conduct design research to meet different generations by focusing on the older population with more capital and consumer power.

This study analyzed the use mode and preference of emoticons for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are ‘active seniors’ that are familiar with using digital devices and use Kakao Talk mobile messenger,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 designs preferred by the aged society. Qualitative survey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and then quant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online surveys for 162 Korean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when using mobile messengers, active seniors had similar rates of using emoticons to that of their younger counterparts, and so there were strong needs for developing emoticon designs for seniors. Whil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features of emoticons preferred by different generat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universal emoticon design preferred by all age groups. The older population should not be viewed as a group that falls behind in using digital devices like the past, but as key groups for consumption, and design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ir living patterns and taste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senior group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몬토기(繩文土器)의 문양에 대한 해독 연구 = A study on the decipherment of the pattern in Jomon pottery 김기윤 p.13-26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판매전시 공간 사례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ales display space with interaction design elements 김운걸 p.27-38

주름 기법을 이용한 섬유제품 개발 = Development of textile products using pleats technique : focused on Nuno felt technique : 누노펠트 기법 중심으로 박효정, 김성연 p.119-130

중국 앱 서비스 사례와 총체적 사고방식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pplications service case and holistic thinking : focus on the Tencent, JD.com, Meituan, Youku : 텐센트, 징동닷컴, 메이투안, 유쿠를 중심으로 이기항, 안병진, 송만용 p.287-304

스마트 홈(Smart Home)앱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요인 중요도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he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for smart home app design 이만, 김맹호 p.305-316

변증법적 디자인 방법으로서 동서 문화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ormative expression of east and west culture as dialectic design method : focused on integration, harmony and fusion in 20th century graphic design :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통합, 화합,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이봉만, 나건 p.333-344

장면의 순간을 포착하는 시간과 의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ime and consciousness of capturing the moment of scene : focusing on the work of a researcher : 연구자의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사윤택 p.143-158

기업 문화마케팅에 대한 예술적 관점에서의 의미 고찰 = The study on the meaning of cultural marketing viewed from the media art perspective : based on the cases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foreign automobile companies and media art : 해외 자동차기업과 미디어아트 간의 상호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정이슬, 이현진 p.397-412

지하철역 보행의 유희적 경험을 위한 인터렉티브 오디오 연구 = The research on interactive audio for playful experiences in walking at subway station 조지영, 최종훈 p.435-446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적 표현에 나타나는 내·외부의 경계적 특성연구 = A study on the boundary characteristics of interior and exterior i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Herzog & De Meuron 주여름, 윤재은 p.447-460

신생공간에 나타난 전시의 유동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mobility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in new spaces 노아영, 이정은 p.81-92

병산서원에 나타난 현상학적 공간 특성 연구 = Study of phenomenological space characteristics in Byeongsan Seowon 박현아, 윤재은 p.107-118

카카오톡 인기 이모티콘 일러스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A study on consumer responses to popular emoticon illustration in Kakaotalk :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유은제 p.259-274

가상공간에 관한 미디어고고학적 고찰 = A media archaological study for the virtual space 이원곤 p.345-357

미술관 환경미술 전시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환경미술교육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nected with art museums environmental exhibition 조성숙 p.423-434

나와 코헤이의 작품에 나타난 다의적 중간 지대 = The polysemous middle zone presented in the work of Kohei Nawa 이문정 p.317-331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디자인 프로젝트 수업 모형 = A model of design project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석금주 p.173-184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모바일 이모티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moticon design for active seniors : focused on Kakaotalk emoticons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신정은, 윤주현 p.209-220

증강현실 기반의 박물관 APP 콘텐츠 유형 분석 = Analysis of augmented reality based museum app contents types 정소영 p.385-396

입체시의 원리를 응용한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age expression applying the principle of stereoscopy 최영 p.493-502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연구 = A study on the heterotopian place : focused on the Dongdaemun Design Plaza :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공현진, 양태근 p.1-12

공유개념이 적용된 공유경제와 동시대 문화예술 산업의 관계성 연구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ing economy and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arts industry based on the notion of sharing 김주현 p.39-51

지방 디자인학부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조사 =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of disign department in local univ. : focused on 'CK-1 project' in the Dongseo Univ. : 동서대를 중심으로 송만용 p.185-194

일본 카사마 지역의 도자공예산업을 통한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creating of shared value through artwork in Kasama, Japan 김진미, 최병건 p.53-64

Study regarding the fondness of murals on the exterior walls of apartment buildings = 아파트 옥외공간의 벽화에서 나타난 호감도 연구 Kiryakova, Nansi Stefanova, Cho, Taigyoun p.65-79
퀼트기법을 활용한 원단 스와치 업사이클링 패션소품제작 연구 = A study on fabric swatch up-cycling fashion accessories using quilting technique 배석인, 강기용 p.131-142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problem based learning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서연화, 심현애 p.159-171

한국의 부엌과 욕실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Korean kitchen and bathroom environments and improvement plans : focusing on apartment house cases after 1950 : 1950년 이후 아파트 사례중심으로 오미현, 김종서 p.247-258

정체성의 도구로서의 신체장식과 현대 아트 주얼리 연구 = A study of body art and art jewellery as identity tools 장윤선 p.373-384

샤르댕 회화의 심미적 해석 전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hift of aesthetic interpretation on Chardin's painting : in relation to clash with Confucian philosophy : 유교 철학과의 충돌과 관련하여 채혜숙 p.461-478

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공미술 프로젝트 요소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elements of public art project to promote regional activation 송천, 유상욱 p.195-207

Research on shape grammar of the modular architectural automotive modeling generation = 모듈 건축 조형 생성의 자동화를 위한 형상 문법 연구 Yang, Yu, Cho, Taigyoun p.233-245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 분석과 분류 =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s types of service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including the case of vitalizing local community & community design :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마을 만들기를 포함한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최성익 p.479-491

패션 사진에 나타난 미러 대칭의 표현 특징과 미적 특성 = A study on the express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irror symmetry in fashion photography 최정화, 최유진 p.503-516

송·원대 호전요(湖田窑) 도자유약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glazes at Hutian Kiln during Sung and Yuan Dynasties 하옥검 p.517-528

Analysis of shape generation methods in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neuroscience = 인지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본 건축 조형 생성 방식 분석 Lyu, Xin, Cho, Taigyoun p.93-106

창의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rand identity system of creative cities 양서, 구자준 p.221-232

인클루시브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 고려요소 = Package design considerations applying inclusive design concepts 유현정, 이연준 p.275-285

홀치기염색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 Textile designs using tie-dyeing 정진순 p.413-422

참고문헌 (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비피기술거래, 『누구나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다』, 비피기술거래, 2017. 미소장
2 양혜인, 이수진, 김수정,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회 18권 3호, 2017. 미소장
3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ose in Their Twenties and Elderly Citizens in Using Instant Messenger Emoticons - Centering on Kakao Talk Emoticons - 소장
4 임윤아, 권지은,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모바일 SNS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17권 5호, 2016. 미소장
5 이영미, 「SNS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비주얼 크레이티비티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