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이성(水生)의 청포도 = Green grapes of Shuisheng : the modernity of East Asia and the constellation of "Hometown" : 동아시아의 근대와 「고향」의 별자리 장문석 p.131-186

번역과 이념, 섹슈얼리티 = Translation, ideology, sexuality : Marcuse translation and formation of resistance discourse (1945~1979) : 마르쿠제(Marcuse) 사상의 번역과 저항 담론의 형성(1945~1979) 박지영 p.317-364

북한 담론의 역사와 재현의 정치학 = The history of North Korean discourse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discourse in the 1950∼1970s : 1950~1970년대 북한 담론의 형성과 변환을 중심으로 임유경 p.11-60

유기와 봉쇄 = Dereliction and containment :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Korean independent films in the 2000s : 2000년대 한국 독립영화 속 북한 재현 송효정 p.61-95
해부(解剖)와 허언(虛言) = Dissection and falsehood : Yeom, Sang-seop's novel and one origin of modern biopolitics : 염상섭 소설과 근대 생명정치의 한 기원 이철호 p.187-221
중립, 그리고 오지 않은 전후 = Rethinking of the meaning of 'post-war' and neutralism : focusing on Shin, Dong-yeop and Jeon, Bong-geon's literary text : 신동엽과 전봉건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지윤 p.267-316
'신파-연극'의 소멸로 본 문화변동 = Korean cultural alteration based on the dissolution of Sin-Pa play : transition into the postcolonial-Cold War culture : 탈식민 냉전문화로의 이행 이승희 p.223-265

인터넷 연재소설에 나타난 탈북자 재현 양상 연구 = A study of aspects of representation North Korean defectors on internet serial novel 서세림 p.97-127
불황, 표절, 공모 = Recession, plagiarism, conspiracy :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industry and state in 1970s : 1970년대 영화 산업과 국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송아름 p.365-399
흔들리는 종교적·문학적 유토피아 = Dismantling religious and literary utopia : Christian social movement and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people in the 1970s and 1980s : 1970~1980년대 기독교 사회운동의 맥락에서 살펴 본 노동자 장편 수기 연구 배하은 p.401-443
기형도라는 페르소나 = Gi, Hyung-do as a persona 이혜령 p.525-565

