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屯倉과 韓國木簡 = Miyake(屯倉) and Korean wooden tablets : the possibility of Korean wooden tablets in the history of Yamato state : 倭國史에서의 韓國木簡의 가능성 / 田中史生 ; 김민수 역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屯倉의 篇戸·造籍 3

III. 今來漢人과 編戸 5

IV. 倭國의 編戸·造籍과 韓國木簡 7

V. 王辰爾의 문자기술 9

VI. 屯倉과 出擧, 그리고 韓國木筒 12

VII. 결론 15

참고문헌 17

Abstract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함안 성산산성과 출토 목간의 연대 =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in the Haman region, and the dates of wooden strips (Mokgan, 木簡) found inside 김재홍 p.15-33

보기
울진 성류굴 제8광장 新羅 刻石文 발견 보고 = Discovery report of silla rock inscriptions at the 8th plaza in Seongnyugul Cave, Uljin 심현용 p.325-359

보기
大寶律令 施行에 따른 일본사회의 변용과 한국목간 = Transformation of Japanese society by enforcement of Taiho codes(大寶律令) and Korean wooden tablets(木簡) 鐘江宏之, 정지은 p.127-136

보기
屯倉과 韓國木簡 = Miyake(屯倉) and Korean wooden tablets : the possibility of Korean wooden tablets in the history of Yamato state : 倭國史에서의 韓國木簡의 가능성 田中史生, 김민수 p.137-156

보기
함안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과 力役 동원의 문서 행정 = Wooden documents excavated from the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and documental administration for national services of Silla Dynasty 이재환 p.35-56

보기
함안 성산산성 목간으로 본 6세기 신라 촌락사회와 지배방식 = A study on the village society and governing method in the 6th century of Silla examined with the wooden tablets of the Seo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홍기승 p.57-76

보기
신라 사천왕사지 출토 비편의 새로운 이해 = New understanding of the stele pieces excavated at the site of Sacheonwang Monastery : the stele of the five pieces is the King Sinmun Stele : 다섯 비편은 '신문왕릉비'다 정현숙 p.197-220

보기
公山城 출토 칠피갑옷 銘文資料의 재검토 = Review of inscription data on lacquered leather armor excavated from Gongsan-seong in Gongju 이현숙, 양종국 p.159-196

보기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 Korean wooden documents shown in the 7th century Japanese wooden documents 市大樹, 오택현 p.99-125

보기
「壬申誓記石」의 제작 시기와 신라 중고기의 儒學 이해에 대한 재검토 = Time of creation of the 「Imshin Seogi-seok (壬申誓記石, stone of oath carved in the Imshin-year)」inscription, and confucianism in the Shilla Dynasty's middle-ancient era 윤경진 p.221-250

보기
昌寧 仁陽寺 碑文의 判讀과 解釋 = A deciphering and interpreting of Changnyeong Inyangsa inscriptions 김성주, 박용식 p.251-277

보기
『梁書』 諸夷傳의 기초적 분석 = Fundamental analysis of the book of Liang (Liang Shu) Zhu Yi Zhuan 전상우 p.279-303

보기
일본 출토 고대 문자자료 = Ancient lacquered documents in Japan discovered recently : 秋田県 秋田城跡 111次 調査 出土 具注暦 기재 漆紙文書 三上喜孝, 오택현 p.361-371

보기
함안 성산산성 출토 부찰목간의 지명 및 인명 기재방식과 서식 = A study on the form of text written on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Seo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 focusing on the records of place and people 홍승우 p.77-96

보기
부여 석목리 143-16번지 유적 문자자료 소개 = An introduction to the letter relic of site in 143-16 Seokmok-ri, Buyeo 심상육, 이화영 p.307-323

