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마한(馬韓)' 역사고고학 콘텐츠를 통한 컬포츠(Culports) 활용 연구 = A study on culports using content of 'Mahan' historical archaeology : 보드게임 소재를 중심으로 / 강귀형 ; 이헌종 ; 김선영 1

요약 1

I. 머리말 2

II. 교육용 게임의 이론적 배경 2

1. 교육용 게임의 구성주의 학습이론 접근 2

3. 보드게임을 활용한 마한(馬韓) 역사 콘텐츠 학습 5

III. '마한' 역사고고학 콘텐츠 분석 5

1 '마한' 자료의 검토 6

2. '마한' 자료의 스토리텔링 구성 12

3. '마한' 역사고고학 콘텐츠 보드게임 모델 선정 15

IV. '마한' 역사고고학 콘텐츠 보드게임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19

1. '마한' 역사고고학 콘텐츠 보드게임 기획 19

2. '마한' 역사고고학 콘텐츠 컬포츠(Culports) 운영 21

V. 맺음말 25

參考文獻 26

Abstract 3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화성 당성과 주변 유적의 성격 및 경관 고찰 = Study of characters and landscape of Hwaseong Dang Castle and the relics around the castle : focusing on the periods ranged from the Shilla Kingdom to the North-South States : 신라~남북국시대를 중심으로 황보경 p.31-58

보기
'마한(馬韓)' 역사고고학 콘텐츠를 통한 컬포츠(Culports) 활용 연구 = A study on culports using content of 'Mahan' historical archaeology : 보드게임 소재를 중심으로 강귀형, 이헌종, 김선영 p.59-89

보기
고구려 문자명왕릉 연구 = A study on the Tomb of King Munjamyeong of Goguryeo 주홍규 p.7-29

보기
보물 제597호 토기 융기문 발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 Scientific research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Yunggimuntogi (Earthenware with raised pattern), Treasure No. 597 권오영, 박영환, 이장존, 박창열, 이선명 p.153-184

보기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 Development and operations of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local cultural heritages : Kunsan National University Museum's 'Wishing Boat Crafting' :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조인진, 신소미 p.125-151

보기
박물관 자유학년제 교육의 발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 of free learning year system in museum 김윤희 p.91-124