20세기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문제 = 20th century sinographic sphere and ecriture issues of Korea : reviewing the Formation of Sinographic Sphere through the Modernity of Sinographic Streams : 『한문맥의 근대』로 『한자권의 성립』을 보다 임상석 p.569-595
제3세계의 개념과 인식(1945~1990) = The notion and awareness of the third world (1945~1990) 박연희 p.445-479
전쟁과 혁명의 수사학이 다다른 자리 = The place where the rhetoric of war and revolution reached 최현식 p.597-639
누가 교양소설을 노래하는가 = Who sings the bildungsroman? : networks of masculinity cultural subjects and Lee, Mun-yol's texts in 1980s : 교양 주체의 남성(성) 네트워크와 이문열의 1980년대 텍스트 이미영 p.481-524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동아일보』, 미소장
2 『매일경제』 미소장
3 이문열, 『사람의 아들』, 민음사, 1979. 미소장
4 이문열, 『젊은 날의 초상』, 민음사, 1981. 미소장
5 『문학사상』, 1981.5 미소장
6 『세계의 문학』창간호, 1977, 1981, 미소장
7 『한국문학』, 1981.5~6 미소장
8 강준만, 「이문열을 알면 한국 사회 ‘문법’이 보인다」, 『인물과사상』, 인물과사상사, 2002. 미소장
9 권영민, 「통과제의의 스토리」, 『한국문학』 1981.6. 미소장
10 김경수, 「소설의 정치성이란 무엇일까」, 『황해문화』 54, 새얼문화재단, 2007. 미소장
11 김동춘, 「한국형 신자유주의 기원으로서 반공자유주의-반공국가, 발전국가와 신자유주의의 연속성」, 『경제와 사회』 118, 비판사회학회, 2018.6. 미소장
12 김병익, 「관찰과 반성」, 『지성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1982. 미소장
13 김영민, 「여운형, 이문열, 그리고 나.나.나(너)」, 『철학과현실』, 철학문화연구소, 1997. 미소장
14 김미옥, 「이문열 소설 연구-낭만성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박사논문, 2005. 미소장
15 여성교양소설의 불 / 가능성 : ‘한국-루이제 린저’의 경우(1) 네이버 미소장
16 김욱동, 「노벨 문학상의 문화 정치학」, 『외국문학연구』 37, 한국외대 외국문학연구소, 2010. 미소장
17 김정환, 「문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실천문학』 3, 실천문학사, 1982. 미소장
18 이문열의 문학적 편력 네이버 미소장
19 박이은실, 「패권적 남성성의 역사」, 『문화과학』 76, 문화과학사, 2013. 미소장
20 이문열 소설의 권력, 애정, 예술 네이버 미소장
21 소영현, 「비평 시대의 젠더적 기원과 그 불만—「분례기」에서 「객지」로, 노동 공간의 전환과 ‘노동(자)-남성성’의 구축」, 『대중서사연구』 24-3, 대중서사학회, 2018. 미소장
22 송명희, 「(서평)페미니즘 비평가의 길을 걷게 만든 페미니즘 비평의 고전」, 『인문사회과학연구』 18-3, 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미소장
23 신광현, 「“텍스트의 무의식” : 프레드릭 제임슨의 경우」, 『안과밖』 19, 영미문학연구회, 2005. 미소장
24 오자은, 「위안의 서사와 불화의 서사: 1980년대 교양소설의 두 가지 문법」, 『한국현대문학연구』 56, 한국현대문학회, 2018. 미소장
25 이경덕, 「욕망과 서사-프레드릭 제임슨의 리얼리즘론」, 『문화과학』 3, 문화과학사, 1993. 미소장
26 이동하, 「낭만적 상상력의 세계인식」, 『우리 세대의 문학-새로운 만남을 위하여』1, 문학과지성사, 1982. 미소장
27 이동하, 「이문열 특집: 연구자료 이문열 이렇게 연구되고 있다」, 『작가세계』1-2, 작가세계, 1989. 미소장
28 이상록, 「1970년대 함석헌의 민주화 운동과 비판의 철학-『씨의 소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5, 덕성여대 인문과학연구소, 2017. 미소장
29 이상록, 「1980년대 중산층 담론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확산」, 『사학연구』130, 한국사학회, 2018. 미소장
30 이정숙, 「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 서울대 박사논문, 2016. 미소장
31 이철호, 「황홀과 비하, 한국 교양소설의 두 가지 표정」, 『상허학보』 37, 상허학회, 2013. 미소장
32 이철호, 「장치로서의 연좌제-1980년대 이문열의 초기 단편과 중산층 표상」, 『현대문학의연구』 5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미소장
33 장문석, 「서른둘에 다시 읽은 데미안」, 『한국 현대소설이 걸어온 길(1945~2010)』, 문학동네, 2013. 미소장
34 정종현, 「‘노벨문학상’과 한국 문학의 자기 인식」, 『반교어문연구』 43, 반교어문학회, 2017. 미소장
35 정주아, 「이념적 진정성의 시대와 원죄의식의 내면」, 『민족문학사연구』 54,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미소장
36 천정환, 「교양의 재구성, 대중성의 재구성-박정희 군사독재 시대의 ‘교양’과 자유교양운동」, 『한국현대문학연구』 35, 한국현대문학회, 2011. 미소장
37 권김현영 외, 『남성성과 젠더』, 자음과모음, 2011. 미소장
38 권김현영 외,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 미소장
39 권보드래 외, 『1970 박정희 모더니즘』, 천년의상상, 2015. 미소장
40 권보드래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미소장
41 권오룡 외, 『문학과지성사 30년 1975-2005』, 문학과지성사, 2005. 미소장
42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전집1』 , 민음사, 2010. 미소장
43 김우창, 『지상의 척도-전집2』, 민음사, 2015. 미소장
44 김윤식 외, 『이문열論』, 삼인행, 1991. 미소장
45 김윤식, 『3대 계간지가 세운 문학의 기틀』, 역락, 2012. 미소장
46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미소장
47 박맹호, 『박맹호 자서전 책』, 민음사, 2012. 미소장
48 연세대 젠더연구소 엮음, 『그런 남자는 없다』, 오월의봄, 2017. 미소장
49 이문열 외, 『이문열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4. 미소장
50 정희진 엮음, 『미투의 정치학』, 교양인, 2019. 미소장
51 천정환․정종현, 『우리가 사랑한 책들, 知의 현대사와 읽기의 풍경』, 서해문집, 2018. 미소장
52 다카다 리에코, 김경원 옮김, 『문학가라는 병』, 이마, 2017. 미소장
53 주디스 버틀러, 주해연 옮김,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산책자, 2007. 미소장
54 R. W. 코넬, 『남성성/들』, 안상욱․현민 옮김, 이매진, 2013. 미소장
55 아르놀트 하우저, 백낙청․염무웅 옮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창작과비평사, 2007. 미소장
56 프레드릭 제임슨, 이경덕․서강목 옮김,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미소장
57 게오르그 루카치, 반성완 외 옮김, 『리얼리즘 문학의 실제 비평』, 까치, 1987. 미소장
58 게오르그 루카치, 김경수 옮김,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7. 미소장
59 프랑코 모레티, 성은애 옮김, 『세상의 이치』, 문학동네, 2005. 미소장
60 마사 너스바움, 조계원 옮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미소장
61 후버트 오를르스키, 이덕형 옮김, 『독일 교양소설과 허위의식』, 형설출판사, 1996. 미소장
62 Sedgwick, Eve Kosofsky, Between Me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