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동아일보』, |
미소장 |
2 |
『매일경제』 |
미소장 |
3 |
이문열, 『사람의 아들』, 민음사, 1979. |
미소장 |
4 |
이문열, 『젊은 날의 초상』, 민음사, 1981. |
미소장 |
5 |
『문학사상』, 1981.5 |
미소장 |
6 |
『세계의 문학』창간호, 1977, 1981, |
미소장 |
7 |
『한국문학』, 1981.5~6 |
미소장 |
8 |
강준만, 「이문열을 알면 한국 사회 ‘문법’이 보인다」, 『인물과사상』, 인물과사상사, 2002. |
미소장 |
9 |
권영민, 「통과제의의 스토리」, 『한국문학』 1981.6. |
미소장 |
10 |
김경수, 「소설의 정치성이란 무엇일까」, 『황해문화』 54, 새얼문화재단, 2007. |
미소장 |
11 |
김동춘, 「한국형 신자유주의 기원으로서 반공자유주의-반공국가, 발전국가와 신자유주의의 연속성」, 『경제와 사회』 118, 비판사회학회, 2018.6. |
미소장 |
12 |
김병익, 「관찰과 반성」, 『지성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1982. |
미소장 |
13 |
김영민, 「여운형, 이문열, 그리고 나.나.나(너)」, 『철학과현실』, 철학문화연구소, 1997. |
미소장 |
14 |
김미옥, 「이문열 소설 연구-낭만성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박사논문, 2005. |
미소장 |
15 |
여성교양소설의 불 / 가능성 : ‘한국-루이제 린저’의 경우(1)  |
미소장 |
16 |
김욱동, 「노벨 문학상의 문화 정치학」, 『외국문학연구』 37, 한국외대 외국문학연구소, 2010. |
미소장 |
17 |
김정환, 「문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실천문학』 3, 실천문학사, 1982. |
미소장 |
18 |
이문열의 문학적 편력  |
미소장 |
19 |
박이은실, 「패권적 남성성의 역사」, 『문화과학』 76, 문화과학사, 2013. |
미소장 |
20 |
이문열 소설의 권력, 애정, 예술  |
미소장 |
21 |
소영현, 「비평 시대의 젠더적 기원과 그 불만—「분례기」에서 「객지」로, 노동 공간의 전환과 ‘노동(자)-남성성’의 구축」, 『대중서사연구』 24-3, 대중서사학회, 2018. |
미소장 |
22 |
송명희, 「(서평)페미니즘 비평가의 길을 걷게 만든 페미니즘 비평의 고전」, 『인문사회과학연구』 18-3, 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
미소장 |
23 |
신광현, 「“텍스트의 무의식” : 프레드릭 제임슨의 경우」, 『안과밖』 19, 영미문학연구회, 2005. |
미소장 |
24 |
오자은, 「위안의 서사와 불화의 서사: 1980년대 교양소설의 두 가지 문법」, 『한국현대문학연구』 56, 한국현대문학회, 2018. |
미소장 |
25 |
이경덕, 「욕망과 서사-프레드릭 제임슨의 리얼리즘론」, 『문화과학』 3, 문화과학사, 1993. |
미소장 |
26 |
이동하, 「낭만적 상상력의 세계인식」, 『우리 세대의 문학-새로운 만남을 위하여』1, 문학과지성사, 1982. |
미소장 |
27 |
이동하, 「이문열 특집: 연구자료 이문열 이렇게 연구되고 있다」, 『작가세계』1-2, 작가세계, 1989. |
미소장 |
28 |
이상록, 「1970년대 함석헌의 민주화 운동과 비판의 철학-『씨의 소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5, 덕성여대 인문과학연구소, 2017. |
미소장 |
29 |
이상록, 「1980년대 중산층 담론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확산」, 『사학연구』130, 한국사학회, 2018. |
미소장 |
30 |
이정숙, 「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 서울대 박사논문, 2016. |
미소장 |
31 |
이철호, 「황홀과 비하, 한국 교양소설의 두 가지 표정」, 『상허학보』 37, 상허학회, 2013. |
미소장 |
32 |
이철호, 「장치로서의 연좌제-1980년대 이문열의 초기 단편과 중산층 표상」, 『현대문학의연구』 5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
미소장 |
33 |
장문석, 「서른둘에 다시 읽은 데미안」, 『한국 현대소설이 걸어온 길(1945~2010)』, 문학동네, 2013. |
미소장 |
34 |
정종현, 「‘노벨문학상’과 한국 문학의 자기 인식」, 『반교어문연구』 43, 반교어문학회, 2017. |
미소장 |
35 |
정주아, 「이념적 진정성의 시대와 원죄의식의 내면」, 『민족문학사연구』 54,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
미소장 |
36 |
천정환, 「교양의 재구성, 대중성의 재구성-박정희 군사독재 시대의 ‘교양’과 자유교양운동」, 『한국현대문학연구』 35, 한국현대문학회, 2011. |
미소장 |
37 |
권김현영 외, 『남성성과 젠더』, 자음과모음, 2011. |
미소장 |
38 |
권김현영 외,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 |
미소장 |
39 |
권보드래 외, 『1970 박정희 모더니즘』, 천년의상상, 2015. |
미소장 |
40 |
권보드래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
미소장 |
41 |
권오룡 외, 『문학과지성사 30년 1975-2005』, 문학과지성사, 2005. |
미소장 |
42 |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전집1』 , 민음사, 2010. |
미소장 |
43 |
김우창, 『지상의 척도-전집2』, 민음사, 2015. |
미소장 |
44 |
김윤식 외, 『이문열論』, 삼인행, 1991. |
미소장 |
45 |
김윤식, 『3대 계간지가 세운 문학의 기틀』, 역락, 2012. |
미소장 |
46 |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
미소장 |
47 |
박맹호, 『박맹호 자서전 책』, 민음사, 2012. |
미소장 |
48 |
연세대 젠더연구소 엮음, 『그런 남자는 없다』, 오월의봄, 2017. |
미소장 |
49 |
이문열 외, 『이문열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4. |
미소장 |
50 |
정희진 엮음, 『미투의 정치학』, 교양인, 2019. |
미소장 |
51 |
천정환․정종현, 『우리가 사랑한 책들, 知의 현대사와 읽기의 풍경』, 서해문집, 2018. |
미소장 |
52 |
다카다 리에코, 김경원 옮김, 『문학가라는 병』, 이마, 2017. |
미소장 |
53 |
주디스 버틀러, 주해연 옮김,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산책자, 2007. |
미소장 |
54 |
R. W. 코넬, 『남성성/들』, 안상욱․현민 옮김, 이매진, 2013. |
미소장 |
55 |
아르놀트 하우저, 백낙청․염무웅 옮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창작과비평사, 2007. |
미소장 |
56 |
프레드릭 제임슨, 이경덕․서강목 옮김,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
미소장 |
57 |
게오르그 루카치, 반성완 외 옮김, 『리얼리즘 문학의 실제 비평』, 까치, 1987. |
미소장 |
58 |
게오르그 루카치, 김경수 옮김,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7. |
미소장 |
59 |
프랑코 모레티, 성은애 옮김, 『세상의 이치』, 문학동네, 2005. |
미소장 |
60 |
마사 너스바움, 조계원 옮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
미소장 |
61 |
후버트 오를르스키, 이덕형 옮김, 『독일 교양소설과 허위의식』, 형설출판사, 1996. |
미소장 |
62 |
Sedgwick, Eve Kosofsky, Between Me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