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 399명과 한국 초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중국과 한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스트레스, 학생-교사의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중국과 한국 간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스트레스, 학생-교사의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와 학생-교사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민주적 양육방식, 권위주의적 양육방식, 스트레스, 주관적 안녕감, 학생-교사 관계는 중국이 한국보다 높았고 허용적 양육방식은 한국이 중국보다 높았다. 둘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한국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생-교사 관계가 유의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 중국과 한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스트레스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생-교사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교사 관계는 증가된 스트레스로 인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이 감소되는 상황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생의 관계적 측면에서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상담 방법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봉사참여와 봉사태도 간 관계에서 봉사관계자 지지의 조절 효과 =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t volunteering sites on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and attitudes toward volunteering work 김샛별, 권슬기, 박수원 p.461-489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협력활동 관계에서 학부모 교육적 관여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collaborative activity 이강호, 박주호 p.405-430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재수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peater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이수연, 이정윤 p.377-403
교육행정지도자 직무연수 참여를 통한 교육지도성 성찰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rospection experience of educational leadership through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der in-service training participation : focused on the grounded theory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동일, 안예지, 김은삼, 안제춘 p.431-460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생의 서술형 강의평가 분석 = Analysis of students' open-ended course evaluation using topic modeling 곽민호, 민혜리, 김미림 p.491-522
가부장적 가정환경이 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men's depress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xism and men's gender role conflict : 성차별적 인식과 남성 성역할 갈등의 매개 효과 성윤희, 정주리 p.547-567
소설 『동의보감』에 나타난 교육적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n the novel Dong‑Ui‑Bo‑Gam 육정미, 최성욱 p.591-615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의 교양과목 수강 유형 및 영향 요인 = Exploring the models of general education in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outh Korea 심우정, 백선희 p.523-546
중국과 한국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stres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 스트레스와 학생-교사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Wu Linyan, 오인수, Li Mingji p.349-376

봉사활동 참여가 고등학생의 공동체 의식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on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 : 경향점수 매칭과 이중차분 추정기법 활용 전현정, 정혜원 p.321-347
부정적 초기 대상관계, 분리-개별화, 유기불안, 관계중독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of negative initial object relations, separation-individuation,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박혜원, 김영근 p.569-589

참고문헌 (8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광연, 전제상(2018). 아동이 지각한 주양육자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3), 891-90. 미소장
2 김남정, 김영식(2012). 청소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청소년활동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9(8), 219-240. 미소장
3 김남희, 김종백(2011).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5(4), 763-789. 미소장
4 김복인, 이인수(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 행복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0(6), 195-218. 미소장
5 김성수(2013).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우울/불안, 위축행동,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1(2), 343-364. 미소장
6 김연화(2010). 아동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87-307. 미소장
7 김영은(2009).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 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및 우정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성서대학교. 미소장
8 김영선, 이숙(2014). 모 양육태도 지각과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2), 131-145. 미소장
9 김요셉, 김성천, 유서구(2011).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18(3), 103-126. 미소장
10 김원정(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 미소장
11 김은주(2018). 교권침해 실태와 요인에 대한 초, 중,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167-197. 미소장
12 김의연, 박영신, 김의철(2013).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지각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인간발달연구, 20(4), 105-127. 미소장
13 김의연, 유효숙(2018).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내용에 대한비교연구. 교육문화연구, 24(1), 193-211. 미소장
14 김수희, 이숙(2018).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5), 660-673. 미소장
15 김정민, 이유리(2010).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정서지능 및 부모화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3-26. 미소장
16 김정욱, 김재호(2018).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그 자녀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인식과의 관계. 실과교육연구, 24(1), 111-132. 미소장
17 김종백, 김남희(2009).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교사애착관계도구(STARS)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4), 697-714. 미소장
18 박영숙, 김종우, 이상원(2010). 초등학교 학생들의 가정환경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0(2), 151-171. 미소장
19 Comparisons of Stress,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Parents` Nurturing Attitudes in School-age Children between Korea and China 소장
20 유양, 박인숙, 문영숙(2010).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중국 아동의 비교. 아동간호학회, 16(4), 334-343. 미소장
21 왕정(2016). 중국 가정의 사회자본과 부모의 양육방식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미소장
22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2016). 2016년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미소장
