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네트워크속도의 개선에 힘입어 모바일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로봇,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등과 함께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역사가 10년이 지나면서 이의 핵심적 기술인 블록체인은 금융분야를 넘어서 물류산업, 의료산업, 에너지, 자동차, 음원 및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금융분야에서 여전히 암호화폐에 대하여 나라별로 규제방식도 조금씩 다르다. 미국은 기본적으로 암호화폐를 기존 화폐의 가치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본이나 유럽도 나름대로의 규제의 틀을 만들고 있다. 공통적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시각은 다르지만, 이의 근간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은 고조되고 있고, 활용화를 위해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어느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각국의 정책을 암호화폐에 대한 정책을 위주로 살펴봄으로써 국내 블록체인 기술의 개발과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논한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이의 발전이 없다면,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속도도 느려질 수 있기에, 여러나라들의 암호화폐에 대한 정책은 향후 블록체인 기술 발전 여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다고 예상되는바 투자자 보호에 대한 법제를 서둘러 구비하여 규제를 완화해야 장기적으로 블록체인의 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암호화폐를 금지하는 주요국조차도 정부차원과 산업계차원에서 세부업종을 나누지 않고 블록체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자칫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시장에 뛰어드는 동안, 규제 논란에만 자칫 치중하다 4차 산업혁명의 대열에서 뒤처질 수 있다. 정부도 암호화폐의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해서는 기술적 가치를 인정하여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2019년 2월 1일 정부가 블록체인 기업들의 ICO를 제도화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산업계의 암호화폐 기능을 반영하는 제품을 출시하는 것과 정부의 투자위험에 따른 규제의 상반된 모습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시급하고 진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Recently, various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due to the improvement of network speed. In particular, the blockchain, along with robots, big data, AI, and IoT, has become a key technology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ow, the technology of the blockchain has expanded beyond financial sector into various fields such as logistics industry, medical industry, energy, automobile, music contents. However, in the financial sector, regulatory policies for cryptocurrency are still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countries. The United States basically sees cryptography as a substitute for the value of existing currencies, and Japan and Europe are also building their own regulatory framework. Although policies for cryptocurrency are different in general, many countries are interested in the blockchain technology and invest for its utilization.

In this paper, we explore various application areas how blockchain technology are utilized. Also, we discuss policies of foreign countries for the blockchain technology and examine regulatory issues for blockchain technology in Korea. Crytocurrency i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blockchain, so the development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maybe uncertain if it does not develop.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various policies for the cryptocurrency to develop the blockchain technology. Because the economic impact of blockchai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great, regulations need to be relaxed to develop the blockchain technology. Even major foreign countries that prohibit cryptocurrency are active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 시스템에 대한 교육방식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 of education toward social economy after different aspect of modern capitalism appears 신경환 p.1-16

Research on promoting charity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 charity law = 중국의 기부법률에 따른 기부문화 확산에 대한 연구 Shao Peizhang p.71-86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현황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blockchain technology : focusing on cryptocurreny policies of foreign countries : 해외의 암호화폐 정책을 중심으로 양영균, 조수빈, 천세학 p.47-70

국내 포워더의 생존 요인과 도산예측에 관한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survival factors and prediction of bankruptcy of domestic forwarder companies 김태훈, 정연봉 p.137-158

상장유형에 따른 기업의 장기성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ng-term performance of companies according to IPO type 김동한, 이미영 p.87-115

이사책임감면규정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 on audit fee and audit hour 우소희, 김범수 p.117-136

비서직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self-leadership of secretaries 김소영, 최애경 p.17-45