보기

참고문헌 (8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三國志 魏書』 東夷傳 미소장
2 『三國史記』 미소장
3 강봉룡, 1998, 「백제의 마한 倂合에 대한 신고찰」, 『한국상고사학보』 26, 한국상고사학회, pp.141~161. 미소장
4 강봉룡, 2000, 「영산강유역 고대사회 성격론」,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새로운 조명』 26, 국제학술심포지움논문집, 전라남도, pp.63~93. 미소장
5 강봉원, 1992, 「‘성읍국가’에 대한 일고찰」, 『선사와 고대』 3, pp.127~154. 미소장
6 강인애, 2005, 『왜 구성주의인가?-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미소장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풍납토성Ⅱ-고찰』, pp.112~120. 미소장
8 권오영, 1986, 「초기백제의 성장과정에 관한 일고찰」, 『한국사론』 15, 서울대 국사학과, pp.3~94. 미소장
9 권오영, 1995, 「백제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미소장
10 권오영, 2010, 「마한의 종족성과 공간적 분포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60, 한국고대사학회. 미소장
11 Special Education / Essays for the Articulation of Modern Anthropological Methods and the study of Korean History : On the Relevance of Anthropological Models in the study of state Formation in Ancient Korea 소장
12 김낙중, 2007, 「분구묘의 전통과 영산강유역형 주구」, 『복암리3호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pp.357~381. 미소장
13 김선우, 2003, 「온라인 학습사이트에서 컴퓨터게임을 활용한 학습동기 제고 방안」,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the Mahan Settlements in the Honam Province 소장
15 김승옥, 2009, 「분구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5-고분조사·연구방법-』,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소장
16 김승옥, 2011,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71, pp.85~116. 미소장
17 김영심, 1999, 「백제의 영역변천과 지방통치」, 『백제 도록』, 국립중앙박물관. 미소장
18 노종국, 1988, 「마한의 성립과 변천」, 『마한·백제문화』 10, 원광대학교 마한·백제연구소, pp.23~47. 미소장
19 노종국, 1990, 「한국 고대의 국가형성의 제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고대국가의형성』(한국고대학회편), 민음사. 미소장
20 노종국, 2009, 「마한의 성립과 변천」, 『마한 숨쉬는 기록(도록)』, 국립전주박물관, pp.215~223. 미소장
21 박선미, 2011, 「교역품의 양적 분석을 통한 위만조선의 완충교역 연구」, 『동양학』 50,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pp.93~117. 미소장
22 박순발, 1998, 「전기 마한의 시공간적 위치에 대하여」, 『마한사 연구』,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미소장
23 박순발, 2009, 「마한 사회의 변천」, 『마한 숨쉬는 기록(도록)』, 국립전주박물관, pp.224~232. 미소장
24 백영규, 2005, 「인터넷을 통한 협동학습의 연구」, 『교육학연구』 36(3), pp.193~223. 미소장
25 서다솜, 2018,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국립광주박물관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서현주, 2014, 「마한·백제계유물연대론」, 『영산강유역 고분 토목기술의 여정과 시간을 찾아서』(대한문화재연구원 2014 하반기국제학술대회). 미소장
27 성정용, 2009, 「중서부지역 마한의 물질문화」, 『마한 숨쉬는 기록(도록)』, 국립전주박물관, pp, 233-246. 미소장
28 송가람, 2008, 「문화재(경복궁)학습을 위한 교육용 디자인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송혜미 외, 2014, 「초등학생 대상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고문화』 8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미소장
30 申瀅植, 1983, 「三國時代 戰爭의 政治的 意味」, 『한국사연구』 43, 한국사연구회, pp.1~21. 미소장
31 申熙權, 2002, 「風納土城 築造年代 試論」, 『한국상고사학보』 37, 한국상고사학회, pp.29~51. 미소장
32 안희숙, 2002, 「컴퓨터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양지영, 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적 연계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유출규, 2003, 「플래시 액션기능을 활용한 게임형 역사 학습 교실」, 인천대학교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윤경노, 2001, 「컴퓨터 게임의 장르별 교수-학습 적용 방안」,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이성주, 2000, 「기원전 1세기대의 진·변한지역」, 『전환기의 고고학Ⅲ』(제24회 한국상 고사학회 학술발표회), pp.115~153. 미소장
37 이성주, 2015, 「風納土城 土器遺物群의 年代와 百濟土器 漢城樣式의 成立」, 『호남고고학보』 49, 호남고고학회, pp.135~174. 미소장
38 이택구, 2008,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 墳丘墓」, 『한국고고학보』 66, 한국고고학회, pp.48~89. 미소장
39 이상석·김선영·이헌종, 2018, 「컬포츠를 통한 구석기시대 접합석기 퍼즐의 교육적 활용」, 『문화교류연구』 7-1,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미소장
40 이수경·김선영·이헌종, 2017, 「한국 전통문화요소 기와를 활용한 컬포츠 교육 방안 연구」, 『문화 교류연구』 6-4,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pp.65~88. 미소장