23 이근영, 최수찬, 공정석(2011).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연구, 18(5), 83-107. 미소장
24 이기숙, 정미라, 김현정(2008). 한국, 일본, 중국 부모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28(3), 151-171. 미소장
25 이상록, 김은경, 윤희선(2015). 청소년의 행복감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4), 413-438. 미소장
26 이수미(2011). 초등학생이 지각한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미소장
27 이은진(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행복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미소장
28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2000).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미소장
29 이현주, 강민희(2008).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 (PAQ) 타당화 및 부모양육태도와 가족 기능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9(3), 5-31. 미소장
30 임세준, 이윤영(2018).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이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341-350. 미소장
31 서안리(2009). 한 중 외동아와 다동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방식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미소장
32 서은국, 구재선(2011). 단축형 행복 척도 (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5(1), 96-114. 미소장
33 서종수(2017). 부모애착이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6(1), 145-165. 미소장
34 서현주, 최형아(2017). 중·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 또래, 교사관계의 조절효과. 교육문제연구소, 63, 51-78. 미소장
35 송영이(2011).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미소장
36 신명덕(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복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미소장
37 신성철, 신연희, 송희원(2018).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교부적응과 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7(2), 85-97. 미소장
38 신원(2007).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미소장
39 신현균(2009). 아동,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 부모 양육방식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간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4), 1083-1105. 미소장
40 심우엽(2013).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2(2), 261-277. 미소장
41 심우엽(2014). 교육학 이론 및 실제: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5(2), 1-16. 미소장
42 심정희(2015). 한국과 중국의 교육열 특성비교: 한국인의 교육열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미소장
43 가정 환경과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과의 관계 소장
44 장선희, 이미애(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7(8), 27-55. 미소장
45 정은선, 조한익(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09-227. 미소장
46 조주연, 도현심(2011). 부모 간 갈등, 어머니의 지지 및 통제와 또래관계의 질이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학회지, 32(2), 15-34. 미소장
47 조혜정(2013).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68, 157-184. 미소장
48 지선례(2018). 저소득가정 아동의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친구지지, 교사지지와 아동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9(2), 207-219. 미소장
49 최인재(2010).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 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17(9), 105-130. 미소장
50 한미현, 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4), 49-64. 미소장
51 The Relationship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ir Self-Esteem 소장
52 허지영(2008).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미소장
53 허철수(2003). 한중 부모 양육태도 비교연구. 제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4(1), 39-72. 미소장
54 ZHANG CHUNXUE(2004).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 적응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55 金润玉(2017). 父母教养方式, 自卑与社交焦虑的关系研究: 来自中韩大学生的比较. Master's thesis, 四川师范大学. 미소장
56 任木千子(2016). 社会环境对中小学生学习压力的影响研究. Doctoral dissertation, 湖南师范大学. 미소장
57 尚晶晶(2017). 心理弹性在学校压力对高中生主观幸福感中的调节作用. 校园心理, 15(2), 100-103. 미소장
58 姜晓文, 姜媛, 田丽, 方平(2018). 青少年压力与主观幸福感的关系:一个有中介的调节模型. 心理与行为研究, 16(3), 63-68. 미소장
59 郭明佳, 刘儒德, 甄瑞, 牟晓红 & 庄鸿娟(2017). 中学生亲子依恋对主观幸福感的影响: 师生关系及自尊的链式中介作用. 心理与行为研究, 15(3), 351-358. 미소장
60 傅维利(1995). 论区域经济发展的不平衡与欠发达地区的教育抉择. 教育研究 , (4), 39-44. 미소장
61 傅俏俏, 叶宝娟, 温忠麟(2012). 压力性生活事件对青少年主观幸福感的影响机制. 心理发展与教育, 28(5), 516-523. 미소장
62 廖红(2015). 父母教养方式对中学生学业压力的影响. 内江师范学院学报, 12(4), 70-73. 미소장
63 杨继平(2005). 3-6 年级小学生师生关系调查研究. 教育理论与实践 , 25(6), 46-49. 미소장
64 杨清(2016). 大学生压力与主观幸福感: 心理资本的中介作用及社会支持的调节作用. Master's thesis, 四川师范大学. 미소장
65 柴俊青(2004). 中国传统师生关系理念透析. 中国社会科学院研究生院学报, (2), 132-136. 미소장
66 曾岑莉(2016). 小学高年级学生学业压力调查及对策研究. Master's thesis, 华中师范大学. 미소장
67 张志涛, 王敬群, 刘芬(2012). 大学生父母教养方式, 领悟社会支持, 孤独感与主观幸福感的关系. 中国健康心理学杂志, 20(7), 1080-1083. 미소장
68 张筱妤(2015). 父母教养方式对初三学生心理健康的关系的研究. Doctoral dissertation, 贵州师范大学. 미소장
69 胡洁, 姬天舒, 冯凤莲(2002). 父母教养方式与大学生总体幸福感的相关研究. 健康心理学杂志, 10(1), 16-17. 미소장
70 罗桃兰(2005). 深圳市小学生心理健康调查研究. Doctoral dissertation, 华中师范大学. 미소장
71 邱雯婷, 冯维(2009). 我国近20年来青少年自杀研究述评与展望. 现代预防医学, 36(11), 2093-2095. 미소장
72 钟茜莎(2016). 中学生学业压力, 心理资本与主观幸福感的关系研究. Doctoral dissertation, 湖南科技大学. 미소장
73 Child care practices anteceding three patterns of preschool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74 Parental Authority Questionnaire 네이버 미소장
75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네이버 미소장
76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미소장
77 Hoggard, L. (2005). How to be happy. Boston: Beacon Press. 미소장
78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 school children: a comparison among Japan, Korea, and China. 네이버 미소장
79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네이버 미소장
80 Attachment theory: Implications for school psychology 네이버 미소장
81 Students' stress in China, Japan and Korea: a transcultural study. 네이버 미소장
82 The mediating role of Internet addiction in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in six Asian countr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83 Preferred Leisure Type, Value Orient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East Asian Youth 네이버 미소장
84 Mother-child relationship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네이버 미소장
85 Moderating effects of three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 minority stress model for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