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개벽』 | 미소장 |
2 | 『동광』 | 미소장 |
3 | 『문장』 | 미소장 |
4 | 『백조』 | 미소장 |
5 | 『삼천리』 | 미소장 |
6 | 『영대』 | 미소장 |
7 | 이광수, 「인생의 향기(4)-연분」, 『영대』, 1924.12. | 미소장 |
8 | 이광수, 「이순신과 안 도산」, 『삼천리』, 1931.8. | 미소장 |
9 | 이광수, 『인생의 향기』, 홍지출판사, 1936. | 미소장 |
10 | 이광수, 「무명」, 『문장』, 1939.1. | 미소장 |
11 | 이광수, 「육장기」, 『문장』, 1939.9. | 미소장 |
12 | 이광수, 『그의 자서전』(5판), 조광사, 1941. | 미소장 |
13 | 이광수, 『돌베개』, 삼중당, 1952.(1948년 6월 생활사 간행본의 재간행본) | 미소장 |
14 | 이광수, 『나-소년편』(재판), 생활사, 1948.7.5. | 미소장 |
15 | 이광수, 『나-스무 살 고개』, 생활사, 1948.10.15. | 미소장 |
16 | 이광수, 『나의 고백』(재판), 춘추사, 1948.12.25. | 미소장 |
17 | 이광수, 박종화 외 편, 『이광수 전집』 1-10, 삼중당, 1972. | 미소장 |
18 | 이광수, 김원모·이경훈 편역, 『동포에 고함』, 철학과현실사, 1997. | 미소장 |
19 | 이광수, 김윤식 편역, 『이광수의 일어 창작 및 산문선』, 역락, 2007. | 미소장 |
20 | 이광수, 최종고 편, 『나의 일생』, 푸른사상, 2014. | 미소장 |
21 |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1984. | 미소장 |
22 | 김원모, 『영마루의 구름』,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 미소장 |
23 |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3, 한길사, 1986. | 미소장 |
24 | 김재용, 『풍화와 기억–일제 말 친일 협력 문학의 재해석』, 소명출판, 2016. | 미소장 |
25 | 노양환, 『춘원 이광수 평전』(『이광수 전집 별권』), 삼중당, 1974. | 미소장 |
26 | 박계주·곽학송, 『춘원 이광수』, 삼중당, 1962. | 미소장 |
27 | 이정화, 『아버님 춘원』, 문선사, 1955. | 미소장 |
28 | 이정화, 『그리운 아버님 춘원』, 우신사, 1993. | 미소장 |
29 | 이태준, 임형택·민충환 편, 『해방 전후』, 창작과비평사, 1994. | 미소장 |
30 |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 미소장 |
31 | 주요한, 『안도산 전서』, 샘터사, 1979. | 미소장 |
32 | 최주한, 『제국 권력에의 야망과 반감 사이에서』, 소명출판, 2005. | 미소장 |
33 | 한승옥, 『이광수 문학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 미소장 |
34 | 김산·님 웨일즈, 조우화 역, 『아리랑』, 동녘, 2002. | 미소장 |
35 | 리처드 체식, 임말희 역,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 눈, 2014. | 미소장 |
36 | 이운허(李耘虛) 역, 『법화경』, 동국대학교역경원, 2004. | 미소장 |
37 | 제레미 홈즈, 유원기 역, 『나르시시즘』, 이제이북스, 2003. | 미소장 |
38 |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홍빈·홍혜경 역, 「리비도 이론과 나르시시즘」, 『정신분석강의(하)』, 열린책들, 1998. | 미소장 |
39 | 지그문트 프로이트, 윤희기 역, 「나르시시즘에 관한 서론」,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책들, 1998. | 미소장 |
40 | 크리스토퍼 라쉬, 최경도 역, 『나르시시즘의 문화』, 문학과지성사, 1989. | 미소장 |
41 | 필립 르죈, 윤진 역,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97. | 미소장 |
42 | 하인즈 코헛, 이재훈 역,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 미소장 |
43 | 하타노 세츠코, 최주한 역, 『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푸른역사, 2016. | 미소장 |
44 | 강헌국, 「기억의 연금술 -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성격 연구」, 『한국학연구』 3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미소장 |
45 | 김남천, 「춘원 이광수 씨를 말함–주로 정치와 문학과의 관련에 기(基)하여」, 정호웅·손정수 편, 『김남천 전집』 I, 박이정, 2000(『조선중앙일보』, 1936.5.6.). | 미소장 |
46 | 김주현, 「이광수와 신채호의 만남, 그리고 영향」, 『한국현대문학연구』 48, 한국현대문학회, 2016. | 미소장 |
47 | 김주현, 「상해 시절 이광수의 작품 발굴과 그 의미」, 『어문학』 132, 한국어문학회, 2016. | 미소장 |
48 | 노상래, 「李光洙의 自敍傳的 글쓰기에 대한 一考察-「星條旗」와 「그의 自敍傳」을 中心으로」, 『동아인문학』 16, 동아인문학회, 2009. | 미소장 |
49 | 방민호, 「이광수의 자전적 문학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어문학논총』 22,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03. | 미소장 |
50 | 서은혜, 「이광수 소설의 ‘암시된 저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17. | 미소장 |
51 | 신성환, 「『무정』의 세 가지 연애담, 이성애와 나르시시즘-『무정』 새롭게 다시 읽기의 한방법」, 『한국언어문화』 62, 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 미소장 |
52 | 정홍섭, 「춘원 문학의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 - 「농촌계발」과 「민족개조론」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13, 춘원연구학회, 2018. | 미소장 |
53 | “[박태균의 버치 보고서]⑧-강용흘을 아시나요”, <경향신문>, 2018.5.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