보기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加藤謙吉, 1998, 『秦氏とその民』, 白水社. 미소장
2 加藤謙吉, 2017, 『渡来系氏族の謎』, 祥伝社. 미소장
3 加藤謙吉, 2002, 『大和政権とフミヒト制』, 吉川弘文館. 미소장
4 橋本繁, 2014, 『韓国古代木簡の研究』, 吉川弘文館. 미소장
5 鎌田元一, 2001, 『律令公民制の研究』, 塙書房. 미소장
6 舘野和己, 1992, 「畿内のミヤケ·ミタ」, 『畿内Ⅰ』; 『新版 古代の日本』5, 角川書店. 미소장
7 大橋信弥, 1996, 『古代日本の王権と氏族』 吉川弘文館. 미소장
8 大橋信弥, 2005, 『古代豪族と渡来人』, 吉川弘文館. 미소장
9 三上善孝, 2013, 『日本古代の文字と地方社会』 Ⅱ, 吉川弘文館. 미소장
10 水野柳太郎, 2002, 『日本古代の食封と出挙』, 吉川弘文館. 미소장
11 桃裕行, 1994, 『上代学制の研究〔修訂版〕』, 思文閣出版. 미소장
12 市大樹, 2010, 『飛鳥藤原木簡の研究』, 塙書房. 미소장
13 市大樹, 2012, 『飛鳥の木簡』, 中公新書. 미소장
14 早川庄八, 2000, 『日本古代の財政制度』, 名著刊行会. 미소장
15 浅香年木, 1971, 『日本古代手工業史の研究』, 法政大学出版局. 미소장
16 坂上康俊, 2013, 「庚寅年銘鉄刀の背景となる暦について」, 福岡市教育委員会 編, 『元岡·桑原遺跡群』22. 미소장
17 平野邦雄, 1985, 『大化前代政治過程の研究』, 吉川弘文館. 미소장
18 吉村武彦, 1989, 「改新詔·律令制支配と「公地公民制」」, 『律令制社会の成立と展開』, 吉川弘文館. 미소장
19 立花大輔, 2017, 「新羅·古代日本における戸の編成-新羅村落文章の検討を通して-」, 『古代文化』69. 미소장
20 笹川尚紀, 2001, 「白猪屯倉·児島屯倉に関する初歩的研究」, 『史料としての『日本書紀』-津田左右吉を読みなおす-』, 勉誠出版. 미소장
21 小口雅史, 2018, 「日本古代戸籍の源流·再論」, 『律令制と古代国家』, 吉川弘文館. 미소장
22 三上善孝, 2003, 「古代の出挙に関する二、三の考察」, 『日本律令制の構造』, 吉川弘文館. 미소장
23 市大樹, 2015, 「黎明期の日本古代木簡」,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194. 미소장
24 新川登亀男, 2003, 「里の成り立ちと九等戸制」; 「里の成り立ちと三政戸制度」, 『美濃国戸籍の総合的研究』, 東京堂出版. 미소장
25 倭王武の上表文と五世紀の東アジア情勢 네이버 미소장
26 尹善泰, 2003, 「新羅村落文書研究の現状」, 『美濃国戸籍の総合的研究』, 東京堂出版. 미소장
27 尹善泰, 2007, 「木簡からみた百済泗沘都城の内と外」, 『韓国出土木簡の世界』, 雄山閣. 미소장
28 李炳鍋, 2011, 「扶余陵山里出土木簡の性格」, 『木簡研究』33. 미소장
29 田中史生, 2002, 「ミヤケの渡来人と地域社会-西日本を中心に-」, 『日本歴史』646. 미소장
30 田中史生, 2004, 「五·六世紀の大阪湾岸地域と渡来人-河内を中心に-」, 『歴史科学』175. 미소장
31 田中史生, 2009, 「王辰爾」, 『日出る国の誕生』, 清文堂出版. 미소장
32 田中史生, 2012, 「倭国史と韓国木簡-六·七世紀の文字と物流·労働管理-」, 『日本古代の王権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미소장
33 平川南, 2009, 「百済の都出土の「連公」木簡-韓国·扶餘双北里遺跡一九九八年出土付札-」,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15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