41 이헌종·김선영·문경오, 2016, 「고고문화유산을 통한 컬포츠 활용 및 지역문화인재양성시론-신안다도해 유네스코생물권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19(2), 역사문화학회, pp.71~107. 미소장
42 이헌종·류호철, 2017, 「고고문화유산의 컬포츠 활용과 그 의미-제주도 문화유산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 역사문화학회, pp.193~223. 미소장
43 이현혜, 1991, 「한국사 연구상에 나타난 진화론적 시각」, 『현대 한국사학과 사관』, 일조각, pp.84~120. 미소장
44 이현혜, 1993, 「원삼국시대론 검토」, 『한국고대사론총』 5. 미소장
45 이현혜, 1995, 「신진화론의 이해와 적용을 둘러싼 몇가지 문제」, 『역사학보』 146, pp.271~283. 미소장
46 이현혜, 1997, 「3세기 馬韓과 伯濟國」, 『백제연구』 5,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pp.7~42. 미소장
47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 : 취락 분포 정형을 중심으로 소장
48 Model of an Educational Board Game for Young Children 소장
49 임영진, 1995, 「마한의 형성과 변천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삼한의 사회와 문화』(한국고대사학회편), 신서원, pp.93~121. 미소장
50 임영진, 2010, 「묘제를 통해 본 마한의 지역성과 변천 과정」, 『백제학보』 3, 백제학회, pp.25~46. 미소장
51 전경수, 1988, 「신진화론과 국가형성론-인류학이론의 올바른 적용을 위하여-」, 『한국사론』 19, pp.569~604. 미소장
52 정일 외, 2013, 「강진 양유동취락의 특징과 고대사적 의미」, 『호남고고학보} 45, 호남고고학회, pp.131~156. 미소장
53 정일, 2006, 「전남지역 사주식주거지의 구조적인 변천 및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54, 한국상고사학회, pp.115~141. 미소장
54 정형원·이대웅, 2008, 「최근 구성주의 학습이론 중심의 교육용 게임의 이론적 배경 고찰」, 『한국컴퓨터게임학회지』 14, pp.149~158. 미소장
55 조정남, 2003, 「받아쓰기를 통한 학습부진학생의 영어청취이해력 향상」,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6 조형정, 2003, 「협동학습의 효과 및 내적과정에 대한 분석」, 『교육방법연구』 15, 한국교육방법학회, pp.111~133. 미소장
57 중앙문화재연구원, 2018, 「Ⅲ-(4) 마구」, 『마한 고고학개론』, 진인진, pp.220~235. 미소장
58 차주영, 2007, 「역사적 사건의 콘텐츠화 과정 연구」, 『인문콘텐츠』 10, 인문콘텐츠학회, pp.283~303. 미소장
59 최몽룡, 1987,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본 마한」, 『마한·백제문화 연구의 성과와 과제』(제9회 마한·백제문화국제학술대회), pp.55~61. 미소장
60 최성락, 1990, 「전남지방의 마한문화」,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 12,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pp.143~156. 미소장
61 최성락, 1991, 「한국 철기문화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7, 한국상고사학회, pp.383~442. 미소장
62 최성락, 1996, 「전남지방에서 복합사회의 출현」, 『백제논총』 5, 백제개발연구원, pp.47~76. 미소장
63 최완규, 1996, 「주구묘의 특성과 제문제」, 『고문화』 49, 한국대학교박물관협회, pp.103~131. 미소장
64 최완규, 1997, 「호남지방 주구묘의 제문제」(제21회 한국고고학회 발표요지문,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pp.11~35. 미소장
65 최완규, 2000, 「호남지역의 마한분묘 유형과 전개」, 『호남고고학보』 11, 호남고고학회, pp.113~160. 미소장
66 홍희정, 2007, 「초등학교 역사학습을 위한 교육용RPG 게임디자인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7 김정환·강선보, 1997, 『교육학개론』, 서울: 박영사. 미소장
68 노종국, 1988,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미소장
69 박순발, 2001,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미소장
70 이성주, 2007, 『청동기·철기시대 사회 변동론』, 학연문화사. 미소장
71 이현혜, 1984, 『삼한사회 형성과정의 연구』, 일지사. 미소장
72 최성락, 1993, 『한국 원삼국문화 연구-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미소장
73 최성락, 2018,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과정 연구』, 주류성. 미소장
74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8, 『百濟 歷史와 文化』, p.73. 미소장
75 한국생활사박물관, 2001, 『한국생활사박물관4-백제생활관』. 미소장
7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보드게임의 교육적 효과 연구와 학습지도안 개발』. 미소장
7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2017 대한민국 게임백서(上)』한국콘텐츠 진흥원 미소장
78 문화콘텐츠 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 미소장
79 채널 코리아보드게임즈 블로그 https://blog.naver.com/kboardgame/221417830220 미소장
80 천제교육 블로그 https://blog.naver.com/storychunjae/220631218188 미소장
81 조선비즈, 2013, 인기보드게임 ‘모노폴리’ 기원?... ‘反자본주의’ 교육 미소장
82 Bransford, J. D. & Stein, B. S., 1993, The Ideal Problem Solver. Centers for Teaching and Technology - Book Library. 46. 미소장
83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84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