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바이마르공화국시대의 ‘신여성’과 그들이 보여준 ‘탈코르셋과 여성해방’을 고찰한다. 바이마르공화국의 대도시 베를린은 ‘사무직의 메카’라 불릴 만큼 직업여성이 즐비했고, 신여성은 몸을 옥죄던 ‘코르셋’을 벗어던지며, ‘보브 컷’의 짧은 머리와 편한 복장으로 거리를 활보했다. 이들에게는 결혼을 통한 전통적인 ‘어머니’의 역할보다는, 독신여성의 자유로움과 직업여성으로서의 경제적 독립이 새로운 ‘여성 정체성’으로 다가왔다. ‘어머니’, ‘아내’로서의 소명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던 19세기의 여성과 비교할 때, ‘신여성’은 엄청난 발전이자 혁명이라 할 수 있다. ‘걸, 플래퍼, 가르송’이라 불리기도 한 신여성은 역사상 처음으로 남녀의 이분화된 성역할에 반기를 들고, ‘탈코르셋’으로 상징되는 해방과 자유로운 삶을 통해 바이마르공화국시대가 탄생시킨 새로운 여성상이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여성은 빌헬름제국과 히틀러의 제3제국 사이에 혜성같이 나타났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만다. 나치 정권의 장악과 함께 바이마르공화국은 막을 내리고, 1920년대를 화려하게 누볐던 신여성은 빠르게 사라지고 말았다. 민주주의의 토양 속에서 꽃피웠던 신여성의 자유로운 삶은 국가사회주의에 의한 여성억압으로 퇴보의 길을 걸었으며, 나치 정권은 독일 여성의 해방공간을 역사적으로 후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독일 중등교육과정 Ⅰ의 문학수업과 문학텍스트 = Literaturunterricht und literarische Texte in der Sekundarstufe Ⅰ : anhand der Deutschbücher der Orientierungsphase (Jahrgangsstufen 5-6) : 진학모색단계(5-6학년)의 독일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복희 p.85-105

언어폭력과 비유 = Sprachliche Gewalt und Tropen : Zur Offensivität der figurativen Personengruppenbezeichnungen in der Hassrede : 혐오발언 속 비유적 집단명칭의 공격성에 대하여 강병창 p.155-180

에.테.아. 호프만의 『자동인형들』에서 읽는 기계문명과 문학실험 = Das Mechanische und das literarische Experiment in E.T.A. Hoffmanns Die Automate 김연수 p.233-264

독일어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 Analyse der koreanischen Schulbücher für das Fach Deutsch hinsichtlich der Umsetzung v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일어과 보통 교과를 중심으로 이미영 p.283-300

바이마르공화국의 신문화현상과 신여성의 신 사회에 대한 갈망 = Die Forderungen der "Neuen Frau" als neues Kulturphänomen in der Weimarer Republik : unter Berücksichtigung von Marieluise Fleißers Eine Zierde für den Verein : 마리루이제 플라이써의 『협회를 위한 장식』을 중심으로 사지원 p.213-231

독일 난민/이민문학의 흐름과 특징 = Verlauf und Merkmale der deutschsprachigen Flucht- und Migrationsliteratur : Vergleich der Exilliteratur und Flucht- und Migrationsliteratur : 독일 망명문학과 난민/이민문학의 비교 허남영, 정인모, 원윤희 p.129-154

로리오의 스케치에 나타난 정치 풍자 = Politische Satire in den Sketchen von Loriot : Zur Sprache der Politiker sowie zum Verhalten der Presse und Wähler gegenüber Politik : 정치인의 언어와 정치를 대하는 언론과 학자, 유권자의 언어를 중심으로 이정현 p.181-211

오르페우스 신화의 현대적 수용과 재구성 = Moderne Rezeption und Rekonstruktion des Orpheus-Mythos : in Bezug auf die Filmkomödie Vom Suchen und Finden der Liebe von Helmut Dietl und Patrick Süskind : 디틀/쥐스킨트의 코미디 영화 <사랑의 추구와 발견>을 중심으로 임유영 p.1-24

바이마르공화국시대의 '신여성' = Die "Neue Frau" in der Weimarer Republik : Befreiung aus dem Korsett und Emanzipation : 탈코르셋과 여성해방 송희영 p.45-64