참고문헌 (6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진규, “삼성SDS, 블록체인 기반 '뱅크사인' 개발 완료”, THE BCHAIN, 2018년 8월 27일,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4. 미소장
2 강형구·배경훈·신은정, “NPO의 투명성 및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블록체인활용 사례 연구 및 적용방안”,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18년 11월 1일, https://research.beautifulfund.org/wp-content/uploads/20181101_041808.pdf. 미소장
3 고란, “왜 암호화폐 결제수단 인정했나···日측 그 반대다", 중앙일보, 2018년 3월 13일, https://news.joins.com/article/22435098. 미소장
4 길재식, “한전, 세계 최초 블록체인 EV(전기차)충전소 만든다”, 전자신문, 2017년 6월 29일, http://www.etnews.com/20170629000305. 미소장
5 김기두, “블록체인 기술 도입하여 부산신항 항만물류 시스템 구축”, 코리안투데이, 2018년 2월 22일, http://www.koreantoday.or.kr/sub_read.html?uid=2546§ion=sc7§ion2=%B0%E6%C1%A6. 미소장
6 김남규, “블록체인 기반 의료 서비스 개발 '활발'”, 조선일보, 2018년 5월 3일,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3/2018050385005.html. 미소장
7 김동식, “경기도, 기부시스템에도 블록체인 기술 접목”, 중앙일보, 2017년 3월 5일, https://news.joins.com/article/21338347. 미소장
8 김세희, “인구 131만 에스토니아 블록체인 대국이 된 비결”, 포쓰 저널, 2018년 3월 23일, http://www.4th.kr/news/articleView.html?idxno=1474. 미소장
9 김연지, “블록체인으로 가짜 수표 골라낸다... 두바이 은행, 프로젝트 공개”, 디센터, 2018년 4월 23일, https://www.decenter.kr/NewsView/1RYDB2R70U/GZ02. 미소장
10 김지수, "암호화폐 입장 변화 없어···ICO 허용국과 韓상황 달라", 아이뉴스, 2018년 12월 10일, http://www.inews24.com/view/1144736. 미소장
11 김진범, “일본 암호화폐·ICO 새 규제안, 어떤 내용 담겼나”, 코인리더스, 2018년 12월 18일, http://www.coinreaders.com/3136. 미소장
12 김화동,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혁신”, 머니투데이, 2017년 4월 28일, http://news.mt.co.kr/newsPrint.html?no=2017042417052629464&type=1&gubn=undefined. 미소장
13 문연희, 인터넷 전문은행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구통계적 특성의 탐색적 차이, 「상업교육연구」, 제31권 제6호, 2017, pp.95-108. 미소장
14 박근모, “몸값 요구하는 랜섬웨어, 확산되는 '비트코인'”, 키뉴스, 2017년 5월 17일,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6950. 미소장
15 박미영, “KT, 블록체인으로 투명한 P2P 기부 플랫폼 만든다” , 보안뉴스, 2018년 10월 9일,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3504. 미소장
16 박미영, “조폐공사, ‘공공 분야 블록체인 플랫폼’ 등 보안기술 선보여”, 보안뉴스, 2018년 10월 26일,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4020. 미소장
17 박혁진, “암호화폐,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규제하나”, 코인와이즈, 2018년 5월 22일, http://www.coinwis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 미소장
18 배운철, “묻지마식 `암호화폐 공개` 안된다”, 디지털타임즈, 2018년 5월 22일,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52302102251607001. 미소장
19 배호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영학 교육 혁신과 전문자격사 제도 선진화 방안. 「상업교육연구」, 31권제6호, 2017, pp.1-15. 미소장
20 백권호, “중국 블록체인 발전 현황과 전망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년 5월 8일, https://csf.kiep.go.kr/expertColr/M004000000/view.do?articleId=29564. 미소장
21 백정호, “현행 법상으로도 암호화폐 세금 부과할 수 있다”, 2018년 8월 31일, THE BCHAIN,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0. 미소장
22 백철, “비트코인 제도화한 미국과 일본”, 경향신문, 2017년 12월 9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712091747011. 미소장
23 블록인프레스, “주요 아랍에미리트 은행, 블록체인으로 사기 막는다”, 2018년 4월 24일,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838. 미소장
