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우리나라 언론학의 4비조 중 한명으로 특히 언론사 연구분야의 개척자였던 희관 임근수 박사 서거 40주년을 맞아 그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을 간단히 살펴본 뒤에, 언론사에 대한 그의 연구목적과 사관, 연구입장, 연구방법 및 그가 우리나라 언론사 내 지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발전에 끼친 공헌 등을 조명해 보고자 것이었다. 희관 임근수 박사는 이 땅에 ‘언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키는데 주역을 담당하였다. 또한 그는 여러 권의 저서와 40여 편의 논문들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에 서 언론학의 방향, 과제, 연구방법 등을 제시해 줌으로써 우리나라 언론학 연구의 발전 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특히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선도자이자 대표적 학자로서 크게 공헌했다. 첫째 그는 언론사 연구대상을 신문사에서부터 매스 커뮤니케이션사로, 다시 커뮤니케이션사로 확대발전시켜 주었다. 둘째로 커뮤니케이션사의 연구범위도 종래의 송신자 중심의 연구에서 탈피해서 메시지와 그 전달과정, 수용자, 효과 분석 등 커뮤니케이션 과정 전반에 관한 역사적 연구로 확대, 발전시켜 주었다. 셋째로 커뮤니케이션 사의 연구 범위를 공간적 즉 지역적으로도 넓혀서 우리나라 언론학도들의 시야를 넓혀 주었다. 넷째로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에서 사관정립을 위하여 신민족주의 사 관을 제시해 주었다. 다섯째로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사의 시대·시기를 어떻게 구분 해야 할 것인지도 제시해 주었다. 여섯째로 커뮤니케이션사 연구방법으로 사회학적 연구방법도 제시해 주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K-뷰티의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 = On the intersectionality of race and gender in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beauty : a case study on the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중심으로 박소정, 홍석경 p.43-78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사이에서 = Between tojisha and non-tojisha : focusing on representations of gay in Yoshinaga Fumi's comics : 요시나가 후미 만화의 게이 표상을 중심으로 김효진 p.79-112

임신중절에 관한 포털뉴스와 댓글 담론의 근거이론적 분석 = Grounded theory analysis of portal news and comment discourse on abortion 김은진, 강주현 p.188-242

가짜뉴스에 대한 한국과 EU의 비교정책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fake news policy of EU and Korea : focusing policy discourse : 정책형성 담론을 중심으로 김세환, 황용석 p.156-187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perspective on regulating 'fake news' & disinformation 박아란 p.113-155

한국언론학 개척자 임근수 박사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 = Academic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f Dr. Lim, Keun-soo as a forerunner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education in Korea 차배근 p.5-42

게임 이용이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video game play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academic performance : a dynamic panel data analysis : 동적 패널 데이터 분석 김현석, 최순욱, 이은주 p.243-289

판타지 드라마 주인공의 초현실적 능력과 몰입 = Protagonists' surrealistic power and immersion in fantasy dram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fantasy fulfillment :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판타지 충족감의 매개 역할 임인재, 나은영, 김승현 p.290-329

집단토론 면접에서의 초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선택 = Effects of position interdependency and competitiveness on communication strategy selection in group-discussion employment interviews : 인지된 직무 상호의존도와 경쟁률의 상호작용 효과 최창식 p.330-371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리대룡(1977), 임근수 신문학의 체게와 방법. 희관 임근수박사 화갑기념논총편찬위원회편(1977), <한국신문학50년사>. 서울: 정음사. 미소장
2 이기백(1972), 신민족주의사관론, <문학과 지성> 제3권 제3호. 미소장
3 임근수(1967), <신문발달사>. 서울: 정음사. 미소장
4 임근수(1969), 동양에서의 근대신문의 생성과정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제36호. 미소장
5 임근수(1971), 한국신문학 발전을 위한 제언, <여성저널> 제2호. 미소장
6 임근수(1973a), 한국신문학사 서설, <신문학보> 제6호. 미소장
7 임근수(1973b), 20세기 초반 동양에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I), <신문연구소학보>(서울대학교), 제10집. 미소장
8 임근수(1974), 20세기 초반 동양에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II), <신문연구소학보>(서울대학교), 제11집. 미소장
9 임근수(1975), 한국커뮤니케이션사연구의 방법에 관한 일고찰, <신문연구> 제16권 제1호. 미소장
10 임근수(1976), 한국신문학의 성립과정과 그 연구현황의 계보적 고찰, <저널리즘> 1976년 봄호. 미소장
11 임근수(1977), 역사와 언론, 한국기자협회 하계세미나 주제논문. 1977년 7월 9일. 미소장
12 임동진·임길진·임현진·임국희 편(1984), <언론과 역사: 희관 임근수 박사 논총>. 서울: 정음사. 미소장
13 희관 임근수박사 화갑기념논총편찬위원회편(1977), <한국신문학50년사>. 서울: 정음사. 미소장
14 손진태(1948), <조선민족사개론>(상권). 서울: 을유문화사. 미소장
15 홍이섭(1970), 일제(=식민지)시대의 역사적 성격, 한국경제사학회편, <한국사시대구분론>. 서울: 을유문화사. 미소장
16 차배근(2017),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17 Carr, E. H.(1964), What is History? New York: Pelican Book. 미소장
18 Bücher, Karl(1926), Die Anifange des Zeitungwesens. Die Entstehung der Volkswirtschaft. Tübingen, Germany: H. Laupp. 미소장
19 Fairbank, J. K.; E. O. Reischauer and A. M. Craig(1965), East Asia: The Modern Transformation. Boston: Hughton Mifflin. 미소장
20 The Sociological Approach in Research in Newspaper History 네이버 미소장
21 Mott, Frank L.(1962), American Journalism: A History. 3rd ed.. New York: MacMill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