신학으로서의 문학 = Literatur als Theologie : Rainer Maria Rilkes Gedichtzyklus Das Marien-Leben : 릴케의 『마리아-생애』 연구 서은주 p.107-127

독일음악과 시민음악문화 = Die deutsche Musik und die bürgerliche Musikkultur : in Bezug auf die historische Situation in Deutschland : 독일의 역사적 상황과의 연관성을 통하여 최미세 p.25-43

손님의 의미론= Untersuchung der Gastsemantik. 2, Ludwig Tiecks Der blonde Eckbert: Narratives Paradoxon durch das Verschwinden des Gastes und des monologisierenden Wirtes . 2, 『금발의 에크베르트』의 구조적 역설로서 손님의 소멸과 주인의 독백 김연신 p.265-282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 나타난 우연의 시학 = Poetik des Zufalls in Die unerträgliche Leichtigkeit des Seins von Milan Kundera 조현천 p.65-84

하인리히 뵐의 『부대이탈』과 『운전임무의 끝』에 나타난 독일 군대와 사회현실 비판 = Kritik am Militarismus und der gesellschaftlichen Vergessenheit Nachkriegsdeutschlands : Heinrich Bölls Entfernung von der Truppe und Ende einer Dienstfahrt 정찬종 p.301-323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노혜경(2018): 탈코르셋 시대의 못생길 권리. 오늘의 문예비평 111, 215-219. 미소장
2 Barndt, Kerstin(2003): Sentiment und Sachlichkeit. Köln: Böhlau Verlag. 미소장
3 Becker, Frank(1993): Amerikanismus in Weimar. Wiesbaden: Dt. Univ.-Verlag. 미소장
4 Becker, Sabina(2018): Experiment Weimar. Eine Kulturgeschichte Deutschlands 1918-1933. Darmstadt: wbg Academic. 미소장
5 Berliner Illustrirte Zeitung(1925): Gegen die Vermännlichung der Frau, 389. 미소장
6 Bertschik, Julia(2000): Gelebter und inszenierter Typ der neuen Frau in der Weimarer Republik. Weimar: Metzler. 미소장
7 Boberg, Jochen(1986): Die Metropole. Industriekultur in Berlin im 20. Jahrhundert. München: Beck. 미소장
8 Bock, Petra(1995): Neue Frauen zwischen den Zeiten. Berlin: Edition Hentrich. 미소장
9 Bollenbeck, Georg(1994): Bildung und Kultur. Glanz und Elend eines deutschen Deutungsmusters. Frankfurt: Insel. 미소장
10 Bollenbeck, Georg (2002): Traditionsanspruch und Traditionsbruch. Die deutsche Kunst und ihre diktatorischen Sachverwalter. Wiesbaden: Westdt. Verlag. 미소장
11 Capovilla, Andrea(2001): Fiktionalisierung der Neuen Frau im Kontext der Neuen Sachlichkeit. In: Aspetsberger, Friedbert: Geschlechter. Essays zur Gegenwartsliteratur. München: Studien Verlag, 96-113. 미소장
12 Domarus, Max(1965): Hitler. Reden und Proklamation 1932~1945. Band 1. München: Studien Verlag. 미소장
13 Frevert, Ute(2001): Frauen-Geschichte. Zwischen bürgerlicher Verbesserung und neuer Weiblichkeit. Frankfurt: Suhrkamp. 미소장
14 Herve, Florence(1998): Geschichte der deutschen Frauenbewegung. Köln:PapyRossa Verlag. 미소장
15 Jung, Uli(1992): Filmkultur zur Zeit der Weimarer Republik. München: Saur. 미소장
16 Karrenbrock, Helga(2003): Autorinnen der Weimarer Republik. Bielefeld:Aisthesis Verlag. 미소장
17 Kost, Jürgen(2018): Die goldenen 20er Jahre. Kultur und Gesellschaft in der Weimarer Republik. Frankfurt: Wochenschau Verlag. 미소장
18 Kuhn, Annette(1994): Frauenleben im NS–Alltag. Bonner Studien zur Frauengeschichte. Centaurus: Pfaffenweiler. 미소장
19 Nübel, Birgit(2016): Robert-Musil-Handbuch. Berlin: De Gruyter. 미소장
20 Rosenstein, Doris(1995): Neue Sachlichkeit. Weimar: Metzler. 미소장
21 Wullen, Moritz(2004): Kunst der Weimarer Republik. Köln: SMB-DuMon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