24 손경호, “KB국민은행, 비대면 실명확인정보 보관에 블록체인 적용”, ZDNet, 2016년 4월 29일, http://www.zdnet.co.kr/view/?no=20160429112333&re=R_20171121154428. 미소장
25 손예술a, “수취인 계좌 몰라도 해외송금 가능하다구요?”, ZDNet, 2018년 7월 30일, http://m.zdnet.co.kr/news_view.asp?article_id=20180730130354. 미소장
26 손예술b, “보험업계, 빅데이터·블록체인 등 신기술 채택 활발”, ZDNet, 2018년 10월 1일, http://www.zdnet.co.kr/view/?no=20181001140724. 미소장
27 신지은, “SEC,ICO부터 거래소까지 ‘증권법’으로 규제할 것..득일까 실일까”, 블록미디어, 2018년 11월 19일,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53357. 미소장
28 심지혜, “삼성SDS, 블록체인 글로벌 단체 EEA 참여”, 뉴스핌, 2017년 5월 23일,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523000040. 미소장
29 안은나, “기부금 투명하게’…블록체인으로 ‘어금니 아빠’ 막는다”, 동아일보, 2018년 11월 1일, http://bizn.donga.com/it/3/0112/20181101/92681500/1. 미소장
30 안성배·권혁주·이정은·정재완·조고운·조동희,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보고서. 제18권 3호, 2018. 미소장
31 오동현, “SK㈜ C&C, '블록체인 물류 서비스' 개발…해상,육상 운송 혁신”, 뉴시스, 2017년 5월 16일,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516_0014897430. 미소장
32 원재연, "홍남기 “암호화폐 과세한다”…암호화폐 가격 흔들”, 서울경제, 2018년 12월 3일,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S8BKKA82U/GZ03. 미소장
33 유회경, “블록체인 활용, 무역비용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어”, 문화일보, 2018년 4월 18일,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41801031827100001. 미소장
34 임민철, “IBM, 해운업에 블록체인 도입키로”, ZDNet, 2017년 3월 6일, http://www.zdnet.co.kr/view/?no=20170306093815&re=R_20190108161740. 미소장
35 임유경a, “삼성SDS, 중국행 해운물류에 블록체인 적용 사례 발표”, ZDNet, 2017년 9월 7일, http://www.zdnet.co.kr/view/?no=20170907105810. 미소장
36 임유경b, “미국 중간선거에 블록체인 투표 도입”, ZDNet, 2018년 8월 8일, http://www.zdnet.co.kr/view/?no=20180808100213. 미소장
37 임향기, “민원서류 관리부터 투표까지…‘블록체인' 전성시대”, 데일리토큰, 2018년 5월 23일, http://www.dailytoken.kr/news/articleView.html?idxno=1242. 미소장
38 이설영, “삼성SDS 블록체인으로 신시장 개척", 파이낸셜뉴스, 2017년 4월 6일, http://www.fnnews.com/news/201704061514116062. 미소장
39 이정민, “LG CNS, '이더리움 기업 연합(EEA)' 가입…세계 TOP 3 블록체인 연합 모두 참여”, 조선비즈, 2019년 1월 17일,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7/2019011700858.html. 미소장
40 전범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200여개.. 올해 거래소 우열 가려질 듯”, 조선일보, 2019년 1월 30일, https://news.v.daum.net/v/20190130164824224. 미소장
41 정수호, “암호화폐 법적성격, 이제는 해답을 내놓을 때”, 서울경제, 2018년 1월 30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1RUMNVLZ7J. 미소장
42 정유림, “삼성은 왜 갤S10서 비트코인 지원을 뺐을까?”, THE BCHAIN, 2019년 3월 13일,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5. 미소장
43 천민정·천세학, 4차 산업혁명과 노동시장의 변화: 회계 세무직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2018, pp.59-76. 미소장
44 최재원, “상용화 및 비 금융분야로 확산되는 블록체인”,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ICT 신기술, 2018년 6월 13일, pp.16-26, www.itfind.or.kr/WZIN/jugidong/1850/file5654860622122776967-185002.pdf 미소장
45 코인네스, “앞서가는 해외 ICO 정책, 뒤처지는 한국”, 2018년 11월 21일, https://kr.coinness.com/articles/10768. 미소장
46 한서희, “암호화폐 과세 쟁점에 대하여”, ZDNET, 2018년 9월 6일, http://www.zdnet.co.kr/view/?no=20180906170653. 미소장
