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규진(2012), 『문학정전』,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
미소장 |
2 |
김민서・김순영(2017), “다시쓰기 관점에서 본 『안네의 일기』 영한번역본 비교”, 『번역학연구』, 18(2): 41-66. |
미소장 |
3 |
김민서(2019), 『「걸리버 여행기」의 곁텍스트 연구 -번역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순미(2013), “곁텍스트를 통한 출판사의 문학번역 전략 홍보: 『위대한 개츠비』 번역방법논란을 중심으로”, 『통번역교육연구』, 11(3): 5-27. |
미소장 |
5 |
박선희(2015), “번역문의 곁텍스트-주변텍스트와 바깥텍스트에 대한 정의”, 『번역학연구』, 16(1): 7-33. |
미소장 |
6 |
성승은(2018), “번역을 통한 사회참여 -청소년 성소수자 담론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4): 287-302. |
미소장 |
7 |
이상우(1991), 『이상우의 추리소설탐험』, 한길사. |
미소장 |
8 |
오혜진(2010), “1950~90년대까지의 추리소설의 전개양상”, 『어문학회』, 44: 299-320. |
미소장 |
9 |
지영래・박선희(2010), “번역본에서의 곁텍스트의 위상: 마담 보바리의 번역본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11(3): 247-276. |
미소장 |
10 |
한미선(2013), “풍자소설 번역에서의 곁텍스트 기능 및 특징”, 『번역학연구』, 14(4): 199- 223. |
미소장 |
11 |
Genette, Gerard(1997), 『Paratexts: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Jan, E. Lewin (trans.) Cambridge &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2 |
Translations, Paratextual Mediation, and Ideological Closure  |
미소장 |
13 |
Pretexts and Paratexts: The Art of the Peripheral  |
미소장 |
14 |
Pellatt, Valerie(2013), 『Text, Extratext, Metatext and Paratext in Translation』, New 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
미소장 |
15 |
Ellery Queen(1978), 『The Tragedy of X』,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미소장 |
16 |
Ellery Queen(1986), 『The Tragedy of X』, The International Polygonics. |
미소장 |
17 |
이가형(1977/2003), 『X의 비극』, 동서문화사. |
미소장 |
18 |
서계인(2003), 『X의 비극』, 국일미디어. |
미소장 |
19 |
서계인(2013), 『X의 비극』, 검은숲. |
미소장 |