47 한현욱, “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 활용 현황 및 정책제언”, KHIDI 전문가 리포트, 2018, http://www.itfind.or.kr/admin/getFile.htm?identifier=02-004-180607-000012. 미소장
48 황치규, “페이스북, 블록체인 서비스 공개 초읽기?...채용 확대일로”, THE BCHAIN, 2019년 3월 22일,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55 미소장
49 Allied market research, “Mobile Payment Market Expected to Reach $ 4,574 Billion by 2023“, alliedmarketresearch, 2017, https://www.alliedmarketresearch.com/press-release/mobile-payment-market.html 미소장
50 Athey, S., Parashkevov, I., Sarukkai, V., & Xia, J. “Bitcoin Pricing,Adoption, and Usage: Theory and Evidence”, mimeo Stanford University Graduate. 2016. https://siepr.stanford.edu/sites/default/files/publications/17-033_1.pdf. 미소장
51 Chiu, J. & Koeppl, T., "Incentive Compatibility on the Blockchain," Staff Working Papers, Bank of Canada, 2018, pp. 18-34, https://www.bankofcanada.ca/wp-content/uploads/2018/07/swp2018-34.pdf 미소장
52 Cong, L. W., & He, Z., “Blockchain disruption and smart contracts”, Working Paper 24399.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8. http://www.zhiguohe.com/uploads/1/0/6/9/106923057/bdsc.pdf. 미소장
53 Cong, L.W., Li, Y. & Wang, N., Tokenomics: Dynamic Adoption and Valuation, 2018, Available at http://files.sitebuilder.name.com/3b/6d/3b6d9eaf-35e8-4e34-8ff8-48f4c921328b.pdf. 미소장
54 Easley, D., O’Hara, M., & Basu, S., “From Mining to Markets: The Evolution of Bitcoin Transaction Fees, 2017, mimeo Cornell University. 2017, https://www.hec.ca/finance/Fichier/Ohara2017.pdf. 미소장
55 Blockchains and Bitcoin: Regulatory responses to cryptocurrencies 네이버 미소장
56 Harvey, C. R., Cryptofinance, 2016, Available at https://people.duke.edu/~charvey/new_research.htm. 미소장
57 Beyond Bitcoin: Issues in Regulating Blockchain Transactions 네이버 미소장
58 Nakamoto S.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008, http://bitcoin.org/bitcoin.pdf. 미소장
59 Pureswaran, V., “Empowering the edge - Practical insights on a decentralized Internet of Things”, 2015, IBM Institute for Business Value, https://www-935.ibm.com/services/us/gbs/thoughtleadership/internetofthings/ 미소장
60 Raskin, M. & Yermack, M., “Digital currencies, decentralized ledgers, and the future of central banking”, Working Paper 22238,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6, https://www.nber.org/papers/w22238. 미소장
61 Yeoh, P. "Regulatory issues in blockchain technology", Journal of Financial Regulation and Compliance Vol25(2), 2017, pp.196-208. https://www.bbvaresearch.com/wp-content/uploads/2016/12/WP_16-20.pdf. 미소장
62 WEF, “Deep Shift Technology Tipping Points and Societal Impact”, (2015), http://www3.weforum.org/docs/WEF_GAC15_Technological_Tipping_Points_report_2015.pdf 미소장
63 Corporate Governance and Blockchains 네이버 미소장
64 https://coinmarketcap.com/ko. 미소장
65 www.coinmap.org 미소장
66 https://pokitdok.com 미소장
67 https://ripple.com 미소장
68 https://www.korbit.co.kr 미소장
69 https://www.atfx.com/gm/ko/ripple-cfd-brok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